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9 23:34:49

대구 버스 달서4, 달서4-1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f6af30>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노선
}}}
[[틀:대구광역시 직행버스|{{{#!wiki style="border: 1px solid #d82026; 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3px; color: #d82026"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6af30><colcolor=#fff> 가창
서구
남구
달서
달성
동구
북구
성서
수성
칠곡
팔공
행사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 ||
파일:남도3641.jpg
파일:남도3612달서4.jpg
달서4 달서4-1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4.2. 노선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개요

대구광역시의 지선버스 노선 중 하나이며 순환형 지선노선이다. 본선 운행거리는 35.9(달서4)/37.6(달서4-1)km. 전체 정류장 목록은 우측 링크를 참조. (달서4번, 달서4-1번)

2. 노선 정보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달서4
(2025년 2월 24일 폐선)
기점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곡동(남도버스) 종점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곡동(남도버스)
종점행 첫차 05:30 기점행 첫차 -
막차 [평일] 22:15 / [토요일, 공휴일] 22:16 막차 -
평일배차 18분(일 60회) 주말배차 공휴일: 23분(일 47회)
토요일: 21분(일 54회)
운수사명 남도버스 인가대수 9대[A]
노선 남도버스 - 유천교 - 유천동 행정복지센터[B] - 조암초교 - (달서구청 → 장동초교 → 대구광역시교육연수원 → 두류역이월드후문 → 대명시장 → 영남이공대안지랑네거리 → 앞산자락카페마실(앞→건너) → 충혼탑 U턴[C] → 앞산자락카페마실앞 → 송현공원 → 송현역월촌역 → 월촌고가교 → 상인네거리[D]) - 조암초교 - 유천동 행정복지센터 - 유천교 - 남도버스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달서4(-1).png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달서4-1
(2025년 2월 24일 폐선)
기점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곡동(남도버스) 종점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곡동(남도버스)
종점행 첫차 05:30 기점행 첫차 -
막차 [평일, 토요일] 22:12 / [공휴일] 22:08 막차 -
평일배차 19분(일 59회) 주말배차 공휴일: 24분(일 45회)
토요일: 21분(일 52회)
운수사명 남도버스 인가대수 9대[A]
노선 남도버스 - 유천교 - 유천동 행정복지센터[B] - 조암초교 - (상인네거리[D] → 월촌고가교 → 대덕승마장(앞→건너) → 월촌역 → 송현역 → 송현공원 → 달서별빛캠핑장(건너→앞) → 대명중학교(건너) → 충혼탑 U턴[C] → 대명중학교(앞) → 안지랑네거리 → 영남이공대 → 대명시장 → 이월드후문 → 두류역 → 대구광역시교육연수원 → 장동초교 → 달서구청) - 조암초교 - 유천동 행정복지센터 - 유천교 - 남도버스
중간 출발 정류소
달서4 방향 안지랑네거리, 굿모닝병원평일, 토요일, 현대해상공휴일, 성당래미안e-편한세상평일, 토요일, 월성청구코아
달서4-1 방향 현대해상평일, 대구여자상업고등학교, 대명중학교평일, 토요일, 달서별빛캠핑장, 상인현대맨션

3. 역사

  • 2017년 1월 21일에 '대곡주공5단지 - 상화네거리 - 월배중 - 상인역' 경유 대신 유천네거리, 월배기지, 조암네거리, 조암초교, 월성네거리(CGV월성점) 경유로 변경되었다. 갈라지는 지점도 상인네거리에서 월성네거리로 변경되었다. 기존 8대에서 1대씩 증차했는데, 달서4-1번 정규차량 1대가 달서4번으로 이동하고, 달서4-1번에 현대교통이 2대 참여한다.[10] 평일 배차간격은 18~19분으로 또 늘어났다.
  • 2022년 1월 22일에 현대교통이 달서4-1번의 공동 배차에서 완전 철수하여 이로써 달서4번과 달서4-1번 두노선 모두 남도버스에서 단독으로 배차 하는 노선이 되었으며 현대교통에서 철수로 인하여 발생한 달서4-1번의 2대 공백은 남도버스에서 달서5번 출신 차량 2대를 달서4-1번에 투입하여 해결되었다.
  • 2022년 5월 7일부터 월배기지~조암네거리 구간에서 조암남로 대신 조암로를 경유하는 것으로 직선화했다.[11]
  • 2023년 2월 18일부로 중간종료가 폐지되었다.

