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01b3ed> | }}} | ||||
[[틀:대구광역시 직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3px; color: #fff"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01(-1) | 156 | 204 | | 234 | 240 |
300 | 304 | 306 | 309 | | 323(-1) | |
| 349 | 356 | 401[A] | | 403 | |
405 | 410(-1) | 413 | 425 | 449 | | |
503 | 509 | 518 | 518-1 | | ||
523 | 524 | 527 | 564 | 600[A] | 609 | |
618 | 623 | 649 | 650 | 651 | 653 | |
655 | | 706 | | 708 | 719 | |
724 | | 726 | 730 | 750 | | |
805 | 808 | 814 | 836 | 840 | | |
849(-1) | | 909 | 937 | 939 | 980 | |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
해피투게더 세한여객 차량 | 우진교통 차량 |
1. 노선 정보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655번 | |||||
| |||||
기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유곡리 (유곡리공영차고지) | 종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 (매곡리공영차고지) | ||
종점행 | 첫차 | 05:30 | 기점행 | 첫차 | 05:30 |
막차 | [평일, 토요일] 22:13 / [공휴일] 22:07 | 막차 | [평일, 토요일] 22:10 / [공휴일] 22:13 | ||
평일배차 | 17분(일 74회) | 주말배차 | 공휴일: 22분(일 55회) 토요일: 18분(일 70회) | ||
운수사명 | 해피투게더 세한여객, 우진교통 | 인가대수 | 19대[1][2] | ||
노선 | 유곡리공영차고지 - 유곡공원[A] - 국립대구과학관정문 - 한국생산기술연구원[A] - 비슬초교[A] - 현풍백년도깨비시장 - 현풍중고교(현풍공영버스정류장)[6] - 달성군민운동장 - 대동공업 - 북리 - 논공읍사무소 - 달성군청 - 옥포초교 - 화원고교 - 대곡역 - 대천119안전센터 - 대구비즈니스센터 - 성서산업단지역 - 대실역 - 매곡리공영차고지 |
중간 출발 정류소 | |
유곡리 방면 | 논공읍행정복지센터평일, 토요일, 옥포초등학교공휴일, 명곡리평일, 토요일, 대곡역공휴일, 유천포스코, 계명대학교정문평일 |
매곡 방면 | 논공읍행정복지센터, 이래오토모티브평일, 토요일, 현풍백년도깨비시장공휴일 |
2. 개요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유곡리 유곡리공영차고지(6)에서 달서구 이곡동 성서산업단지역(5)을 거쳐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 매곡리공영차고지(5)까지 운행하는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94.14km로, 대구에서 2번째로 긴 노선이자 간선노선 중에서 가장 긴 노선이다.[7] 그리고 운행시간은 전구간 운행 막차 기준 2시간 10분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1996년 9월 금포리종점[8]~계명대학교동문 구간으로 개통되었던 337번 좌석버스가 이 노선의 전신이다.
- 2006년 2월 19일 개편부터 종점이 다사읍 서재리에서 매곡리공영차고지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달성군청을 경유하고, 편도운행 구간을[12] 본리초등학교로 통합하였다. 인가대수가 3대 증차되어 배차간격이 10분까지 단축되었다.
- 2006년 5월 305번 증차를 위해 세한여객 차량 2대가 감차되었다.
- 2008년 6월 5일, 공기수송으로 악명높던 달성공단1번을 통합하여 금포리 종점에서 달성군민운동장[13]까지 연장되었다. 운행 시간이 1시간 50분~2시간 정도 되는 장거리 굴곡 노선이 되었다.
- 2008년 10월 305번 증차를 위해 세한여객 차량 1대가 감차되었다.
- 2011년 8월 18일 기점이 현풍시외버스터미널까지 연장되었다. 이전에 600번이 현풍시외버스터미널을 종점으로 운행했을 때 경유했던 현풍중고교, 현풍주공아파트 구간을 이어받았다. 무려 왕복 100km에 도달하여 600번에 버금가는 엄청난 장거리 노선이 되었다. 4대 증편했던 600번과 달리 증차 없이 연장되어서, 평일 배차간격은 15분으로 늘어났다.
- 2012년 10월 개편 때 신설된 급행4번 차량 확보를 위해 세한여객 차량 1대가 감차되었다. 배차간격은 15분에서 16분으로 늘어났다.
