{{{#!wiki style="margin:0 -10px -5px" {{{#1e3329,#2e4e3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캠퍼스 정보 | |||
인문사회과학캠퍼스 | 자연과학캠퍼스 | |||
대학 정보 | ||||
성균관 | 역사 | 학부 | 대학원 | |
학사 제도 | 기숙사 | 입시 | 임원 |
운동부 | |||
미식축구부 | 야구부 | ||
기타 정보 | |||
출신 인물 | 셔틀버스 | 사건 사고 | 커뮤니티 |
||<tablewidth=100%><tablebgcolor=white,#191919><bgcolor=#2e4e3f>
}}}}}}}}}}}} ||부속 병원
||<-2><bgcolor=#2e4e3f> 교육협력병원
||삼성창원병원 | 삼성서울병원 | 강북삼성병원 |
| |
1. 노선 정보
| |||||
기점 | 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3가(성균관대 농구장셔틀버스 정류소) | 종점 | 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4가(혜화역1번출구) | ||
종점 행 | 첫차 | 07:00 | 기점 행 | 첫차 | |
막차 | [학기중] 23:00 [방학중] 19:00 | 막차 | |||
평일배차 | 4~5분 | 주말배차 | 미운행 | ||
운수사명 | 성균관대학교 | 인가대수 | 7대 | ||
노선 | 농구장셔틀버스정류소 → 학생회관 → 성균관대정문 → 올림픽기념국민생활관(하차전용) → 혜화우체국(하차전용) → 혜화역1번출구(회차) → 성균관대입구사거리 → 성균관대정문 → 600주년기념관 → 농구장셔틀버스정류소 |
2. 개요
성균관대학교의 셔틀버스는 인문사회과학캠퍼스와 혜화역을 잇는 셔틀버스 노선과 인문사회과학캠퍼스와 자연과학캠퍼스를 잇는 셔틀버스 노선으로 총 2개 노선이 운영되고 있다. 이 문서에는 전자를 설명한다.3. 역사
- 1996년 제28대 총학생회가 학생 복지 증진 차원에서 종합강의동에서 혜화역을 잇는 교내 셔틀버스 운행을 추진했고, 그 해 10월 14일 한달 간 버스를 임대해서 셔틀버스를 시범 운행했다.
- 2021년 돌입 및 개강과 함께 수도권의 거리두기가 2단계로 하향되면서 운행이 재개되었다.
- 교내 확진자 증가 추세로 인해 2021학년도 1학기 10~11주차 모든 수업을 온라인으로 전환 함에 따라 인사캠 셔틀버스 및 인자셔틀의 운행이 다시 중지되었다가 12주차부터 다시 온-오프라인 수업을 혼합하여 진행하면서 운영이 재개되었다.
- 코로나 19 4차 대유행에 따른 수도권 확진자의 증가로 개편된 거리두기 중 4단계 조치가 적용됨에 따라 2021년 7월 12일부터 다시 운영이 중지되었다.
- 10월부터 일부 대면 강의가 열리면서 운행이 재개되었다. 코로나19로 인해 19시까지만 운행했다.
- 2023년 1학기부터 평일 운행시간이 다시 23시로 연장되었다.
4. 특징
- 차량은 시내버스에서 볼 수 있는 입석형 차량이며 자가용 흰색 번호판이지만 종로구청에서 자가용 유상운송허가를 받았다(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81조 2항, 통학버스 자격). 즉 주택가에서 많이 보이는 어린이집이나 태권도장 버스와 같은 허가를 받았다. 따라서 요금 징수가 합법이다. 여담으로 서울대학교 셔틀버스는 무료(즉 관할 관악구청과 무관), 부산의 부산대학교, 동아대학교, 동의대학교 등에서 다니는 버스는 마을버스 운송사업면허를 받아 운행한다. 또한 세종도시교통공사의 시내버스도 초창기에는 흰색 번호판으로 요금을 받고 다녔으나 민원으로 인해 노란색 번호판으로 교체되었다.
- 배차간격은 시간대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4대의 버스가 4~5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운행시간은 학기중 평일 7시~23시, 방학중 평일 7시~19시이며 토, 일요일과 공휴일에는 운행하지 않는다. 휴일에 학교를 갈 일이 생겼다면 종로08번을 이용하도록 하자.
