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6 00:17:55

세월: 라이프 고즈 온

세월: 라이프 고즈 온 (2024)
Life Goes On
파일:세월 라이프 고즈 온 포스터.jpg
<colbgcolor=#0B7903,#010101><colcolor=#ffffff,#dddddd> 장르 다큐멘터리
감독 장민경
제작 주현숙
주연 고석, 황명애
촬영 장민경, 오지수
음악 흐른
제작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독바위 프로덕션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영화배급협동조합 씨네소파 Cinesopa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년 03월 27일
상영 시간 98분
대한민국 총 관객 수 1,300명
최초/국내/독점 스트리밍
상영 등급 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 전체 관람가

1. 개요2. 개봉 전 정보3. 예고편4. 시놉시스5. 등장인물6. 줄거리7. 사운드트랙8. 평가9. 흥행
9.1. 대한민국
10. 기타11. 관련 문서12. 외부 링크1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씨랜드 청소년수련원 화재 사고, 대구 지하철 참사,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유가족들의 이야기를 기록한 다큐멘터리 영화

2. 개봉 전 정보

3. 예고편


4. 시놉시스

“당신은 어떻게 견뎌내고 있나요?”
1999년 6월 30일 수요일, 23명
2003년 2월 18일 화요일, 192명
2014년 4월 16일 수요일, 304명
그날 이후 가족을 떠나보낸 사람들 서로가 서로에게 묻고 답하며 너 없이 살아가는 법을 배운다.
그들이 전하는 세상 끝의 사랑 이야기 <세월: 라이프 고즈 온>

5. 등장인물



6. 줄거리

7. 사운드트랙

8.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IMDb=tt15300364, IMDb_user=-, IMDb_list=, IMDb_rank=-, IMDb_date=,
레터박스=life-goes-on-2021, 레터박스_user=-, 레터박스_list=, 레터박스_rank=, 레터박스_date=,
Filmarks=115609, Filmarks_user=-,
왓챠=m5GozrK, 왓챠_user=3.5,
키노라이츠=131560, 키노라이츠_light=100, 키노라이츠_star=3.1,
네이버영화=세월: 라이프 고즈 온, 네이버영화_audience=9.0,
CGV=88115, CGV_egg=-,
TMDB=862992, TMDB_user=-,
GooglePlay무비=세월_라이프_고즈_온, GooglePlay무비_user=-,
네이버시리즈온=629359, 네이버시리즈온_user=9, 네이버시리즈온_heart=-,
)]

9. 흥행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 개봉일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기준일
전 세계 (최초개봉일) $(세계누적) (기준일자)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미국 캐나다|]][[틀:국기|]][[틀:국기|]]북미
미정 미개봉 미정

[[중국|]][[틀:국기|]][[틀:국기|]]
미정 미개봉 미정

[[틀:국기|]][[틀:국기|]][[틀:국기|]]
미정 미개봉 미정

9.1. 대한민국

누적관객수 1,303명, 누적매출액 11,063,600원[1]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주차별 상세 내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colbgcolor=#000><colcolor=#fff><rowcolor=#fff> 주차 날짜 일일 관람 인원 주간 합계 인원 순위 일일 매출액 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 396명 396명 미집계 3,140,000원 3,140,000원
1주차 2024-03-27. 1일차(수) 108명 -명 37위 830,000원 -원
2024-03-28. 2일차(목) 27명 66위 229,000원
2024-03-29. 3일차(금) 37명 62위 432,500원
2024-03-30. 4일차(토) 49명 69위 381,800원
2024-03-31. 5일차(일) 36명 68위 392,000원
2024-04-01. 6일차(월) 29명 55위 247,300원
2024-04-02. 7일차(화) 32명 58위 311,000원
2주차 2024-04-03. 8일차(수) 3명 -명 102위 21,000원 -원
2024-04-04. 9일차(목) 19명 70위 201,000원
2024-04-05. 10일차(금) 19명 66위 158,000원
2024-04-06. 11일차(토) 32명 64위 260,000원
2024-04-07. 12일차(일) 24명 68위 195,000원
2024-04-08. 13일차(월) 5명 80위 41,000원
2024-04-09. 14일차(화) 14명 66위 129,000원
3주차 2024-04-10. 15일차(수) 20명 -명 71위 159,000원 -원
2024-04-11. 16일차(목) 17명 60위 140,000원
2024-04-12. 17일차(금) 91명 38위 637,000원
2024-04-13. 18일차(토) 8명 101위 88,000원
2024-04-14. 19일차(일) 68명 40위 604,000원
2024-04-15. 20일차(월) 4명 83위 38,000원
2024-04-16. 21일차(화) 57명 47위 425,000원
4주차 2024-04-17. 22일차(수) 102명 -명 50위 1,084,000원 -원
2024-04-18. 23일차(목) 5명 105위 31,000원
2024-04-19. 24일차(금) 3명 112위 19,000원
2024-04-20. 25일차(토) 46명 79위 451,000원
2024-04-21. 26일차(일) 2명 124위 13,000원
2024-04-22. 27일차(월) 8명 82위 67,000원
2024-04-23. 28일차(화) 7명 90위 51,000원
}}}}}}}}}||

10. 기타


11. 관련 문서

12. 외부 링크

13. 둘러보기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세월호 제원 관련 정보 | 청해진해운 선사 관련 정보 | 선박 개조 논란 | 침몰 사고 관련 논란 | 침몰 원인 | 인양 관련 정보 | 구조 및 수습의 어려움 | 사고 전 메시지 | 최후의 메시지 | 정부의 대응 및 배·보상 방안 | 각계의 반응
사건 사고
각종 사건·사고 및 유족 관련 논란 | 언론에 의한 사건·사고 | 사기 및 범죄 | 정치인 및 공무원 관련 사건·사고 | 사건 현장 관련 사건 | 청해진해운의 횡령과 비리 논란 | 구조 및 수습 과정 관련 논란 | 특별법 제정 및 유족 보상 관련 논란 | 유병언의 도피와 최후
세월호 관련 의혹 | 7시간 의혹
창작물
다이빙벨 (다이빙벨 그후) | 그날, 바다 | SEWOLX | 미래 교육과 4.16 | 생일 | 부재의 기억 | 우리 모두가 세월호였다 | 당신의 사월 | 프로젝트 부 | 장기자랑 | 너와 나 | 집에 가자 | 세월: 라이프 고즈 온
기타
노란 리본 | 가만히 있으라 | 단원고 특별전형 | 세월호피해지원법 | 역사왜곡금지법(법안)
<colbgcolor=#000000> 사고 일자 및 타임라인
2014년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2015년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2016년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2017년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2018년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1] ~ 2024/06/25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