4. 특징

  • 현존하는 달서구 지선버스 중에서[12] 유일하게[13] 성서지구를 거의 지나지 않는다.[14] 장동초등학교 정류장이 바로 장기동에 있고, 달서4번이 정차하는 본리초교네거리2 정류장이 장기동에 있다.
  • 이 노선상에 걸려 있는 중·고등학교 학생들[15]이 주로 이용한다. 칠곡1(-1)번수성1(-1)번 같이 높은 통학수요 때문에 등하교 시간대에 만차가 발생하며, 그 외 시간대에는 공기수송이다. 개편 후에는 영남이공대학, 구남보건고교 재학생들도 타면서 등교 때 만차가 되는 시간대가 좀 더 늘어났다.[16]
  • 앞산순환로 대다수 구간을 전담하는 노선으로, 앞산의 주요 등산로 입구[17]를 경유하는 노선이라 등산객들의 수요가 있다.
  • 구 달서2번과 억지로 짬뽕해 버리면서, 앞산순환로 U턴 구간이 급증했다. 도로 구조 때문에 달서4번은 2회 U턴, 달서4-1번은 3회 U턴한다. 앞산공원종점에서 차를 돌리지 않는 것에 대해서는 비판이 좀 있다. 이러한 노선의 특성이 앞산순환로 주변 주민들[18] 및 주변 시설들(특히 남부도서관)을 이용하는 이용객들에게는 편의를 제공한다. 안지랑역에서 이쪽으로 접근할 경우 달서4번을 타면 길을 건너지 않고, 버스가 U턴한 후 충혼탑 건너편 정류장에서 내려서 귀가가 가능하다. 반대로 남부도서관에서 안지랑역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도 길을 건널 필요 없이 남부도서관 앞에서 달서4-1번을 타면 이동할 수 있다. 송현역방면에서 접근할 때도 마찬가지. 이게 꽤나 큰 장점이다. 앞산순환로에 중앙분리대가 있어서 횡단보도 설치가 가능한 곳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길을 건너는 게 쉽지 않기 때문이다.[19] 지하보도의 상태도 영 좋지 않다.
  • 2015년 개편 전후를 비교하면 여러 부분에서 상당한 너프가 발생하였다. 개편 전에는 노선 선형이 깔끔한 편이었는데, 개편 후에는 여기저기 꼬아서 선형이 불량해졌다. 배차간격도 개편 전 15분에서 개편 후 16~17분으로 길어졌다. 노선이 길어진 탓인지 개편 전에 비해 배차간격이 상당히 들쑥날쑥해졌다. 개편 이후 운행시간 단축 지시도 내려졌는지 기사들이 시간에 쫓기는 듯한 모습이 자주 목격된다. 현재 평일 배차간격은 18~19분이다.
  • 휴일 운행 시간표의 변동 폭이 일정하다. 앞산공원 착발 시절부터 2015년 개편 이후에도 휴일과 토요일에는 딱 1대만 감차해서 운행하며, 명절이나 방학감차 시즌에도 평시의 주말휴일/토요일처럼 1대만 감차해서 운행했다. 2017년 1월 21일 개편 이후에는 2대 감차해서 여전히 7대로 운행한다. 따라서 주말휴일 및 방학 기간에는 기다리는 시간을 기본 25분 잡아야 한다.
  • 달서4번은 남도버스 운행 노선들 중에서 유일하게 남도버스에서 단독 배차하는 노선이다. 2022년 1월 22일부터는 달서4-1번도 여기에 해당된다.
  • 달서4번과 달서4-1번, 모두 기사 교대는 남도버스 차고지인 대곡동공영차고지에서 실시한다.
  •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 전 앞뒤 스티커 행선판은 앞산공원 ← 두류네거리 → 앞산공원, 앞산공원 - 달서구청 - 성당시장 - 앞산공원 (달서4), 앞산공원 - 성당시장 - 달서구청 - 앞산공원 (달서4-1) 이었다.

