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31 19:43:30

대구 버스 동구2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f6af30>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노선
}}}
[[틀:대구광역시 직행버스|{{{#!wiki style="border: 1px solid #d82026; 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3px; color: #d82026"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6af30><colcolor=#fff> 가창
서구
남구
달서
달성
동구
북구
성서
수성
칠곡
팔공
행사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 ||
파일:경북교통 동구2.jpg 파일:dgd2-aclf.png
경북교통 차량 신일여객 차량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4.2. 2025년 개편 후 문제점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개요

대구광역시 동구 동호공영차고지에서 북구 대현동 경북대학교정문을 거쳐 다시 동호공영차고지로 순환 운행하는 신일여객경북교통 소속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분리 노선으로 시청 방면과 북구청 방면이 있다. 본선 운행거리는 42(시청)/42.1(북구청)km.

2. 노선 정보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동구2번(시청)
(2025년 2월 24일 폐지)
기점 대구광역시 동구 동호동(동호초등학교) 종점 대구광역시 동구 동호동(상록아파트)
종점행 첫차 [평일] 05:41 / [토요일] 05:30 / [공휴일] 05:46 기점행 첫차 -
막차 [평일] 21:36 / [토요일] 21:25 / [공휴일] 21:32 막차 -
평일배차 26분(일 44회) 주말배차 토요일:30분(일 39회)
공휴일:34분(일 34회)
운수사명 경북교통, 신일여객 인가대수 통합 16대(경북 3, 신일 13)[A]
노선 동호초교 - 영조아파트[2] - 강동중·고등학교 - 반야월시장 - 용계역 - 방촌시장 - 대구 공군기지 정문 - 대구국제공항 - 영진전문대학교정문 - 경북대학교정문 - (동신초교 → 신천역칠성시장역대구시동인청사 → 봉산가구골목 → 대구향교남산2동행정복지센터매일신문본사 → 섬유회관북구청 → 침산네거리 → 동대구시장) 이후 역순
밑줄 친 구간은 이 노선의 단독구간이며, 볼드체 구간은 양방향 모두 동일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바람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동구2번(북구청)
(2025년 2월 24일 폐지)
기점 대구광역시 동구 동호동(동호초등학교) 종점 대구광역시 동구 동호동(상록아파트)
종점행 첫차 [평일, 공휴일] 05:30 / [토요일] 05:43 기점행 첫차 -
막차 [평일] 21:24 / [토요일] 21:39 / [공휴일] 21:16 막차 -
평일배차 26분(일 44회) 주말배차 토요일:30분(일 39회)
공휴일:34분(일 34회)
운수사명 경북교통, 신일여객 인가대수 통합 16대(경북 3, 신일 13)[A]
노선 동호초교 - 영조아파트[4] - 강동중·고등학교 - 반야월시장 - 용계역 - 방촌시장 - 대구 공군기지 정문 - 대구국제공항 - 영진전문대학교정문 - 경북대학교정문 - (동대구시장 → 침산네거리 → 북구청섬유회관매일신문본사 → 남산2동행정복지센터대구향교 → 봉산가구골목 → 대구시동인청사칠성시장역 → 동신초교) 이후 역순
밑줄 친 구간은 이 노선의 단독구간이며, 볼드체 구간은 양방향 모두 동일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바람
중간 출발 정류소
시청 방향 영진전문대학교정문평일, 경북대학교정문, 삼덕성당, 동부경찰서평일
북구청 방향 K-2입구평일, 토요일, 경북대학교정문, 삼덕교회, 방촌역평일, 동부경찰서토요일
중간 종료 정류소
시청 방향 삼덕성당 23:00[토요일]/23:05[평일]/23:07[공휴일]~23:07[공휴일]/23:25[평일, 토요일]
북구청 방향 봉산가구골목(동편) 23:05[평일]/23:07[공휴일]/23:25[토요일]~23:25[평일, 토요일]/23:31[공휴일]

