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30 08:42:31

대구 버스 849, 849-1

대구 버스 848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01b3ed>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노선
}}}
[[틀:대구광역시 직행버스|{{{#!wiki style="border: 1px solid #d82026; 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3px; color: #d82026"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01(-1) 156 204 232(-1) 234 240
300 304 306 309 320 323(-1)
326 349 356 401[A] 402 403
405 410(-1) 413 425 449 501
503 504 509 518 518-1 520
523 524 527 564 600[A] 609
618 623 649 650 651 653
655 665[A] 706 707 708 719
724 725 726 730 750 802
805 808 814 836 840 848
849(-1) 894 909 937 939 980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 ||
파일:우창 849.jpg
파일:우창 849-1.jpg
849번
(2025년 2월 24일 848번으로 존치)
849-1번
(2025년 2월 24일 폐선)[대체노선]
(2025년 2월 24일 부터 849/849-1번 848번 통합)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금강동 방면
4.1.1. 금강동방면 시간표
4.2. 일평균 승차량4.3. 노선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개요

대구광역시 동구 동호동 동호초등학교(8)에서 수성구 만촌3동 담티역(4)과 사월역(9)을 거쳐 동구 동호동 상록아파트(8)로 돌아오는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노선.

전 구간 주행 영상
본선 운행거리는 26.2(849)/27.7(849-1)km. 전체 정류장 목록은 우측 링크를 참조. (동호-욱수-동호(849번), 금강동(849번), 동호-욱수-동호(849-1번), 금강동(849-1번))

2. 노선 정보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849번
(2025년 2월 24일 848번으로 변경)
기점 대구광역시 동구 동호동(동호초교) 종점 대구광역시 동구 동호동(동호초교)
종점행 첫차 05:40 기점행 첫차 -
막차 22:08 막차 -
배차 22분(일 47회)[2]
운수사명 우창여객 인가대수 5대
노선 본선 동호초교 - 각산역 - 반야월역 - (안심교 → 성동마을[A]사월역 → 신매초교 → 대구농업마이스터고교후문 → 노변중교[A]수성알파시티역 → 무열대 → 효목네거리 → 망우당공원 → 반야월시장 → 경북교통) 이후 역순
금강동 동호초교 → 본선 → 동호육교 → 금강동 → 동호초교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대구 버스 849 노선도.png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849-1번
(2025년 2월 24일 848번으로 통합되어 폐선)
기점 대구광역시 동구 동호동(동호초교) 종점 대구광역시 동구 동호동(동호초교)
종점행 첫차 05:30 기점행 첫차 -
막차 22:05 막차 -
배차 25분(일 43회)[5]
운수사명 우창여객 인가대수 5대
노선 본선 동호초교 - 각산역 - 반야월역 - (경북교통 → 반야월시장 → 망우당공원 → 효목네거리 → 무열대 → 수성알파시티역 → 노변중교[A] → 대구농업마이스터고교후문 → 신매초교 → 사월역 → 성동마을 → 안심교) 이후 역순
금강동 동호초교 → 금강동 → 동호육교 → 본선 → 동호초교
중간 출발 정류소
849 방향 구.남부정류장, 연호동화훼단지
849-1 방향 대구농업마이스터고후문