4.1. 일평균 승차량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달서4번
<rowcolor=#fefefe>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2,548명 -
2015년 2,537명 ▽ 11
2016년 2,637명 △ 100
2017년 2,360명 ▽ 277
2018년 2,389명 △ 29
2019년 2,518명 △ 129
2020년 해당 연도 DB 미집계
2021년 2,323명 ▽ 195
2022년 2,465명 △ 142
2023년 2,913명 △ 448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달서4-1번
<rowcolor=#fefefe>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2,479명 -
2015년 2,524명 △ 45
2016년 2,542명 △ 18
2017년 2,538명 ▽ 4
2018년 2,304명 ▽ 234
2019년 2,408명 △ 104
2020년 해당 연도 DB 미집계
2021년 2,147명 ▽ 261
2022년 2,313명 △ 166
2023년 2,674명 △ 217

4.2. 노선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달서4, 달서4-1번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남도버스1
21774
남도버스2
03901
삼성래미안2차건너
05334
삼성래미안2차앞
05335
수목원삼성래미안1차건너
05100
수목원삼성래미안1차앞
21021
유천교1
21602 파일:Daegu1.svg
유천교2
02706 파일:Daegu1.svg
유천포스코건너
21800
유천포스코앞
01639
월배아이파크2차건너
09303
월배아이파크2차앞
09125
유천동행정복지센터앞
22001
유천동행정복지센터건너
22002
한샘청동공원앞
22003
한샘청동공원건너
22004
월성코오롱하늘채앞
09234
월성코오롱하늘채건너
02421
조암초등학교앞
09235
조암초등학교건너
09282
이하 편도 순환 운행 구간
월성청구코아건너
02569
월성청구코아앞
05225
달서구청건너
02144
달서구청앞
02256
월성주공4단지앞2
02334
월성주공4단지건너
02618
월성주공4단지앞1
00838
월성주공3단지
00812
대건고교-효성여고건너
00813
대건고교-효성여고앞
00814
달서에스케이뷰아파트앞
20947
장기먹거리촌앞
00735
장동초등학교건너
20943
장동초등학교앞
20942
본리초교네거리2
20944
본리초교네거리1
00719
본리초등학교건너
02791
본리초등학교앞
00718
성당래미안e-편한세상앞
20955
성당코오롱하늘채
09112
성당두산위브앞
21142
성당코오롱하늘채2
05179
대구광역시교육연수원건너
00912
대구광역시교육연수원앞
00911
감삼초등학교건너
20958
감삼초등학교앞
05178
두류정수사업소앞
20959
두류정수사업소건너
00907
서대구세무서
00906
감삼역(3번출구)
00935 파일:Daegu2.svg
광장타운앞
20887 파일:Daegu2.svg
두류역(달성고등학교건너)
00936 파일:Daegu2.svg
두류역(달성고등학교앞)
20034 파일:Daegu2.svg
현대해상앞
21613 파일:Daegu2.svg
현대해상건너
20886 파일:Daegu2.svg
두류보성맨션건너
00439 파일:Daegu2.svg
두류보성맨션앞
01007 파일:Daegu2.svg
이월드(구.우방랜드)후문앞
00622
이월드(구.우방랜드)후문건너
01006
성남초등학교건너
00600
성남초등학교앞
01005
굿모닝병원앞
21230
굿모닝병원건너
01003
대구보건고등학교건너
01223
대구보건고등학교앞
20937
대명시장앞
05191
대명시장건너
20110
계명대학교대명캠퍼스앞
02166
계명대학교대명캠퍼스건너
02163
대명공연거리앞
20032
대명공연거리건너
01048
대구여자상업고등학교건너
20882
대구여자상업고등학교앞
20883
영남이공대학교건너
00630
영남이공대학교앞
20832
대구교통방송건너
00631
대구교통방송앞
20831
안지랑네거리2
02174 파일:Daegu1.svg
안지랑네거리1
20030 파일:Daegu1.svg
KT남대구지사앞1
02180 파일:Daegu1.svg
KT남대구지사건너2
01630