- 2015년 8월 1일 개편부터 대곡역~상인역~월성2동주민센터~동본리네거리~본리초교~죽전네거리~계명대역 구간 대신 대곡역~대천동공영차고지~성서공단네거리~성서산업단지역~성서주공1단지~계명대역 구간을 경유한다. 기존 구간은 651번[14]과 신설된 달서5번[15]이 대체한다. 경신교통과 남도버스가 철수했고 우진교통이 655번 배차에 참여한다.
- 2015년 12월 21일 운행 시간표가 개정되면서 소폭(1~2분) 줄어들었다.
- 2016년 2월 13일 보완 개편 때 경신교통이 다시 655번 배차에 참여한다. 경신교통이 655번을 3대 배차하지만 기존 두 업체에서 각각 2대, 합쳐서 4대를 뺐기 때문에 총 인가대수가 1대 감차되었다. 평일 배차간격은 14분에서 15분으로 늘어났다.
- 2018년 3월 10일 개편 때 북구4번 증차를 위해 경신교통 1대가 감차되어 배차간격이 평일 15분에서 16분으로 늘어났다.
- 2019년 4월 20일 개편 때 폐지되는 달성8(-1)과 통합되어 대구테크노폴리스를 거쳐 유곡리공영차고지까지 연장되었다. 기존 655번 구간이던 현풍읍내 구간과 달성8/달성8-1 구간이던 DGIST는 더 이상 경유하지 않는다. 결국 100km 가까이 나오는 장대 노선으로 돌아왔다.[16] 인가대수가 2대 증차되었지만 긴 공차거리 문제로 인해 경신교통이 다시 655번 공배에서 철수하였다.
- 2021년 3월 2일 개편 때 옥녀봉사거리에서 유곡사거리로 바로 좌회전하지 않고, 유가사거리로 직진한 후 기존에 노선버스가 없었던 구간인 유곡공원에 진입하여 유곡사거리로 가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유곡공원 인근에 대구공업고등학교 테크노폴리스캠퍼스가 개교하면서, 통학 편리성을 증대하기 위한 조치이다.[17]
- 2021년 9월 8일, 달성군청 앞 정차 전에 국민건강보험공단 달성지사 앞에 추가로 정차한다.
- 2022년 3월 31일, 운행대수 조정으로 우진교통 소속 차량이 4대 감차되어 527번으로 투입되며, 그 빈자리를 해피투게더 세한여객 소속 356번에서 감차된 4대가 메꾸게 된다. 인가대수는 변함없다.
- 2022년 3월 31일 개편 때 우진교통의 인가대수가 6대에서 2대로 줄어든 이후부터 공휴일에는 우진교통이 운휴하고 해피투게더 세한여객이 단독으로 운행한다.
- 2023년 2월 18일부로 중간종료가 폐지되었다.
4. 특징
- 개편 이전에는 오지노선으로 분류되어서[18] 배차간격이 길었지만, 아침에 중고등학교 학생들이 많이 이용했던 노선이었다. 주로 화원읍, 월배에서 성서 방면으로 가는 승객들이 많이 탔었다.[19]
- 2006년 개편 후 무료환승제가 도입되고 준공영제가 도입되어 수익 창출에 덜 신경쓰게 되면서 월배에서 성서까지 더 빨리 이어주는 노선[20]이 생기자 승객이 감소했다. 그래서 2006년 개편 당시 10분 배차였던 것이 지속적으로 감차되고 2008년 이후에는 노선도 길어지면서 배차간격이 벌어졌다.
- 2015년 8월 개편에 따라 수요가 더욱 감소하였다. 개편 이전 때 최대 수요처였던 용산동, 상인동 구간을 달서5번으로 이관하였다. 기존 구간(대곡역~현풍읍)은 급행4번, 600번과 선형이 비슷하며 최대 수요처인 달성1차산단의 거주민들의 수도 감소하고 있다.
- 600번과 월배~달성1차산단 구간이 거의 중복되고, 달성1차공단의 승하차 비율이 적다. 무엇보다 달성공단1번을 흡수하면서 달성1차공단을 한 바퀴 도는 노선이 되어 이 구간에서만 무려 20분 가까이 소요된다.
- 특이한 점은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중에서 240번, 405번과 더불어 기종점 모두 달성군 지역이다. 달성군 남서쪽 현풍읍~논공읍~옥포읍~화원읍에서 월배, 성서 구간을 지나 북서쪽 다사읍으로 들어가는 노선이다.