3. 역사

  • 2009년 1월 17일 개편 때 동호지구에서 동구수성구 일대를 돌고 성동 안동네를 통해 동호지구로 돌아오는 순환버스로 변경되었다. 이에 따라 역방향 노선 849-1번이 신설되었다. 시내버스가 아예 없었던 성동 내부를 경유한다.[9]
  • 2012년 2월 18일 개편 때 매여동, 고모역 가지노선은 수성2번으로 분리되었다. [10]
  • 2013년 8월 26일에 849번은 중앙신체검사소 서편에 있는 한국감정원을 경유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2013년 12월 8일에 849-1번도 대구신서혁신도시를 경유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이 때 849번은 동부경찰서~안심역~중앙신체검사소~한국감정원~중앙신체검사소~안심역 경로로 변경되었다. 849-1번도 같은 코스로 들어갔다.[13]
  • 2013년 12월 20일에 대구신서혁신도시 휴먼시아아파트(LH아파트)와 새론초등학교도 경유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대구신서혁신도시로 들어갔던 건 좋았는데, 원래 배차 간격이 긴 노선을 증편 없이 집어넣으니 배차간격이 아득해졌다. 2006년 신설 때 22분 정도였던 노선이 28분~30분까지 늘어났으니, 증편 의견이 많았다. 849-1번은 배차간격이 더 길다.
  • 2014년 4월 10일 안심역 1번 출구에서 신서네거리 방향으로 우회전하면 나오는 대구선2공원(옛 대구선 선로) 근처 정류장에 정차했다.
  • 2014년 4월 17일부터는 한국사학진흥재단 앞에도 정차했다.
  • 2014년 10월 18일 노선 개편 때 혁신도시 구간을 동구4(-1)번에 넘기고 동구2번과 맞바꿔 각산네거리에서 경북교통 차고지와 반야월역을 경유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동호지구 구간도 동호육교에서 곧바로 동호초등학교로 들어가는 것으로 변경되었다.[14] 배차간격이 대구신서혁신도시로 들어가기 이전으로 줄어들었다.[15]
  • 2017년 5월 29일부터 7월 17일까지 성동 구간의 도로포장 공사로 성동 구간의 운행을 잠시 중단했고, 해당 기간은 임시로 대평동, 정평역 경유로 운행했다.[16]
  • 2019년 7월부터 동호지구 방면 LED 표기가 동호지구 방면에서 동구 동호동 방면으로 변경되었는데, 북구 동호동과 혼동할 여지가 있어서 변경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동호지구에 들어가는 타 노선들도 마찬가지로 변경되었다.
  • 금강동 중간경유 지선은 2021년 7월 31일부터 금강역 정류소도 정차한다.
  • 2023년 2월 18일부로 중간종료가 폐지되었다.
  • 2025년 2월 24일 개편으로 849-1번은 폐선되고 849번은 동호지구 - 시지 - 망우당공원을 운행하는 왕복 노선 848번으로 변경된다. 동시에 3대 증차되고 기존 618번의 금강동 운행 횟수만큼 금강동을 추가 경유할 예정이다. 708번이 망우당공원 - 각산네거리 구간을, 836번이 용계삼거리 - 동호육교 구간을 대체한다.

4. 특징

  • 말이 간선이지 수성3(-1)번과 같은 순환형 지선에 부합하는 노선이다.[17]
  • 849번은 중산삼거리 정류장에서, 849-1번은 정평성당 정류장에서 정차해 잠깐 경산을 경유했다가 다시 대구로 들어온다.
  • 일부 버스 정류장에 있는 849-1 노선안내도는 각산역이 긱산역으로 잘못 표기된 경우가 있다.
  • 여담으로, 대구광역시 순환형 간선버스 4개 노선[18] 중 유일하게 북구, 중구를 지나지 않는다.
  • 시지지구안심지구를 오가는 유일한 노선이다.[19] 그런데 이 구간이 꽤나 수요가 발생하는 편이다. 전체적으로 공기수송인 편이라 다른 노선처럼 입석이 많이 생기지는 않지만, 사월역에서 반야월역 사이는 자리는 다 채워 가는 편이다. 대부분의 승객이 반야월역에서 하차 후 다시 공기 수송을 이어간다. 이는 모두 시지에서 금호강 동측의 1호선을 이용하려는 이용하려는 환승 수요다. 1, 2호선 환승역이 두 지역에서 너무 먼 반월당역이어서, 동선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크게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지만 안심에서 수성구 방향으로 도는 849번 보다는 시지에서 안심까지 바로 이어지는 849-1번 수요가 소폭 더 높다.
  • 전국에서 유일한 849번, 849-1번 버스노선이다. 그러나 2025년 개편 때 848번으로 변경되므로 사라질 예정인 노선번호이다.
  • 849-1번의 경우 효목네거리에서 좌회전을 위해 망우당 고가차도 상단도로를 경유한다. 동시에 청기와주유소건너 정류장과 효목네거리3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한다.[20]
  •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 전 앞뒤 스티커 행선판은 동호지구 ← 남부정류장(만촌역) → 동호지구[21] , 동호지구 - 사월역 - 망우당공원 - 동호지구 (849), 동호지구 - 망우당공원 - 사월역 - 동호지구 (849-1) 였다.