KT남대구지사앞2
05070
대덕천주교회4
00766
대덕천주교회3
00764
앞산별자리체험학습장2
00774
앞산별자리체험학습장1
00763
앞산자락카페마실앞
00775
앞산자락카페마실건너
00779
안지랑골입구
00781
안지랑골입구건너
00762
대덕문화전당앞
21204
대덕문화전당건너
21214
대명중학교건너
04724
대명중학교앞
00760
남부도서관앞
21205
충혼탑앞
21206
충혼탑건너
00753
충혼탑건너
00753
충혼탑앞
21206
남부도서관앞
21205
대명중학교앞
00760
대명중학교건너
04724
대덕문화전당건너
21214
대덕문화전당앞
21204
안지랑골입구건너
00762
안지랑골입구
00781
골안골지하보도앞
00780
앞산자락카페마실앞
00775
앞산자락카페마실건너
00779
앞산빨래터공원
21215
삼성공원아파트앞
00778
골안골
00776
앞산궁도장건너
00590
앞산궁도장앞
00987
달서별빛캠핑장앞
02467
달서별빛캠핑장건너
00988
장관빌라건너
00592
장관빌라앞
00591
송현공원앞
00594
송현공원건너
00593
중소기업지원센터
00595
송현역(4번출구)
21795 파일:Daegu1.svg
송현역(3번출구)
05210 파일:Daegu1.svg
송현역(1번출구)
21796 파일:Daegu1.svg
송현역(2번출구)
05261 파일:Daegu1.svg
송현1동치안센터건너
09120
앞산청구제네스건너
21797
앞산청구제네스앞
05260
월촌역(4번출구)
- 파일:Daegu1.svg
월촌역(6번출구)
00829 파일:Daegu1.svg
상인화성파크드림앞
00993
상인화성파크드림건너
00992
청소년수련원건너
00990
대덕승마장건너
00989
대덕승마장앞
00986
대서초등학교앞
00991
청소년수련원앞
00985
월촌고가교1
01407
월촌고가교2
00984
상인한서타운앞
20971
월배농협대덕지점건너
00983
상인동서타운앞
02570
상인우방아파트
05186
상인초등학교앞
20974
상인현대맨션앞
02514 파일:Daegu1.svg
상인현대맨션건너
00998 파일:Daegu1.svg
영남고등학교건너
00843 파일:Daegu1.svg
영남고등학교앞
00996
상인역e-편한세상앞
09123
월성e-편한세상건너
02568
월성e-편한세상앞
05185
이상 편도 순환 운행 구간
조암초등학교건너
09282
조암초등학교앞
09235
월성코오롱하늘채건너
02421
월성코오롱하늘채앞
09234
한샘청동공원건너
22004
한샘청동공원앞
22003
유천동행정복지센터건너
22002
유천동행정복지센터앞
22001
월배아이파크2차앞
09125
월배아이파크2차건너
09303
유천포스코앞
01639
유천포스코건너
21800
유천교2
02706 파일:Daegu1.svg
유천교1
21602 파일:Daegu1.svg
수목원삼성래미안1차앞
21021
수목원삼성래미안1차건너
05100
삼성래미안2차앞
05335
삼성래미안2차건너
05334
남도버스2
03901
남도버스1
21774
}}}}}}}}} ||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 월배 연계 버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급행
간선
지선
출근 7250
고령 606
}}}}}}}}} ||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 경유 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경산캠퍼스
정문 309 449 509[동문] 609
649 719 840 909
980
100[가지1] 109 399[가지2] 803
809 911 918 990[가지3]
991 경산1-1 경산3 압량1
동문 309 509 609 719
980 991
후문 509[소라] 100 109 990
경산1-1 경산2-1 남산1 남산2[정평역]
용성1[정평역]
시외버스 경산 ↔ 포항 경산 ↔ 울산
대구캠퍼스
대구고등학교 349 405 410-1 503
649
영대병원역 564 남구1-1 순환3-1
영남이공대학교 300 306 518 651
달서4-1
[동문]: 영남대 동문 방면
[가지1]: 윤성A-삼주A 가지 노선 한정
[가지2]: 자인~마곡 가지 노선 한정
[가지3]: 가일~서문시장~자인 가지 노선 한정
[소라]: 소라아파트 방면
[정평역]: 정평역 지원 운행 한정
}}}}}}}}} ||