- 준공영제 이전의 공동 배차제 시절에는 하루에 무려 14개의 버스 회사에서 이 노선을 운행했다. 회사당 1대의 차량이 운행했던 것. 당시 회사별로 1대씩 오지노선 운행만 전담하는 차량이 있었는데, 655번도 오지노선으로 분류되었기 때문에 이 오지노선 운행만 전담하는 차량들만 투입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렇게 오지노선만 전담하는 차들은 대부분 오래 된 차량들이었기 때문에 이 노선을 운행하는 차량들의 연식도 다소 오래되었었다. 2000년까지만 해도 냉방차량 구경하기도 어려웠을 정도.[21]
- 2015년 8월 1일 개편 때 대곡역 ↔ 대천동공영차고지 ↔ 대구비즈니스센터 ↔ 성서산업단지역 ↔ 계명대학교로 노선을 변경 하면서 운행시간이 단축되고 또한 1호선 대곡역과 설화명곡역, 2호선 성서산업단지역에서 지하철로 환승하는 승객들이 많이 늘어났다. 또한 개편으로 계명대학교를 경유하게 되어 달성군(논공, 옥포, 화원)에서 통학하는 학생 수요 또한 증가하였다.
- 간선 노선 중에는 유일하게 한국산업인력공단 사거리에서 직진해서 대천교로 가는 노선이다. 성서산업단지역에서 한국산업인력공단으로 564번과 함께 경유하지만 564번은 대구비즈니스센터에서 좌회전해서 서부정류장으로 빠지다 보니 아침에는 성서산단 근로자들 수요로 인해 만차로 성서산단을 지나다닌다. 성서에서 대곡까지 15분~20분 정도면 도착할 정도로 달서구에서 운행 시간이 대폭 줄어들었다.
- 2016년 2월 개편 때 세한여객에서 623번에 2대, 우진교통에서 성서1(-1)번에 각각 1대씩 이동되면서 차량 4대가 655번에서 빠지고 경신교통에서 3대가 들어오게 되어 인가대수가 1대가 줄면서 배차간격이 늘어날 상황이었지만 15분으로 맞추라는 지시가 있었는지 운행 속도가 빨라졌다.
- 매곡리공영차고지에서 우진교통 기사 교대와 가스 충전, 유곡리공영차고지에서 장기 정차를 한다. 해피투게더 세한여객 기사 교대는 성서산단, 유천교 일대에서 한다.
- 현재 노선과 초창기 노선의 차이가 크다. 1990년대 중후반 신설 당시와 비교했을 때 2015년 8월 이후 현재까지도 유지되는 구간은 달성군예비군훈련장 ~ 대곡역 구간이 끝이다.
- 유곡리 방면은 달성군청앞 정류장에, 매곡리 방면은 달성군청건너 정류장에 정차한다. 대구버스와 카카오맵 앱에서는 유곡리 방면도 달성군청건너 정류장에 정차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정차 하지 않으니 주의해야 한다.
4.1. 일평균 승차량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655번 | ||
<rowcolor=#fefefe>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 8,777명 | - |
2015년 | 9,065명 | △ 288 |
2016년 | 5,519명 | ▽ 3,546 |
2017년 | 5,319명 | ▽ 200 |
2018년 | 5,760명 | △ 441 |
2019년 | 5,069명 | ▽ 691 |
2020년 |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4,534명 | ▽ 535 |
2022년 | 4,714명 | △ 180 |
2023년 | 4,845명 | △ 131 |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 대중교통 DB
-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에 따라 달서구 구간이 달서5번으로 분리되면서 해당 노선의 일평균 승차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5. 연계 철도역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설화명곡역, 화원역, 대곡역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성서산업단지역, 계명대역, 강창역, 대실역
6. 둘러보기
대구 월배 연계 버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급행 | |
간선 | ||
지선 | ||
출근 | 7250 | |
고령 | 606 |
대구 성서 연계 버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급행 | |
간선 | ||
지선 | ||
출근 | 7250 | |
성주 | 250 |