4.1. 금강동 방면

  • 금강동에 각각 1일 3회 지원운행하는 시간대가 있다. 다만, 왕복 운행이 아니며, 849번은 동호공영차고지로 들어올 때만, 849-1번은 동호공영차고지에서 출발했을 때만 금강동을 중간 경유한다.[22] 그나마 618번이 1일 n회뿐[23]이지만 이 곳을 커버해 주고 있다.
  • 2025년 개편 이후로 618번이 더 이상 금강동 지원운행을 하지 않게 되며, 지원운행 횟수가 848번으로 이관된다.

4.1.1. 금강동방면 시간표

||<tablealign=center><rowbgcolor=#01b3ed><tablebordercolor=#01b3ed> 849(-1)번 금강동방면 시간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849번 동호-욱수-동호-금강 시간표 펼치기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0"
동호초등학교시지대성유니드덕원고등학교연호동화훼단지율하교동편금강동
1 09:26 09:41 09:51 10:02 10:30 10:46
2 12:14 12:29 12:39 12:50 13:18 13:34
3 17:11 17:27 17:38 17:50 18:19 18:36
실제 운행시간은 현장 여건 및 도로 교통 상황에 따라 다소 차이가 날 수 있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849-1번 동호-금강-욱수-동호 시간표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0"
금강동율하교동편연호동화훼단지대구농업
마이스터고후문
성동상록아파트
1 07:02 07:20 07:51 08:04 08:22 08:37
2 10:29 10:46 11:16 11:29 11:47 12:02
3 18:09 18:30 19:02 19:15 19:34 19:50
실제 운행시간은 현장 여건 및 도로 교통 상황에 따라 다소 차이가 날 수 있다.
}}}}}}}}} ||

4.2. 일평균 승차량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849번
<rowcolor=#fefefe>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1,118명 -
2015년 1,212명 △ 94
2016년 1,190명 ▽ 22
2017년 1,196명 △ 6
2018년 967명 ▽ 229
2019년 1,070명 △ 103
2020년 해당 연도 DB 미집계
2021년 687명[B] ▽ 383
2022년 1,020명 △ 333
2023년 1,100명 △ 80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849-1번
<rowcolor=#fefefe>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1,199명 -
2015년 1,213명 △ 14
2016년 1,220명 △ 7
2017년 1,178명 ▽ 42
2018년 1,081명 ▽ 97
2019년 1,136명 △ 55
2020년 해당 연도 DB 미집계
2021년 854명[B] ▽ 282
2022년 1,041명 △ 187
2023년 1,102명 △ 61
※ 하차 인원 미포함

