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대구광역시 도심과 경상북도 칠곡군 및 대구광역시 군위군 사이를 운행하는 농어촌버스}}}에 대한 내용은 [[칠곡 버스 300]]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칠곡 버스 300#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칠곡 버스 300#|]]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대구광역시 도심과 경상북도 칠곡군 및 대구광역시 군위군 사이를 운행하는 농어촌버스: }}}[[칠곡 버스 300]]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칠곡 버스 300#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칠곡 버스 300#|]]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01b3ed> | }}} | ||||
[[틀:대구광역시 직행버스|{{{#!wiki style="border: 1px solid #d82026; 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3px; color: #d82026"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01(-1) | 156 | 204 | 232(-1) | 240 | 300 |
304 | 306 | 309 | 320 | 326 | 349 | |
356 | 401[A] | 402 | 403 | 405 | 410(-1) | |
413 | 425 | 501 | 503 | 504 | 509 | |
518 | 520 | 523 | 527 | 564 | 609 | |
618 | 623 | 649 | 650 | 651 | 653 | |
655 | 665[A] | 706 | 707 | 708 | 719 | |
724 | 725 | 726 | 730 | 802 | 805 | |
814 | 836 | 848 | 894 | 937 | ||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
|
1. 개요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2동 대구종합유통단지(3)에서 대구광역시 중구 대신동 서문시장(0)을 거쳐 대구광역시 남구 봉덕3동 앞산공원(0)까지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34.5km다. 전체 정류장 목록2. 노선 정보
| |||||
| |||||
기점 |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유통단지회차지) | 종점 | 대구광역시 남구 봉덕동(앞산공원) | ||
종점행 | 첫차 | 05:30 | 기점행 | 첫차 | [평일, 토요일] 05:35 / [공휴일] 05:30 |
막차 | 22:43 | 막차 | [평일] 22:33 / [토요일] 22:25 / [공휴일] 22:24 | ||
평일배차 | 15분(일 75회) | 주말배차 | 공휴일: 21분(일 55회) 토요일: 19분(일 62회) | ||
운수사명 | 달구벌버스 | 인가대수 | 11대[1] | ||
노선 | 유통단지 - 베어산업 - 검단동행정복지센터 - 성화여고 - 경북대학교북문 - (→ 산격청구맨션 →/← 대구시 산격청사 ←) - 침산네거리 - 북구청 - (→ 서문시장 →/←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 ←) - 영남이공대학교 - 대명9동행정복지센터 - 앞산공원 |
중간 출발 정류소 | |
앞산공원 방향 | 경북대학교북문평일, 토요일 |
유통단지 방향 | 북구청, 대구교통방송평일, 토요일 |
3. 역사
- 2006년 2월 19일 개편에 의해 신설되었다.
- 2009년 4월 차량 2대가 410-1번으로 이동했다.
- 2015년 8월 1일 개편부터 우진교통 대신 달구벌버스가 운행한다.
- 2016년 2월 13일 차량 1대가 425번으로 이동했다. 평일 배차간격은 13분에서 15분으로 대폭 늘어났다.
- 2020년 9월 19일 기점이 기존 오뚜기물류센터에서 유통단지 회차지로 변경되었다.[2]
4. 특징
- 북중학교에서 경상고등학교 입구로 들어가므로, 북구 복현동에 있는 중·고등학교 통학생들의 이용률이 높다.[3] 이는 칠곡을 제외한 대구 북구 소재 고등학교들 대부분이 복현동에 있기 때문이다.
- 경북대생 수요도 꽤 있다. 남구[4] 및 북구 거주 경북대생과 북구청역에서 환승하는 경북대생이 주로 이용한다. 북구청역을 이용하는 북구 거주민 수요도 꽤 있다. 서문시장을 오가는 남구 거주민 수요도 많다.
- 편도 운행시간은 1시간에서 1시간 10분에 불과하다.
- 본래 14대로 운행했다. 지금은 11대로 운행함으로써, 배차간격이 길어졌다.
- 달구벌버스 노선들 가운데 유일하게 동구로 가지 않지만, 노선 기종점에서 꽤 멀리 있는 달구벌버스가 단독 운행한다. 이는 북구, 수성구에 있는 업체의 차량 여분이 남지 않았으므로, 달구벌버스가 지원운행 개념으로 배정받았다. 그 근거로 경북교통과 세진교통의 수성구 권역 노선 참여가 더 늘어났다. 물론, 경북교통과 세진교통의 경우 범안로 타면 차고지까지 얼마 걸리지 않는다.
- 기사 교대는 남산초교(청라언덕역)에서 실시한다.
- 북구청역~현충삼거리 구간은 쭉 직진만 한다. 이 구간은 왕복 11km 정도로, 왕복 운행거리인 34.5km 중 약 30%에 해당한다.
