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당역 (참튼튼병원) | ||
문양 방면두 류 ← 0.9 ㎞ | 2호선 (227) | 영남대 방면반고개 0.8 ㎞ → |
역명 표기 | ||
2호선 | 내당 Naedang 內唐 / 内唐 / [ruby(内唐, ruby=ネダン)] | |
주소 | ||
대구광역시 서구 달구벌대로 지하1827 (내당동 1290) | ||
관리역 및 고객센터 | ||
대구은행관리역 / 2고객센터 | ||
운영 기관 | ||
2호선 | 대구교통공사 | |
개업일 | ||
2호선 | 2005년 10월 18일 | |
역사 구조 | ||
지하 3층(심도 23.1m) | ||
승강장 구조 | ||
복선 섬식 승강장 |
[clearfix]
1. 개요
대구 도시철도 2호선 227번, 대구광역시 서구 달구벌대로 지하1827 (내당동 129)0 소재.역명의 유래는 다음과 같다. 본래의 의미는 당산나무 안쪽에 위치한 마을이란 뜻으로 안 땅골이라 불려졌다. 낙동강 수원지앞 동남쪽 아래에는 오래 된 소나무가 세 그루 있었는데, 마을에서는 이 나무를 당산목이라 하였다. 이 나무를 기준으로 안쪽에 위치한 마을이며 반대쪽 마을은 바깥땅골이라 불려졌다. 이후 행정구역 개편으로 이 두마을을 합쳐 내당동이라 부르게 되었다. 정거장이 내당1동에 있어서 역명을 내당이라 했다.
2. 역 정보
대합실 |
3호선이 개통되기 전까지 반고개역과 함께 서구 소재의 유이한 역이였다.[1] 2015년에 3호선이 개통되면서 서구 소재의 역들이 공단역, 만평역, 원대역, 북구청역 이렇게 넷이나 생겨서 주소 상으로 서구에 있는 단 둘 뿐인 도시철도 역이라는 타이틀은 깨지게 되었지만, 3호선의 비산동 및 원대동 구간의 역들도 서구 - 북구 경계를 양다리 걸쳐서 다닌다.
지하 역사에 섬식 승강장이다. 이 역과 반고개역에만 서울 지하철과 비슷한 형태의 안전선이 설치되어 있다.
3. 역 주변 정보
1번 출구 앞에 홈플러스 내당점[2]이 있으며, 가장 가까운 버스 정류장은 홈플러스 내당점 동편 정류장 및 BMW 전시장 근처의 내당역 4번 출구 정류장이다. 나머지 정류장들은 역 출구에서 다소 떨어진 곳에 있어서 시내버스 환승이 불편하다. 이월드 후문이 있는 파도고개로가 바로 보인다.2번과 3번 출구가 달서구 두류1.2동에 있고, 나머지 출구들은 서구 내당1동에 있다. 에스컬레이터는 3번과 4번 출구에 설치되어 있고, 해당 출구의 캐노피는 나중에 설치됐다. 3번 출구 옆에 있는 엘리베이터는 운임구역으로 연결되는 엘리베이터라서 이용시 주의해야 하며, 1번 출구 옆에 있는 엘리베이터만 대합실로 연결된다.
인근에 대구애락보건병원이 있는데, 병원 내에 숲이 조성되어 있어서 요양하기에는 좋은 편.
3번 출구 앞에 새로 생긴 웨딩비엔나 예식장 때문에, 주말에는 내당역 앞으로 차가 많이 밀린다. 내당역이 영업을 시작하고 나서 3년 후인 2008년 5월 3번 출구 앞의 성안오피스텔 1층에 대구은행 내당역지점이 열렸지만, 2022년 3월 반고개네거리의 내당지점과 통합하고 그 자리에는 셀프창구 기계가 설치됐다.[3]
웨딩비엔나 건너편 내당1동에는 SK의 셀프주유소가 있는데, 이 주유소 옆에 BMW의 딜러 중 하나인 한독모터스가 전시장을 열었다.[4]
이 역에서는 서구 내당1동과 달서구 두류1,2동 외에 성당시장(남구 대명4동) 및 서구 평리3동(서구청)으로 연결된다. 물론 성당시장이나 평리동, 서구청으로 가려면 홈플러스 내당점 동편에서 시내버스로 환승해야 한다.[5] 내당역에서 성당시장 및 이월드 후문 방향으로 있는 파도고개로로 다니는 차량들이 의외로 많은 편인데, 주말에는 웨딩비엔나로 가는 사람들로 인해 네거리에서 체증을 부채질하고 있다. 물론 웨딩비엔나 가는 사람들도 내당역을 꽤 이용해서, 주말에 결혼식이 열리면 내당역 3번 출구에 사람들이 꽤 몰린다.
도시철도 이용 후 코오롱야외음악당으로 가고 싶으면, 이 역에서 하차한 후 653번을 이용하면 된다. 653번이 야당 앞에 세워 주는 유일한 노선이다.