시청 방향 정류소 목록
북구청 방향 정류소 목록

3. 역사

  • 2006년 개편 때 개통되었으며, 반야월 구간은 718번의 구간을 이어받았다. 신설 때부터 2015년도 개편 때까지 노선은 동호초교~(동구2번 현 구간)~칠성시장(농협)~경명여자중고교~대구역북편네거리~중앙로역(경상감영공원)~동산네거리(섬유회관)~(동구2번 현 구간)~동호초교이었다.
  • 2015년 8월 1일 개편 때 인가대수 2대를 증차했다. 신일여객 감차분 1대와 개편 증차분 2대를 채우려고 대일버스가 동구2번 배차에 참여했다. 농협칠성동지점(청과시장)~경명여고~대구역북편네거리~경상감영공원~섬유회관 구간 대신 폐지된 420(-1)번의 대구향교 및 남산2동행정복지센터 구간을 가져와서 농협칠성동지점(청과시장)~칠성신협~대구시동인청사~대구향교~남산2동행정복지센터~매일신문본사~섬유회관 구간을 운행한다.[5] 기존 구간은 623번이 대체한다.
  • 2019년 7월부터 동호지구 방면 LED 표기가 동호지구 방면에서 동구 동호동 방면으로 변경되었는데, 북구 동호동과 혼동할 여지가 있어서 변경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동호지구에 들어가는 타 노선들도 마찬가지로 변경되었다.
  • 2023년 2월 18일 시간표가 개편되었는데 삼덕성당, 봉산가구골목까지 운행하는 중간종료 막차가 유지된다.[6] 순수 대구 노선 중 유일하게 막차시간과 중간종료가 유지되는데, 이유는 아래 참고.
  • 2025년 2월 24일 개편으로 폐지된다. 836번이 동호지구 - 입석중학교 구간을, 동구1(-1)번이 매일신문사 - 대구향교 구간을 대체한다.[7] 대현동~북구청 구간은 노선을 1회 이상 갈아타야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4. 특징

  •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
  • 동구 반야월, 방촌 지역에서 경북대학교정문으로 가는 유일한 노선이다.
  • 공통 구간에서는 719번836번의 백업 역할을 맡고 있다. 다만, 719번은 복현네거리에서 복현오거리를 거쳐 경북대북문으로 가며, 836번은 중간에 동구청을 거쳐 복현네거리로 간다.
파일:attachment/1_8.jpg파일:attachment/2_9.jpg
북구청 방면 시청 방면
  • K-2 비행장 입구 구간에서 정류장이 하나만 있는 이유는 입구 앞에 있는 즐비한 택시들와 일반차량 때문이다.
  • 대구국제공항에서 반야월 방면으로 갈 때는 입석네거리에서 신호 대기시간 때문에 엄청난 소요시간을 각오해야 한다. 2대가 붙어다닐 경우에는 K-2 비행장 입구로 안 가는 뒤차를 볼 수 있다.
  • 1/2 순환 구간은 분리 운행으로 배차간격이 길어서, 항상 공기만 싣는다. 배차간격 문제도 있지만, 노선 선형상 수요가 없을 수밖에 없다. 아주 적게나마 수요가 있는 구간은 북구청~침산동 구간인데, 이 구간의 수요도 300번523번 대비 매우 적다. 신천동~칠성시장 구간은 같은 코스로 다니는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이 있어서 수요가 없으며, 북구청행은 좌회전 때문에 신천역을 무정차 통과한다. 칠성시장~동인청사~봉산동가구골목~대구향교~남산2동행정복지센터~매일신문본사~섬유회관 구간은 빙 둘러갈 뿐만 아니라, 공평로에서 교통 체증 문제로 시간만 다 잡아먹고 빈차로 다닌다.
  • 동침산네거리 정류장(강변일성트루엘, 새한맨션)에 왕복으로 정차하는 유일한 노선이다. 나머지 노선들은 해당 정류소의 정차를 인가받지 않았는데, 교차로에서 좌회전해야 하기 때문에 교통 흐름상 정차가 곤란하기 때문이다.
  • 경북교통 운행 노선들 가운데 유일하게 수성구를 지나지 않는다.[8]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노선들 가운데 808번과 더불어 후행 차량이 선행 차량을 앞질러 가는 일이 빈번하다. 이는 대구대행과 금호행의 왕복 운행시간이 미묘하게 달라 1:1 배차를 해도 운행 중 배차간격이 어긋나는 808번처럼 동구2번 역시 분기 지점에서 시계 방향으로 운행하는 시청행 버스와 반시계 방향으로 운행하는 북구청행 버스가 1:1 비율로 배차되지만 반시계 방향으로 루프를 도는 북구청행이 좌회전 신호를 더 오래 기다려야 하므로 배차간격이 서로 어긋나게 된다.[9] 즉, 기점에서 북구청행-시청행-북구청행-시청행이 교대로 출발하더라도 운행 중 서로 배차가 엇갈려 돌아올 쯤에는 북구청행-시청행-시청행-북구청행 순으로 역전되는 일이 다반사이다.
  • 이 노선은 왕복으로 1타임에 3시간 이상 걸리는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에서 운행 시간이 가장 긴 노선이다. 3시간 22분 걸리는 순번도 있다. 따라서 노선 단축을 주장하는 버스 동호인과 기사의 의견이 꽤 있다. [10]
  • 이러한 특성으로 2023년 2월 18일, 다른 노선들은 중간종료 막차가 모두 폐지되었지만 동구2번은 대구 노선 중 유일하게 중간종료가 폐지되지 못해서,[11] 삼덕성당 종착 막차와 봉산가구골목 종착 막차를 운행하게 되었다. 만약 동구2번의 중간 종료를 폐지하게 된다면 24시 20분의 3시간 전인 21시 20분 쯤에 막차가 출발해 그 이후로 동호동→서문시장 방향에 버스가 너무 일찍 끊기는 불편함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해당 중간종료 막차를 제외한 다른 순번들은 종점까지 운행하도록 조정되었다.
  • 개편 전 앞뒤 스티커 행선판은 동호지구 ← 서문시장[12] → 동호지구, 동호지구 - 대구공항 - 서문시장[13] - 동호지구 였다.[14]

