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4 12:17:10

교대역-동대구역 셔틀버스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ccc><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13px;"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입석
·
간선
좌석
지선
출근
맞춤
셔틀
버스
}}}}}}}}} ||
파일:교대역-동대구역 셔틀버스.jp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5.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교대역-동대구역 셔틀버스
기점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교대역) 종점 대구광역시 동구 신천동(동대구역)
종점행 첫차 05:30 기점행 첫차 05:30
막차 23:30 막차 23:30
배차간격 6분
운수사명 대구지하철공사 인가대수 30대
노선 교대역 - 명덕역 - 반월당역 - 중앙로역 - 대구역 - 칠성역 - 신천역 - 동대구역

2. 개요

2003년 3월 8일부터 10월 21일까지 대구지하철공사에서 운영했던 임시 셔틀버스.

3. 역사

  • 대구 지하철 참사중앙로역이 폐쇄되자, 대구지하철공사는 원활한 사고복구를 위해 중앙로역 기준 상하행선 각각 3개 역을 함께 폐쇄하였다.[1] 따라서 교대역부터 동대구역까지의 지하철 운행이 중단되었고, 이 구간을 이용하는 승객의 편의를 위해 2003년 3월 8일 셔틀버스를 신설하였다. 중앙로역과 주변 선로 시설이 복구될 때까지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은 대곡~교대 구간, 동대구~안심 구간으로 나눠서 운행하였다. 일시 폐쇄된 역 7개가 모두 시내에 위치해있다 보니 이 기간 동안 지하철 이용률이 확 줄어들었다고 한다.[2]
  • 2003년 10월 21일 중앙로역의 선로 시설 공사가 완료되었고, 대구 지하철의 전 구간 운행이 재개되면서 셔틀버스 노선은 폐지되었다. 다만 아직 중앙로역의 시설 복구가 완료되지 않아 무정차 통과하였으며, 12월 31일 중앙로역 재공사가 끝나면서 운행이 완전 정상화되었다.

4. 특징

  • 과거 당산철교가 폐쇄되었을 때 서울지하철공사에서 운행했던 당산-합정-홍대입구 셔틀버스처럼 승차권만 보여주면 무료로 승차가 가능했다.
  • 버스 기종은 보통 대구 시내버스 회사에서 오래된 중고 기종들로 운영하였다.

5. 둘러보기

대구 지하철 참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범인 김대한
하위 문서 관련 이야기 · 최후의 메세지 · 유사 사례
관련 문서 · 기타 검은 리본 · 중앙로역 · 교대역-동대구역 셔틀버스 · 세월: 라이프 고즈 온
}}}}}}}}} ||


[1] 화재 당시 중앙로역의 전차선이 녹아버리는 바람에 이에 영향을 받는 주변역의 폐쇄는 불가피했다.[2] 이때도 상인역~서부정류장역~시내구간으로 나가거나 시내구간에서 동구청역~반야월역으로 돌아오는 경우 608번을 많이 타고 이용했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