- 배차간격은 시간대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4대의 버스가 4~5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운행시간은 학기중 평일 7시~23시, 토요일 7시~19시, 방학 중 평일, 토요일 7시~19시이나 코로나 19로 인해 감축 운행중인 관계로 운행시간은 학기중 평일/토요일 07시~19시까지만 다니며 공휴일과 일요일은 운행하지 않는다. 휴일에 학교를 갈 일이 생겼다면 종로07번이나 종로08번을 이용하도록 하자.
- 지하철이나 다른 버스 노선과의 환승은 티머니와 캐시비, payon(후불교통카드) 모두 불가하다. 우리, 국민카드 중 인식이 되지 않는 카드도 꽤 있다. 국민카드의 망을 이용하는 카카오뱅크 체크카드는 국민카드로 인식되어 이용 가능하다.
- 운임은 성인/청소년/어린이 관계없이 400원이며, 2020학년도부터 교통카드(티머니, 캐시비)나 후불교통카드 기능을 지원하는 체크/신용카드로만 운임을 지불할 수 있다.[1][2][3] 등록금을 다 낸 재학생들에게도 얄짤없이 400원을 꼬박꼬박 받는다. 2011년 총학이 셔틀버스 무료화를 공약으로 내걸었지만 실현되지 않았으며 셔틀버스는 아직도 유료다. 원래 300원을 받았으나, 2020학년도부터 400원으로 인상되었다.
- 아침 8시 40분 ~ 10시 사이의 대기줄이 가장 긴데, 버스 정류장에서 골목 안쪽 GS25를 넘어 거의 150m 가까운 줄이 생길 때도 있다. 특히 수업 시작 20분 전이 가장 붐비는 시간이기 때문에, 강의 시간에 딱 맞춰 기다리는 건 삼가자.[4] 그리고 성균관대입구사거리에도 정류장이 있긴 하지만 이미 혜화역에서 꽉 채워오기 때문에, 얼마 타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줄이 조금 길다 싶으면 차라리 걷는 게 빠르니 시간이 급하다면 버스를 기다리지 말자. 물론 웬만하면 타는게 낫다. 걸어서 올라가는 게 조금 빠를지는 몰라도 스키점프장같은 경사에 올라가는 내내 셔틀버스 탈 걸, 하고 후회하게 될 것이다.
- 일자미상으로 차내 안내방송이 시작됐다. 거의 이젠 마을버스 수준으로 운행한다.[5] 사실상 종로07번 운휴 이후 비공식 대체 노선이었지만, 종로07번의 재개통 및 캠퍼스 내부로 진입하도록 노선이 연장되어 형제노선 격이 되었으며, 종로08번의 백업 노선으로 사용된다.
- 종로07번이 2023년 9월부터 교내에 진입하면서 이용자수 감소를 근거로 토요일 운행을 중지했다.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colcolor=#0060b5,#49aaff>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 ||
| ||
| ||
| ||
단일노선 |
[1] 다만, 후불교통카드의 경우 일반적인 대중교통과 달리 무승인 결제가 아니라 payon 승인 결제로 처리된다. 따라서 카드 승인이 날 때까지 몇 초 간 카드를 대고 있어야 하고, 카드 승인 문자도 받을 수 있으며, 체크카드의 경우 계좌에 잔고가 없으면 승인이 나지 않는다. 또한 승인 내역에 가맹점 명이 '성균관대학교'로 되어 있어 교통 관련 혜택이 있는 신용/체크카드를 사용하더라도 혜택을 받을 수 없다.[2] 일반적인 대중교통 처럼 단말기 1대로 모든 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캐시비, 티머니, Payon(후불교통카드)단말기가 모두 따로 설치되어 있고(...) 각 단말기는 해당 카드만 처리할 수 있다.[3] 노선버스가 아니기 때문에 기후동행카드는 사용할 수 없으며, 요금통 장비도 없어 현금 사용도 불가능하다. 현금이나 동행카드를 사용하려면 종로07번을 이용해야 한다.[4] 30분 전에는 도착해야 안 늦을 수 있다.[5] 실제로 학교 소속 사람이 아니더라도 요금만 지불하면 탑승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