계명대학교 경유 버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성서캠퍼스 | ||||
동문 | 급행1 | 급행5 | 급행7 | 405 | |
425 | 503 | 523 | 524 | ||
527 | 564 | 7250 | |||
달서1 | 달서3 | 달서5 | 성서1-1 | ||
정문 | 급행1 | 524 | 527 | 564 | |
655 | 성서2 | 250 | |||
대명캠퍼스 | |||||
정문 | 순환2-1 | 509 | 650 | 706 | |
805 | 836 | 달서4-1 | |||
후문 | 609 | 808 | 남구1-1 | ||
대명공연거리 | 300 | 306 | 518 | 609 | |
651 | 808 | 남구1-1 | 달서4-1 |
[1] 우진교통 2대 / 해피투게더 세한여객 17대[2] 토요일 18대 / 공휴일 14대 운행[A] 655번 단독구간이다.[A] [A] [6] 급행4번은 현풍공영버스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하기 때문에 현풍백년도깨비시장에서 승하차해야 한다. 구지면에서는 달성4번을 타면 현풍공영버스정류장에 도착할 수 있으며, 현풍공영버스정류장에서 현풍 구 터미널(달성군민체육관)로 편도운행한다.[7] 1위는 95.74km의 급행9번이다.[8] 달성군예비군훈련장 앞 공터에 있는 32번 금포리 종점으로 32번과 같이 종점을 쓰고 있었다.[9] 37번으로 운행했던 당시 행선판은 337번 행선판에서 '3' 하나를 가려서 썼다.[10] 예전에 서재리는 3번 세천리행이 서재초등학교까지 들어왔으며, 거기서 다사읍사무소 서재출장소를 통해 세천리로 진입해서 강창동서타운 경유로 매곡까지 갔다. 그 이후 매곡리로 갔던 6번, 6-1번이 개편을 앞두고 방천리로 변경되고 405번으로 개편되어 현재까지 운행 중이다.[11] 꽤 장거리 노선임에도 불구하고 이 때는 불과 12대로 운행해서 배차간격이 무려 20분이었으며 거기다 일반버스였다. 다만 이후에 조금씩 증차되긴 했다.[12] 논공 방면은 죽전네거리에서 감삼역으로 직진한 후 원화/경화여고를 거쳐 제일여상으로 내려왔고, 다사(서재리)방면은 제일여상에서 본리초등학교로 들어갔다. 감삼네거리에서 성서 방향으로는 좌회전 금지 구간인데다가 U턴이나 P턴까지 할 구간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리초등학교로 하여 죽전네거리로 들어간 것 하지만 2001년 당시 죽전네거리도 2호선 공사로 인하여 성서 방향에 한해 좌회전이 금지되어 구병원 인근에서 U턴 하는 체제로 운행하였다. 2호선 개통 이후 죽전네거리는 노선버스에 한해 좌회전이 허용되었다가 좌회전 금지가 완전히 해제되었다.[13] 달성군민운동장 인근에 KB국민은행 달성공단지점이 있는데, KB국민은행 건너편 주차장에 회차지가 있었다.[14] 유천교~월성주공4단지[15] 유천교↔대구공업대학↔계명대학교동문[16] 655번의 구간 중 유천네거리~상인네거리~월성2동주민센터~본리초교~성서산업단지역 구간을 달서5번으로 이관했으나 유곡리로 연장되어 단축의 의미가 퇴색됐다. 공지된 저상버스 시간표를 보면 알겠지만 많이 걸릴 때는 무려 2시간 32분이나 걸린다.[17] 유곡사거리 서편에 별도 정류소를 만들었다.[18] 2006년 이전까지 모든 시내버스 노선은 1조, 2조, 3조(오지조)로 분류되었는데, 2006년 개편 전까지 오지조 중에서 세자릿수 번호는 131번과 이 노선 둘뿐이었다. 204번도 오지조였으나 이 노선이 증차되면서 2조로 편입되어 나갔다. 참고로 오지조 노선은 회사들도 구형차량 위주로 배치해서, 655번은 2000년대 초까지 대부분의 회사가 무냉방 차량 위주로 배차했다.[19] 이 노선도 굴곡이 좀 있긴 하지만 당시에는 월배 등 6권역에서 성서로 가장 빨리 가는 노선이었다. 6권역에서 성서로 가는 노선으로는 이 노선 외에도 506번이나 665번이 있었지만 이 노선보다 한참 더 돌아서 갔다. 월배에서 성서로 바로 연결할 경우 수익이 나지 않는다고 생각했는지 조금이라도 수익을 내려고 노선을 이리저리 꼬았기 때문이다.[20] 달서1번, 달서3번, 성서2번[21] 어떤 날에는 천연가스차량이 투입된 적이 있기도 했다.[22] 매곡센터, 다사센터(강서본서), 성서센터, 대천센터 등. 심지어 성서와 대천센터는 정류소 이름부터가 해당119안전센터로 오랫동안 사용중이다.[23] 그 전에는 논공으로 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