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5 21:49:08

대실역

대실역
(죽곡연합통증의학과)
파일:Daegu2.svg
역명 표기
2호선 대실
Daesil
대실 / 大希尔 / テシル
주소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달구벌대로 지하888
(죽곡리 242-2)
관리역 및 고객센터
강창관리역 / 2고객센터
운영 기관
2호선 대구교통공사
개업일
2호선 2005년 10월 18일
역사 구조
지하 3층(심도 21m)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연계 교통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구 도시철도 2호선 218번,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달구벌대로 지하888 (죽곡리 242-2) 소재.

2. 역 정보

파일:attachment/대실역/station.jpg
역 안내도
파일:대실역 2호선.jpg
대합실
대구 도시철도 역 중 다사역과 더불어 최초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 지하 1층과 지하 2층 사이의 일부가 반쯤 개방되어 있는 형태로 건설되었다. 대신 유리로 덮여 있어 완전히 밀폐되어 있다.

역명의 유래는 신라시대 가야의 침략을 막기 위해서 마을 뒷산에 개성이라는 성을 쌓고 그 아래에 화살로 사용하던 대나무가 많아서 대실이라 했다. 주변 지역의 이름인 죽곡(竹谷)은 이 '대실'을 한자로 옮긴 것이다. 1996년 2호선 초기 계획에선 이 역이 다사역, 다사역은 매곡역이란 이름으로 계획되어 있었다.#

이 역은 곡선 구간이 있어, 문양 방면에서 발빠짐 안내방송을 한다. 영남대 방면은 승차할 수 없는 맨 뒤쪽에 곡선 구간이 있어서 방송하지 않았으나 현재는 영남대 방면에서도 발빠짐 안내방송이 나온다.

3. 역 주변 정보

다사읍의 중심 상권 지역이다. 읍내 격인데 사실 2000년대 들어 본격적으로 조성된 신도시 지역이다보니 일반적인 읍 상권과 단순 비교하기엔 상당히 큰 규모와 깔끔한 외관을 가지고 있다. 다만 과거엔 논밖에 없던 지역이라 역사 북편에 조성된 죽곡1지구가 아니었으면 유동인구 거의 없는 역으로 전락할 뻔도 했다. 2010년대 들어선 역사 남편에 죽곡2지구도 조성되어 거주인구가 더 늘어났다. 관광지역인 강정고령보에서 가장 가까운 지하철이라 환승 수요도 좀 있는 모양.[1]

성서5차산업단지를 죽곡지구 뒷쪽의 세천리에 조성하면서 죽곡리 아파트 단지 뒤로 세천리로 나가는 길도 새로 정비되어 세천리에서도 오기 편하다.[2] 본래 성서3번만이 대실역에서 세천교를 관통하여 세천리로 연계되는 유일한 시내버스 노선이었으나, 뒤이어 성서1번, 달서1번, 425번이 연장 또는 조정의 과정을 거치게 되어 세천리와 연계되는 노선이 많이 늘었다.

2014년 3월 20일 달성군 최초의 군립 도서관인 달성군립도서관이 강창훼밀리타운 옆에 개관했다.[3] 이 도서관은 대실역 2번 출구에서 나와서 300m 정도 직진하여 강창훼밀리타운 골목 쪽으로 들어가면 된다. 매곡리 종점으로 들어가는 시내버스를 타고 오거나 환승해도 되지만 강창훼밀리타운 바로 앞에 시내버스 정류장이 없기 때문에 어차피 대실역이나 다사고등학교에서 내려도 똑같이 걸어와야 된다. 개관 이후 달성군 내 "작은 도서관"들은 당연히 달성군립도서관의 분관으로 개편되었으며, 공공도서관 통합도서 서비스 회원증은 개관 때부터 서비스를 시작해 대구광역시 관내의 모든 시립/구립/군립도서관에서 호환이 가능하다.

2015년 7월, 3번 출구에서 강창교 방향에 대구강서소방서가 개소했다. 행정구역은 달성군 다사읍이지만 달서구 성서와 다사읍, 성서산업단지의 소방 수요를 위해 대구성서경찰서처럼 1개의 구나 군을 대상으로 분구를 못하는 대신 관내 기관을 늘리는 목적으로 신설된 것.[4][5] 여담으로 이 때 명칭을 두고 성서소방서와 다사소방서 경쟁이 있기도 했는데, 결국 금호강 서쪽에 있어서 강서소방서라는 제3의 명칭으로 정해졌다. 혹은 '강'창+성'서'가 합쳐졌다는 말도 있다.

4번 출구 쪽에는 대구은행이 있어 대경교통카드 충전이 가능하고 신한은행도 있어서 티머니의 충전도 가능하다. KB국민은행농협도 있다.