파일:대구대학교 UI.svg 대구대학교 경유 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경산 캠퍼스 급행5 708 808 814
840
818 818-1 진량1 399
울산-대구대 영천-구미
대명동 캠퍼스 509 609 618 650
706 805 808 836
남구1-1 달서4-1 서구1-1 순환2-1
606
}}}}}}}}} ||


[A] 토요일 8대 / 공휴일 7대 운행[B] 달서4(-1)번의 단독구간이다.[C] 앞산공원 종점이 인근에 있다.[D] 정류소 이름은 상인현대맨션이다.[A] [B] [D] [C] [9] 당시 책자에는 '남구1(-1)번'으로 되어 있었다. 책자 앞쪽의 지도형 노선도 부분에는 '달서4(-1)번'으로, 뒤쪽 '주요 경유지별 통과노선 안내' 부분에서 남구1(-1)번으로 표기되어 있었다. 남구1(-1)번이 표시된 경유지 중에는 적혀 있어야 할 달서4(-1)번이 적혀있지 않거나 달서4(-1)번과 같이 표기가 되어 있었던 것이다. 개통 후에는 달서4(-1)번이 되었는데, 남구 구간보다 달서구 구간이 많아서 그런 것으로 보인다.[10] 당초 우주교통이 2대 나서기로 했으나, 2017년 1월 20일에 우주교통과 현대교통의 합의로 우주교통 대신 현대교통이 2대 참여하게 됐다. 원래는 남도가 706번에서 2대를 가져오는 것이 맞지만 남도의 거센 반발로 무산되었다. 이에 따라 기존 204번에 있던 현대교통의 입석차량 2대를 달서4-1번으로 이동하고, 우주교통 2대를 204번에 투입했다.[11] 성서2번도 변경하기로 했으나, 취소되었다.[12] 심지어는 폐선된 달서2번까지 포함해서[13] 달서4번과 달서4-1번을 하나의 노선으로 본다면[14] 왜냐하면 그 구간에는 성서와 대천동, 월성동 및 대곡동 일부를 이어주는 성서지선들이 있기 때문인데 자세히 보면 성서지선에 속하는 성서1(-1)번은 대천동과 진천역과 대곡동 일부를, 성서2번은 월성지구와 대천동쪽으로 다닌다. 더군다나 달서3번마저도 성서와 월성동, 상인&대곡동을 이어주기 때문이다. 또한 남구지선을 생각하고 있었기 때문일 수도 있다.[15] 대명중학교, 달성고등학교, 경화여고, 원화여고, 상서고교, 원화중학교, 경암중학교, 영남중·고교, 경북기계공고, 대건중·고교, 효성여고, 효성중학교 등. 개편 후에는 구남중, 구남보건고, 경구중, 경북공고, 경상중, 대구여상, 영남이공대학이 추가됐다. 감삼중학교는 2011년 3월에 폐교되어 이 라인에서 빠졌고, 심인중고교도 2021년에 달성군 다사읍 죽곡리로 이전하며 이 라인에서 빠졌다.[16] 이 노선이 지나는 학교들의 등하교시간이면 학생들로 꽉꽉 차서 움직이지도 못하고, 학교에 도착하면 자동으로 내려질 수준이다.[17] 앞산은 용두골, 고산골, 강당골, 큰골, 안지랑골, 골안골, 매자골, 달비골까지 총 8개의 주요 등산로가 있다.[18] 정확하게는 충혼탑 맞은편 주택가에 거주하는 주민들[19] 특히 충혼탑 정류장 근처에서 횡단보도까지 거리가 멀다.[20] 유천교 정류장[21] 상인현대맨션 또는 영남고등학교(달서4-1) 정류장[22] 대구교통방송 정류장[23] 달서4-1번은 광장타운 또는 두류정수사업소 정류장[24] 현대해상 또는 두류보성맨션 정류장[25] 계명대학교대명캠퍼스 또는 대명공연거리 정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