4.3. 노선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849, 849-1번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849 849-1
동호초등학교건너
01665
상록아파트
01672
동호육교2
20581 파일:Daegu1.svg
동호육교1
01671 파일:Daegu1.svg
각산역(1번출구)
20585 파일:Daegu1.svg
각산역(2번출구)
01291 파일:Daegu1.svg
이하 편도 순환 운행 구간
반야월역(3번출구)
20506 파일:Daegu1.svg
반야월역(2번출구)
00693 파일:Daegu1.svg
안심교(경산방향)
01673
안심교(반야월방향)
01664
성동앞
01674
성동건너
01663
성동마을앞
20251
성동마을건너
05252
성동탱자나무마을앞
20252
성동탱자나무마을건너
20253
시지대성유니드앞
20254
시지대성유니드건너
02701
정평성당건너
20255
정평성당앞
04107
중산삼거리(대구방향)
-
이마트경산점
20362
사월역(4번출구)
20256 파일:Daegu2.svg
사월역(2번출구)
20361 파일:Daegu2.svg
시지보성아파트앞
20258
고산도서관
20355
신매시장
20360
신매초등학교건너
01699
신매초등학교앞
20408
시지천마타운앞
20404
시지중학교
20359
욱수초등학교건너
20406
욱수초등학교앞
20407
덕원고등학교건너
20357
대구농업마이스터고후문앞
20166
대구농업마이스터고후문건너
20165
고산정수사업소건너
01506
수성월드메르디앙앞
20189
수성알파시티청아람앞
02746
노변중학교건너
20188
노변중학교
20187
노변청구타운앞
20186 파일:Daegu2.svg
노변청구타운건너
02742 파일:Daegu2.svg
고산농협창고건너
01093 파일:Daegu2.svg
고산농협창고앞
03136 파일:Daegu2.svg
월드컵삼거리앞
01096
월드컵삼거리
01091
수성알파시티역(1번출구)
20262 파일:Daegu2.svg
수성알파시티역(5번출구)
20345 파일:Daegu2.svg
연호동화훼단지2
20346
연호동화훼단지1
02300
방공포병학교건너
05204 파일:Daegu2.svg
방공포병학교앞
20343 파일:Daegu2.svg
담티고개2
20348
담티고개1
01087
대륜중고등학교건너
20349
대륜중고등학교앞
20203
도시철도담티역(1번출구)
20350 파일:Daegu2.svg
도시철도담티역(3번출구)
20202 파일:Daegu2.svg
수성대학교건너
20351
수성대학교앞
20199
구.남부정류장앞1
02008 파일:Daegu2.svg
만촌역서한포레스트앞
20197 파일:Daegu2.svg
만촌2동행정복지센터
20215 파일:Daegu2.svg
만촌태왕리더스건너
20216
만촌태왕리더스앞1
20181
무열대앞
20217
무열대건너
20180
만촌1동 느지안전마을
20263
수성시니어클럽앞
20179
효목네거리2
20264
효목네거리1
20178
청기와주유소앞
05265
망우당공원건너
20240
망우당공원앞
20519
화랑교1
20597
화랑교2
02299
우방강촌마을앞
20598
우방강촌마을건너
20518
은하타운건너
20599
은하타운앞
01082
강변동서마을앞
20600 파일:Daegu1.svg
강변동서마을건너
20517 파일:Daegu1.svg
용계삼거리3
20603 파일:Daegu1.svg
용계삼거리1
20593 파일:Daegu1.svg
LG물류센터건너
20657
LG물류센터앞
20592
정동고등학교건너
09012
정동고등학교앞
20591
율하교동편1
01255
율하교동편2
01256
반야월시장1
20658
반야월시장2
20590
각산태영데시앙건너
01260
대구파라곤프레스티지아파트
01258
안심지구대건너
09165
안심지구대앞
09181
경북교통
20589
경북교통앞
20586
반야월역(1번출구)
01277 파일:Daegu1.svg
반야월역(4번출구)1
01274 파일:Daegu1.svg
이상 편도 순환 운행 구간
반야월역(3번출구)
20506 파일:Daegu1.svg
반야월역(4번출구)2
02919 파일:Daegu1.svg
각산역(2번출구)
01291 파일:Daegu1.svg
각산역(1번출구)
20585 파일:Daegu1.svg
동호육교1
01671 파일:Daegu1.svg
동호육교2
20581 파일:Daegu1.svg
[본선] 상록아파트
01672
[금강동] 신서성당앞
02477
[금강동] 신서성당건너
20579
[본선] 동호초등학교건너
01665
X [금강동] 신생원건너
02520
[금강동] 신생원앞
20578
X
[금강동] 금강역2
08226
[금강동] 금강역1
08225
[금강동] 금강동
20577
849
본선
849
금강동
849-1
금강동
849-1
본선
}}}}}}}}} ||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 - 경산, 영천간 시내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노선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368846> 8권역
(경산)
급행5 518-1 708 814 818
818-1 808 55·555
8권역
(영천)
군위-신녕
9권역 309 449 509 609 649
719 840 909 939 980
849-1 100 100-1 399 803
990 991
청: 일부 차량 청도군 금천면 진입 노선.
군청색 : 영천시 시내버스. / 남색 : 경산시 시내버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관련 틀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fff>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 대구-타 지역 간 버스
파일:경산시 CI.svg 경산-타 지역 간 버스 · 파일:영천시 CI.svg 영천-타 지역 간 버스
}}}}}}}}}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 안심 연계 버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급행
간선
지선
경산
영천 55, 555
}}}}}}}}} ||