-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 전 스티커 행선판은 앞산공원 ← 서문시장 → 종합유통단지, 앞산공원 - 서문시장 - 경북도청[5] - 종합유통단지였다.
4.1. 일평균 승차량
| ||
<rowcolor=#fefefe>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 5,063명 | - |
2015년 | 5,118명 | △ 55 |
2016년 | 4,424명 | ▽ 694 |
2017년 | 4,161명 | ▽ 263 |
2018년 | 3,431명 | ▽ 730 |
2019년 | 3,236명 | ▽ 195 |
2020년 |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2,906명 | ▽ 330 |
2022년 | 3,154명 | △ 248 |
2023년 | 3,152명 | ▽ 2 |
※ 하차 인원 미포함 |
5. 연계 철도역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현충로역[6]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청라언덕역[7]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북구청역, 달성공원역, 서문시장역, 청라언덕역[8], 남산역[9]
6.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산격캠퍼스 | ||||
<colcolor=#DA2127> 정문 동문 | 410-1 | 503 | 937 | 북구2 | |
북문 제2북문 | 300 | 306 | 410-1 | 501 | |
523 | 706 | 719 | 북구6 | ||
서문 | 순환2-1 | 232-1 | 300 | 304 | |
306 | 403 | 410-1 | 501 | ||
523 | 623 | 706 | 719 | ||
북구6 | |||||
체육관 | 232-1 | 300 | 306 | 410-1 | |
501 | 523 | 706 | 719 | ||
북구6 | |||||
쪽문 | 순환2-1 | 306 | 403 | 503 | |
북구6 | |||||
테크노문 | 순환3-1 | 232-1 | 410-1 | 413 | |
503 | 719 | 836 | 937 | ||
북구1 | |||||
상주캠퍼스 | |||||
시내버스 | 500번대 | 610번 | |||
시외버스 | 김천 ↔ 안동 | 대구북부 ↔ 점촌 | 동대구 ↔ 점촌 | 청주 ↔ 안동[미정차] | |
[미정차] : 상주종합버스터미널 미정차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경산캠퍼스 | ||||
정문 | 직행1 | 309 | 609 | 649 | |
719 | 894 | 동구10 | |||
100[가지1] | 109 | 399[가지2] | 803-1 | ||
809 | 912 | 918 | 990[가지3] | ||
991 | 경산1-1 | 경산3 | 압량1 | ||
동문 | 999-1 | ||||
후문 | 509 | 100 | 109 | 990 | |
경산1-1 | 경산2-1 | ||||
시외버스 | 경산 ↔ 포항 | 경산 ↔ 울산 | |||
대구캠퍼스 | |||||
대구고등학교 | 349 | 405 | 410-1 | 503 | |
649 | |||||
영대병원역 | 순환3-1 | 564 | 남구1-1 | ||
영남이공대학교 | 300 | 306 | 518 | 651 | |
달서2 | |||||
[가지1]: 윤성A-삼주A 가지 노선 한정 [가지2]: 자인~마곡 가지 노선 한정 [가지3]: 가일~서문시장~자인 가지 노선 한정 [정평역]: 정평역 지원 운행 한정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효성캠퍼스 | 급행5 | 802 | 814 | 894 |
803 | 809 | 818 | 818-1 | ||
913 | 989(-1) | 진량1 | 진량2 | ||
하양-와촌1 | 하양2 | 와촌2 | |||
55 | 555 | ||||
동대구-포항(국도) | 울산-대구대 | 영천-구미 | |||
루가캠퍼스 | 순환3-1 | 326 | 501 | 503 | |
609 | 618 | 623 | 650 | ||
706 | 805 | 836 | 남구1-1 | ||
606 | |||||
유스티노캠퍼스 | 순환2-1 | 204 | 300 | 304 | |
306 | 349 | 405 | 410-1 | ||
503 | 509 | 518 | 609 | ||
649 | 650 | 651 | 706 | ||
805 | 836 | 남구1-1 | 동구1-1 | ||
606 |
[1] 토요일 9대 / 공휴일 8대 운행[2] 두 기점은 대각선으로 마주보고있는, 사실상 같은 장소라고 봐도 무방했으나 300번이 다른 노선들과 다르게 유통단지 뒷길로 출발하는 코스라 기점을 구분해 놓은 것이었다. 기점 변경 후에는 전자관 건물을 반시계 방향으로 한바퀴 돌아서 뒷길로 진입한다.[3] 경상고등학교, 북중학교, 성화중학교, 성화여자고등학교, 성광중고등학교. 이 학교들은 모두 복현동에 있다. 이는 503번, 523번도 마찬가지다.[4] 410(-1)번과 503번의 대명동 경북대 수요 중 현충로 라인 근처의 수요를 백업하는 역할을 한다.[5] 現 대구광역시산격청사[6] 대구교통방송 정류장[7] 남산초등학교 정류장[8] 남산초등학교 정류장[9] 경북공고 정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