4.1. 일평균 승차량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동구2번
<rowcolor=#fefefe>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5년 4,685명 -
2016년 4,614명 ▽ 29
2017년 4,451명 ▽ 163
2018년 4,379명 ▽ 72
2019년 4,034명 ▽ 345
2020년 해당 연도 DB 미집계
2021년 3,271명 ▽ 736
2022년 3,352명 △ 81
2023년 3,574명 △ 222
※ 하차 인원 미포함

4.2. 2025년 개편 후 문제점

2025년 2월, 본 노선이 동구 지선 중 유일하게 폐지된다. 이로써 202번에 이어 북구를 순환하는 노선이 또 한 개 폐지되는 것인데, 이로 인해 수요 편중과 적지 않은 환승저항이 예상된다. 우선 북구청~대현동 구간은 수요가 많지는 않지만 침산동~동대구역으로 이동하기 위해 이 노선을 탄 뒤 타 노선으로 환승하는 사람은 꽤 존재한다. 물론 개편 이후로는, 동대구역으로 가는 노선으로 환승하기보다는 서대구역으로 가는 323번을 이용하여 한 번에 고속철도로 환승하는게 더 편리하겠지만 323번도 204번 못지 않게 배차간격이 자주 깨지거니와 동대구역보다 열차 정차 횟수가 더 적다. 마지막으로 503번과 719번의 수요 폭증이 예상된다. 이는 503번이 침산동, 대현동~경대정문, 719번이 침산동~경대북문으로 가기 때문에 환승 수요가 몰릴 수 있다는 것.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한국공항공사 세로형 로고.svg 대구국제공항 경유 시내버스
· · · · · · ·
인천 · 김포 · 제주 · 김해 · 대구 · 청주 · 무안 · 광주 · 양양 · 울산 · 여수 · 포항경주 · 군산 · 원주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 안심 연계 버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급행
간선
지선
경산
영천 55, 555
}}}}}}}}} ||