[폐지] 202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으로 폐지된다.[2] 하양읍을 경유하지 않게 되면서 대화교통과의 공동배차가 파기된다.[3] 202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으로 노선 번호가 802번으로 변경된다.[4] 202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으로 849-1번은 폐지되고 849번은 노선 번호가 848번으로 변경된다.[5] 202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으로 지선으로 형간전환되어 노선 번호가 동구10번으로 변경된다.[폐지]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 시지 연계 버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간선
지선
경산
}}}}}}}}} ||

[폐지] 202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으로 폐지된다.[폐지] [폐지]


[대체노선] 848(구 849), 급행5, 708, 814, 805, 836, 2호선[2] 금강동 방면은 233분(일 3회)[A] 이 노선의 단독구간이다. (849, 849-1을 한 노선으로 보면)[A] [5] 금강동 방면은 334분(일 3회)[A] [7] 정확히는 솔정고개를 거쳐 경기장네거리에서 좌회전 후 다시 시지중학교를 거쳐 신매역으로 P턴하여 회차하였다. 그 후 달구벌대로를 따라 다시 운행하였다.[8] 가지노선 차량 2대는 별도의 행선판을 붙이고 다녔다.[9] 원래 계획은 성동 경유가 아니라 정평동과 대평동을 경유하는 것이었지만 경산버스의 반대로 성동 경유로 바뀌었다.[10] 노선이 분리되기전 849번 본선을 타야하는 승객들이 매여동, 고모역 방면 버스로 잘못타서 중간에 내리는 일이 비일비재했고, 기사조차 버스를 타는 승객들에게 849번 본선과 다른 노선이라고 일일이 설명해 줘야했다.[11] 대구미술관 구간은 604번 혼자 담당했다. 지금은 수성3(-1)번대구미술관 구간을 운행하고 있다.[12] 개편 직전 2013년 1월 15일과 1월 16일에 양일 간 임시로 운행했다.[13] 지금 성서1, 성서1-1번진천동 일대를 다니는 것처럼 역순은 아니었다. 새론초등학교/혁신도시휴먼시아 건너편의 서한e-다음아파트 앞과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앞(병무청 동쪽 건너편)은 버스 정류장이 없었다.[14] 단 금강동 노선은 선형상 신서성당을 경유한다. 849-1번은 동호공영차고지로 돌아올 때에만 강동중고교를 경유하기에 왕복이 아니다.[15] 이 개편으로 각산역 ~ 이마트 반야월점 ~ 안심역 구간은 518번만 운행했다. 지금은 518-1번도 이 구간을 운행하고 있다.[16] 동년 7월 16일에 성동 구간으로 복귀하여 양 방향 운행하는 모습이 목격, 예정보다 공사가 빨리 끝난 것으로 보이며 현재는 정상 코스로 운행 중이다. 도로포장 정비가 끝난 후에는 저상버스 운행이 재개됐다.[17] 오지노선으로 보는 의견도 있다. 수성2번 독립 이전이면 얘기가 다르겠지만 지금은 오지노선이라고 보기 어려운 면들이 많다.[18] 101(-1)번, 323(-1)번, 410(-1)번, 849(-1)번[19] 수성3(-1)번은 시지지구를 겉핥기식으로 지나간다.[20] 수성2번이 매여동을 동구5번에게 넘기고 연호네거리로 단축된 후 효목네거리에서 무열대 방향으로 좌회전하는 유일한 노선이 되었다.[21] 신설 초기 849번만 있을 때는 동호지구 ← 남부정류장(만촌역) → 신매역 이었으며 매여동 가지노선은 욱수동 ← 남부정류장 → 매여동 이었다.[22] 금강동 주민들은 실제로 15분 정도 걸어서 각산역이나 안심역까지 가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23] 금강동출발은 6회, 금강동도착은 5회[B] 경산시 일평균 승차량이 누락된 수치이다.[B] [26] 강변동서마을 또는 용계삼거리 정류장[27] 정평성당 정류장[28] 고산농협창고 또는 노변청구타운 정류장[29] 849번은 구.남부정류장 또는 만촌2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 849-1번은 만촌역서한포레스트 정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