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에서부터 등장. 여기서도 OCG의 마음의 변화와 같은 효과로 등장했다. 해당 시리즈에서는 별 의미도 없이 제물로 바치거나 묘지로 보낼 수가 있었기에, 패의 상급 몬스터가 없어도 컨트롤을 빼앗아 묘지로 보내는 유사 제거 카드로 활용할 수 있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세뇌-브레인 컨트롤-, 일어판명칭=<ruby>洗脳<rp>(</rp><rt>せんのう</rt><rp>)</rp></ruby>-ブレインコントロール, 영어판명칭=Brain Control, 효과1=800 라이프 포인트를 지불한다. 상대 필드 위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선택한다. 발동 턴의 엔드 페이즈까지\, 선택한 카드의 컨트롤을 얻는다.)]
2005년 2월 잃어버린 천년에서 발매. 원작부터 등장한 카드지만, GX 시점까지 와서야 겨우 OCG화 되었다.
성능은 마음의 변화의 하위 호환이며, 밸런스 조절을 위해서 라이프 코스트를 조건으로 한 채로 재출시했다고 보면 된다. 하지만, 이 카드가 가진 강력한 효과에 비하면 라이프 지불이라는 대가 따위는 그야말로 아무것도 아니었기 때문에 사실상 마음의 변화의 대체품으로 사용되었다.
강탈과는 달리 엔드 페이즈에 몬스터가 돌아가는 건 확정 사항이라, 달의 서로 뒤집어도 돌아간다. 물론 대부분 그 턴에 어드밴스 소환을 위해 릴리스되거나 특수 소환 소재로 쓰여버리기에 제대로 돌아가는 일은 거의 없다. 먼 옛날 카오스 솔저 -개벽-은 세뇌 걸려서 자신의 효과로 제외되거나, 다크 암드 드래곤은 효과 쓸 만큼 쓰고 마지막에 자기 효과로 자폭시켜 묘지로 가버리기 일쑤였다.
유용성에 비해서 의외로 금지된 시기는 2010년 9월로 상당히 늦은 편. 이전까지는 쭉 제한의 위치에 있었다.
이 카드와 비슷한 카드로 정신조작이 있다. 처음엔 제약이 심해 써먹기 힘든 카드였으나 싱크로 소환, 엑시즈 소환 등이 추가되며 세뇌보다 써먹기 좋은 카드가 됐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세뇌-브레인 컨트롤-, 일어판명칭=<ruby>洗脳<rp>(</rp><rt>せんのう</rt><rp>)</rp></ruby>-ブレインコントロール, 영어판명칭=Brain Control, 효과1=①: 800 LP를 지불하고\, 상대 필드의 통상 소환 가능한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앞면 표시 몬스터의 컨트롤을 엔드 페이즈까지 얻는다.)]
정신 구조에 영향을 미칠 것 같다고 여겨지는 아이콘 프레임. 안타깝지만 컨트롤을 얻는 효과는 가지고 있지 않은 모양이다.유희왕 마스터 듀얼 아이콘 프레임 설명
효과 한 줄 추가로 에라타 이전의 악명과 위상을 다말아먹은 최악의 카드로 탈바꿈되었다. 그 이유는 간단하게도 현재 듀얼 환경에서 필드에 최종적으로 남는 카드는 99%가 (통상 소환이 불가능한) 엑스트라 덱 몬스터이기 때문. 심지어 의식 몬스터나 카오스 솔저 -개벽-처럼 메인 덱에 들어가더라도 통상 소환이 불가능하면 못 뺏는다. 설령 메인 덱 몬스터를 주력으로 삼는 덱을 상대한다고 하더라도 빼앗는 조건이 너무나도 한정적이라 컨트롤 뺏어봐야 쓸 데가 없다.
결국 하위 호환으로 나온 정신조작한테도 밀릴 정도로 성능이 대폭 하향되었고, 때문에 OCG에선 2017년 4월에 준제한, 2017년 7월에 무제한이 됐다. TCG에선 2017년 3월 31일에 제한, 9월에 준제한, 2018년 2월에 무제한이 됐다.
정작 이 카드의 상위 호환인 마음의 변화는 6년 후에 아무런 에라타도 되지 않은 채 무제한까지 완전 석방되었고, 마음의 변화와 비견된다는 강탈조차 제한으로 석방되었다. 조금만 더 금지에서 버텼더라면 에라타 없이 석방된 쪽은 이쪽이지 않았을까 싶다. 대신 이미지가 이미지다보니 동인지에서는 신나게 쓰인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효과=, 한글판명칭=브레인 컨트롤러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ブレインコントローラー, 영어판명칭=Brain Controller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레벨=1, 속성=어둠, 종족=사이킥족, 공격력=100, 수비력=2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세뇌-브레인 컨트롤-"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자신이 LP를 지불했을 경우\,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1~8 까지의 임의의 레벨을 선언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레벨을 선언한 레벨로 한다., 효과3=③: 이 카드가 싱크로 소재로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효과를 무효로 하고 상대 필드에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얼라이언스 인사이트에서 발매된 브레인 컨트롤의 서포트 몬스터. 상위 호환인 마음의 변화가 무제인데 억울하게 너프 당한 브레인 컨트롤을 구제해주기 위해 나온 듯 하다.
①의 효과는 브레인 컨트롤 서치 효과. 굳이 브레인 컨트롤을 발동하지 않아도 패 코스트를 가져오는 용도로 써도 무방하며 이 카드 자신이 긴급텔레포트에 대응하기에 간편하게 특소해서 패 1장을 불릴 수 있다.
②의 효과는 라이프를 지불했을 경우 몬스터 1장의 레벨을 1~8까지 중 임의의 레벨로 변경하는 효과. 브레인 컨트롤로 상대 몹을 가져온 후 레벨을 변동해 싱크로 소재로 써먹으라는 효과로 보이나 정작 브레인 컨트롤이 에라타 당해 특수소환 몬스터가 주력인 현 환경에서는 쓰기 힘들어졌기에 이 용도로 쓰긴 매우 어려운 편. 다행히 사이킥족 자체내에도 라이프를 지불하고 효과를 발동하는 카드들이 많기에 그냥 무난하게 사이킥 덱에서 레벨 변동 효과로 사용할 수도 있다.
3의 효과는 싱크로 소재로 묘지로 보내지면 효과를 무효로 하고 상대 필드에 특수 소환하는 효과. 1의 효과로 가져온 브레인 컨트롤로 다시 가져오라는 듯한 효과로 싱크로 소재로 사용한 후 상대 필드에 보내진 이 카드를 탈취해오면 추가 전개로 이어갈 수 있다.
브레인 컨트롤이 뇌와 관련된 효과이며 라이프를 지불하는 특성을 사이킥족에 대응시킨 센스가 돋보인다.
일러스트는 뇌가 기계에 탑승해 조종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뇌를 조종하는 브레인 컨트롤과 반대로 뇌가 조종하는 브레인 컨트롤러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