4. 일평균 이용객

대실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aa80><bgcolor=#00aa80><width=30%> 연도 ||<width=40%> 파일:Daegu2.svg ||<width=30%><bgcolor=#00aa80>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5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005년 2,452명 [6]
2006년 2,676명
2007년 3,090명
2008년 4,850명
2009년 7,810명 }}}}}}}}}
2010년 8,418명
2011년 9,209명
2012년 10,820명
2013년 11,692명
2014년 12,018명
2015년 12,342명
2016년 12,776명
2017년 13,090명
2018년 13,285명
2019년 13,896명
2020년 9,583명 [7]
2021년 10,759명
2022년 11,662명
2023년 12,567명
2024년 12,762명
출처

대실역의 하루 평균 이용객 수는 12,567명(2023년 기준)으로 2호선 전체 평균을 넘는 것은 물론, 달성군에 위치한 모든 역들 중에서 가장 많은 이용객을 보이고 있다. 놀라운 사실은 이곳이 읍에 위치한 역이라는 점인데, 동 지역에 위치한 상당수의 역들이 이 역보다 적은 이용객을 보인다는 점이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그러나 처음부터 많은 이용객을 가진 역은 아니었다. 1호선 각산역과 마찬가지로 개통 시작 후 지역이 개발되면서 승객이 늘어난 역이다. 2005년에 처음 개통되었을 때는 하루 평균 2,500~3,000명 정도밖에 이용하지 않았고, 이웃한 다사역과 이용객이 비슷했다. 그러나 2008년부터 죽곡1지구의 입주가 시작되면서 이용객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2007년부터 2013년까지 매년 1천 명 이상의 가파른 이용객 증가를 보였다.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2호선을 통틀어 이용객 증가율이 가장 높았던 역으로, 영업을 시작한 2005년 대비 10년 만에 이용객 409% 증가라는 압도적인 기록을 만들어냈다.

주된 수요처는 역이 위치한 죽곡리, 매곡리의 아파트 단지들이며, 이 외에도 소수의 성주군하빈면 주민들이 250번 버스성서2번 버스를 통해 문양역이 아닌 이 역에서 환승하기도 한다. 250번의 경우 문양역을 하루 네 번만 지나기 때문에 시간대가 맞지 않으면 대실역을 이용해야 한다. 금호강 건너 세천리에서 넘어오는 주민들도 일부 있지만 이들은 대체로 계명대역에서 갈아타는 것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2021년, 기존 남구 대명동에 위치해 있던 심인중학교, 심인고등학교대구대실초등학교 옆으로 이전하였다. 이 두 학교의 이전 등 교육 환경의 개선이 역세권을 중심으로 계속 이루어짐에 따라, 이 역의 이용객 증가를 기대해볼 만하다.

5. 승강장

파일:대실역 승강장.jpg
승강장
다사
강창
상대식 승강장 구조이며, 대합실을 통해 반대편 승강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파일:Daegu2.svg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다사 · 문양 방면
청라언덕 · 반월당 · 범어 · 영남대 방면

6. 연계 교통

정류소(ID) 시내버스
대실역(1번출구)
(01196)
급행1 425, 524, 527, 564, 655 달서1, 성서1, 성서1-1, 성서2, 성서3(세천리행 한정) 250(성주)
대실역(2번출구)
(02594)
급행1 524, 527, 564, 655 성서1-1, 성서2 250(성주)
대실역1
(03152)
성서1-1, 성서2
대실역2
(03155)
성서1, 성서2
대실역(4번출구)
(01916)
425 달서1, 성서1, 성서3(세천리행 한정)


[1] 환승시 성서2번을 타면 강정고령보까지 갈 수 있다.[2] 매곡에서 세천으로 갈 때 본래는 강창동서타운 쪽의 경사길로 내려갔었다.[3] 이전 달성군 관내에는 도서관이라곤 현풍읍 부리의 현풍읍사무소 근처에 있는 대구광역시립 달성도서관(달성3번 경유), 논공읍 금포리에 있는 달성군청도서관, 달성군 각 읍면 지역에 있는 "작은 도서관" 정도밖에 없었다.[4] 이곳은 달서구 죽전, 감삼, 용산동 소방 업무까지 수행하게 되었는데, 아이러니한 건 거리상 지금도 이 세 동네는 여전히 달서소방서가 출동한다. 구급차는 강서소방서 119 구급대라고 나오지만 119 구조대의 차량은 달서구조대.[5] 대구광역시 북구 강북 지역 대구강북소방서2023년 개서했다.[6] 개통일인 10월 18일부터 12월 31일까지 75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7]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여파

7. 둘러보기

파일:Daegu2.svg 대구 도시철도 2호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px -1px; min-height: 1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px -1px -11px"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