[폐지] 202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으로 폐지된다.[2] 하양읍을 경유하지 않게 되면서 대화교통과의 공동배차가 파기된다.[3] 202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으로 노선 번호가 802번으로 변경된다.[4] 202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으로 849-1번은 폐지되고 849번은 노선 번호가 848번으로 변경된다.[5] 202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으로 지선으로 형간전환되어 노선 번호가 동구10번으로 변경된다.[폐지]

파일:경북대학교 심벌마크.svg 경북대학교 경유 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산격캠퍼스
정문
동문
410-1 503 937 동구2
북구2
북문
제2북문
급행6[정차] 300 306 410-1
523 706 719
서문 급행6 순환2-1 300 304
306 323-1 403 410-1
523 623 706 719
체육관 300 306 323-1 410-1
523 706 719
쪽문 순환2-1 306 403 503
동구2
테크노문 순환3-1 323-1 410-1 413
719 836 937 북구1
북구2
상주캠퍼스
시내버스 500번대 610번
시외버스 김천 ↔ 안동 대구북부 ↔ 점촌 동대구 ↔ 점촌 청주 ↔ 안동[미정차]
[정차] : 북문만 정차, 제2북문 미정차
[미정차] : 상주종합버스터미널 미정차
}}}}}}}}} ||

파일:대구가톨릭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가톨릭대학교 경유 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효성캠퍼스 급행5 518-1 708 808
814 840
803 809 818 818-1
911 진량1 진량2 하양-와촌1
하양2 와촌2
55 555
동대구-포항(국도) 울산-대구대 영천-구미
루가캠퍼스 급행6 순환3-1 503 609
618 623 650 706
805 836 남구1-1 서구1-1
606
유스티노캠퍼스 순환2-1 204 300 304
306 349 405 410-1
503 509 518 609
649 650 651 706
805 808 836 남구1-1
동구2
606
}}}}}}}}} ||

파일:영진전문대학교 심볼.svg 영진전문대학교 경유 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복현캠퍼스
정문 503 719 북구1 동구2
후문 순환3-1 323-1 410-1 413
719 836 937 북구1
북구2
글로벌캠퍼스
정문 성서2 250-1
}}}}}}}}} ||

[A] 토요일은 14대, 공휴일은 12대로 운행[2] 2단지만 경유. 노선도에 나와있지 않다.[A] [4] 2단지만 경유. 노선도에 나와있지 않다.[5] 개편 전까지는 대구광역시 BIS에서 신암지하도방면, 경대교방면이라고 표시되었다. 개편 이후부터는 시청방면, 북구청방면으로 표시된다.[6] 이는 편도 순환 구간이 너무 길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다. 하물며 2025년 개편에서 이런 이유로 이 노선이 폐지될 예정이다.[7] 단, 836번은 동구2번 신설 초기처럼 반야월역을 경유한다.[8] 급행5번, 805번이 다니는 대구중앙고등학교앞 정류장은 수성구 범어3동 소재다. 651번도 만촌1동(효행로, 만촌동 자전거경기장, 인터불고호텔)을 경유한다.[9] 2006년 개편 전에는 750번이, 2006년 개편 이후에는 북구2번, 성서3번, 칠곡2번이 이런 방식으로 운행했다. 지금은 이렇게 운행하지 않는다.[10] 가끔 시청행과 북구청행 둘 다 휴식 때문인지 대구향교, 시청동인청사, 칠성신협 등지에서 알박기하는 경우가 있다.[11] 이러한 특성상 종점까지 모두 운행하는 노선중 장거리 노선들은 모두 기, 종점 막차시간이 앞당겨지는 원인이 되어 불편이 있다.[12] 실제로는 서문시장을 경유하지 않았고 가까운 섬유회관 정류장에 정차했다.[13] 실제로는 서문시장을 경유하지 않았고 가까운 섬유회관 정류장에 정차했다.[14] 앞뒤 스티커 행선판으로는 따로 경대교행, 신암지하도행을 구분할 방법이 없었고 보조행선판을 보아야 했다.[15] 동호육교 정류장[16] 시청행만 정차. 북구청행은 좌회전 때문에 신천역을 무정차 통과한다.[17] 섬유회관 정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