4. 일평균 이용객
내당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aa80><bgcolor=#00aa80><width=30%> 연도 ||<width=40%> ||<width=30%><bgcolor=#00aa80>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5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5년 | 5,954명 | [6] | ||
2006년 | 7,786명 | ||||
2007년 | 7,850명 | ||||
2008년 | 8,018명 | ||||
2009년 | 8,435명 | }}}}}}}}} | |||
2010년 | 8,817명 | ||||
2011년 | 9,067명 | ||||
2012년 | 9,334명 | ||||
2013년 | 9,519명 | ||||
2014년 | 9,310명 | ||||
2015년 | 9,642명 | ||||
2016년 | 9,687명 | ||||
2017년 | 9,395명 | ||||
2018년 | 9,350명 | ||||
2019년 | 9,552명 | ||||
2020년 | 6,752명 | [7] | |||
2021년 | 7,389명 | ||||
2022년 | 7,879명 | ||||
2023년 | 8,531명 | ||||
출처 | |||||
내당역의 하루 평균 이용객 수는 8,531명(2023년 기준)으로, 다음 역인 반고개역과 함께 하루 평균 1만 명을 넘기지 못하는 저조한 수요를 보이고 있다. 그 이유는 역이 위치한 네거리의 모습을 로드뷰를 통해 확인하면 알 수 있다. 용산역~두류역에 이르는 구간은 어느 정도의 상업 시설과 업무지구가 형성되어 있어 유동 인구가 제법 많은 편이고 발전도가 높은 반면에, 내당역은 1번 출구의 홈플러스 내당점을 제외하면 주변이 온통 수십 년 된 낡은 저층 건물들로 가득하다. 게다가 도심지와 가까운 탓에 도시 개발의 역사가 더 오래되어 주거지가 굉장히 낙후되어 도심 공동화 현상이 심각하게 진행된 곳이고, 굳이 지하를 오르내리는 지하철 대신 비교적 편리하게 도심과 연결되는 버스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점도 한몫한다. 추가로 4번 출구 쪽 애락원 시설의 부지가 꽤 넓어서 승객을 끌어오기 불리한 요소로 작용한다는 점이 있다. 이러한 사실들로 인해 용산역~두류역에 이르는 구간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이용객이 적다. 다만 수송 분담률 자체는 여느 역들과 비교해도 밀리는 수준은 아니고, 조금씩이나마 승객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5. 승강장
승강장 |
역 안내도 |
두류 ↑ | |||
ㅣ | 하 | 상 | ㅣ |
↓ 반고개 |
상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두류·용산·계명대·문양 방면 |
하 | 청라언덕·반월당·범어·영남대 방면 |
6. 연계 교통
정류소 | 시내버스 |
반고개(내당역4번출구) | 156, 509, 527, 성서2,[A] 250(성주) |
홈플러스내당점앞 | 323-1,[9] 653, 서구1 |
홈플러스내당점건너 | 653, 서구1-1 |
현대해상앞 | 156, 509, 527, 달서4, 성서2,[A] 250(성주) |
현대해상건너 | 156, 509, 527, 달서4-1, 성서2,[A] 250(성주) |
[1] 하지만 반고개 - 감삼 구간은 달서구와 서구 내당동의 경계를 양다리 걸쳐서 다니기 때문에, 엄밀히 말하자면 경계에 걸쳐있는 네 역 중 하나일 뿐이다. 또한 두류동도 달서구 신설 때 내당동에서 떨어져 나간 동네인지라, 전화 국번을 제외하면 생활권의 이질감이 거의 없다.[2] 탑마트-까르푸-홈에버의 대격변을 겪은 후 현재의 홈플러스 내당점에 이르고 있다. 탑마트는 내당점 매각 후 12년 만인 2017년 9월 21일 중구 남산1동 효성해링턴 플레이스에 대구점을 내서 대구 시내권에 복귀했다.[3] 본래 KB국민은행의 점포가 있었는데, 옛 한국장기신용은행의 지점인 현 KB국민은행 내당지점과 통합하였다. 대구은행은 옛 두류2동 지역에 영업점이 없다.[4] 황금네거리(어린이회관 방향)에도 BMW 전시장이 있는데, 그거는 코오롱모터스가 딜러다.[5] 하행(서구청 → 내당역)은 323-1번 직통이지만, 323번은 서도초등학교로 들어가기 때문에 상행(내당역 → 서구청)은 한 번 더 환승해야 한다.[6] 개통일인 10월 18일부터 12월 31일까지 75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7]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여파[A] 서문시장 지원운행 한정[9] 323번은 서도초등학교를 경유한다.[A] [A]
7. 둘러보기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px -1px; min-height: 1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px -1px -11px" | 문양 - 다사 - 대실 - 강창 - 계명대 - 성서산업단지 - 이곡 - 용산 - 죽전 - 감삼 - 두류 - 내당 - 반고개 - 청라언덕 - 반월당 - 경대병원 - 대구은행 - 범어 - 수성구청 - 만촌 - 담티 - 연호 - 수성알파시티 - 고산 - 신매 - 사월 - 정평 - 임당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fac707><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fac707>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fff> 노선명 | 역명 | ||||
대구교통공사 | 대구 2호선 | 내당(227) · 반고개(228) | ||||
대구 3호선 | 공단(322) · 만평(323) · 원대(325) · 북구청(326) | |||||
한국철도공사 | 경부선 | 서대구역 | ||||
대경선 | 서대구(K115)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color: #000,#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미개통 노선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한국철도공사 | 대구산업선 | 서대구역 | }}}}}}}}} | ||
중구 · 동구 · 남구 · 북구 · 달서구 · 수성구 · 달성군 · 군위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