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7-01 07:15:41

수학자/목록/1961-1970년 출생

1. 개요

수학자중 1961-1970년에 출생한 인물 목록을 다룬 문서.

2. 목록

이름 출생 년도 주요 업적 주요 수상 내역[1]
티에리 코캉[2] 1961 CoC(Calculus of constructions), Coq
젬 얄츤 이을드름[3] 1961 쌍둥이 소수 추측과 관련된 다음의 정리를 증명했다. [math(\displaystyle\liminf_{n\to\infty}\frac{p_{n+1}-p_n}{\log p_n}=0)] 여기서 [math(p_n)]은 n번째 소수를 의미한다. 이 식의 의미는 임의의 양의 실수 c에 대해서도 무한히 많은 소수 p와 바로 다음 소수 p'의 쌍이 존재하여, 차이가[math(c\log p)]보다 작게 된다는 것이다. 2014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토마시 므루브카[4] 1961 크론하이머-므로카 기본 클래스, 밀너 추측(매듭 이론) 증명, 톰 추측 증명, 자이베르그-위튼 플로어 호몰로지 2007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스티븐 루디치 1961 자연 증명(natural proof)[5]
오데드 슈람[6] 1961 슈람-뢰브너 진화, 지워진 루프 무작위 걸음, 평면 브라운 운동의 바깥 경계의 프랙털 차원이 4/3이라는 만델브로트 예측 증명 2001년 살렘상, 2002년 클레이 연구상, 2003년 루에브상, 2007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지브 루드닉 1961 산술 양자 고유 에르고딕성(Arithmetic Quantum Unique Ergodicity) 추측
사이토 모리히코 1961 Mixed Hodge module 도입, 번스타인-사토 다항식을 임의의 대수 다양체로 일반화함
진이 카이[7] 1961 복잡한 가중치를 갖는 CSP 계산의 복잡성[8] 2021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클레르 부아쟁 1962 켈러 다양체에서 호지 추측이 거짓임을 증명 2008년 클레이 연구상, 2017년 쇼상 수학부문
즐릴 셀라[9] 1962 유한 생성 비아벨 자유군이 동일한 first-order theories을 가지고 있음을 보임으로 타르스키 문제를 해결 2008년 카프상
리처드 로런스 테일러 1962 모듈러성 정리,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의 증명, 사토-테이트 추측 증명, 표수가 0인 국소체 K에 대한 일반 선형군 [math(GL_{n}(k))]에서 국소 랭글렌즈 추측 증명 2001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2001년 페르마상, 2002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2007년 쇼상 수학부문, 2007년 클레이 연구상, 2015년 브레이크스루 상 수학부문
볼프강 소르겔[10] 1962 소르겔 쌍가군(Soergel bimodules)
김정한 1962 램지의 정리에서 R(3,t)의 값이 [math(\Theta(t^2/\log t))]의 점근식을 가진다는 것을 증명 1997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울리히 빌헬름 콜렌바흐[11] 1962 Proof mining[12]
조나단 솔로몬 필라 1962 지겔 모듈러 대수 다양체 및 모듈러 곡선의 임의에 곱의 경우에 대해서 앙드레-오르트(André–Oort) 추측을 증명 2011년 클레이 연구상, 2013년 카프상
피에르 콜메즈 1962 L 함수 및 p진 갈루아 표현에 기여 2005년 페르마상
로빈 토머스 1962 강한 완벽 그래프 추측 해결, k=6일 때 하트비거(Hadwige) 추측 증명 1994년, 2009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장수우[13] 1962 평균 콜메즈 추측(averaged Colmez conjecture) 증명, 보고몰로프 추측(Bogomolov conjecture) 증명, 유리수 위의 타원곡선에서 totally real field에 대한 GL(2) 유형의 모듈러 아벨리안 대수 다양체에서 그로스-재기어 정리의 일반화를 증명
프랭크 멀 1962 비선형 분산 방정식의 해석에 중요한 연구들[14][15][16], 일부 초임계 영역에서 디포커싱 비선형 슈뢰딩거 방정식과 압축성 오일러 및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에 대한 폭발하는 해의 존재를 증명 2005년, 2023년 보셰 기념상, 2023년 클레이 연구상
나카지마 히라쿠 1962 네크라소브 추측 증명, 준사영 곡면에 있는 힐베르트 스킴의 호몰로지 군의 직합(direct sum)에 대한 하이젠베르크 대수의 표현을 구성함 2003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이반 보리소비치 페센코[17] 1962 더 높은 국소 유체론(Higher local class field theory), 더 높은 국소 유체론과 adelic 대상에서 더 높은 하르 측도와 적분을 발견
루이지 암브로시오 1963 유계 변동 함수의 연쇄 법칙을 확장, 암브로시오-토르토렐리(Ambrosio–Tortorelli limit) 극한 2003년 페르마상
알렉산드르 알렉산드로비치 라즈보로프[18] 1963 자연 증명(Natural proof), 플래그 대수(flag algebra), 몇가지 필수적인 알고리즘 문제의 불 회로(Boolean circuit)의 하한을 증명하는 근사 방법을 도입 1990년 IMU 주판 메달
프레데리크 엘랭[19] 1963 기하학과 물리학에 영향을 미치는 변분법에 대한 몇가지 공헌[20][21] 1999년 페르마상
파브리스 브두엘[22] 1963 기하학과 물리학에 영향을 미치는 변분법에 대한 몇가지 공헌[23][24][25] 1999년 페르마상
그레고리 홀스[26] 1963 보렐 동치관계에 turbulence 이론을 사용 2003년 카프상
페드로 도밍고스 1963 마르코프 논리 네트워크(Markov logic network)
알렉세이 유리에비치 키타예프 1963 위상 양자 컴퓨터, 양자 위상 추정 알고리즘, QMA(Quantum Merlin Arthur) 양자 멀린-아서 프로토콜 2012년 브레이크스루상 물리학 부문
유발 페레스[27] 1963 무한 케일리 그래프의 무작위 침투에 대한 연구, tree-indexed 무작위 걸음과 무작위 트리에서의 무작위 걷기 속도 연구, 브라운 운동과 무작위 걸음에 대한 특정 교차 특성이 분기과정의 생존 특성과 사실상 동등하다는 관찰 2001년 루에브상
윌리엄 티머시 가워스 1963 바나흐 공간 이론에서 무조건 기본열 문제(unconditional basic sequence problem) 해결, 가워스 노름, 발로그-세메레디-가워스 정리, 세메레디 정규성(regularity) 보조정리가 tower type 하한을 가짐을 증명 1998년 필즈상
김민형[28] 1963 산술 천-사이먼스 이론(Arithmetic Chern-Simons Theory), 산술 게이지 이론(Arithmetic gauge theory)
황준묵 1963 라자스펠트 예상을 증명함
피터 베네딕트 크론하이머 1963 크론하이머-므로카 기본 클래스, 밀너 추측(매듭 이론) 증명, 톰 추측 증명, 자이베르그-위튼 플로어 호몰로지 2007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토비아스 홀크 콜딩 1963 3차원 다양체에 고정된 종수의 매장된 최소 곡면의 공간에 관한 연구, 매장된 곡면에서의 칼라비-야우 추측 증명 2010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마티아스 플라흐 1963 콜리바긴-플라흐 방법
코하야카와 요시하루 1963 그레프의 색칠 임계값(chromatic thresholds of graphs)[29] 2018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베른트 지베르트 1964 그로스-지베르트(Gross-Siebert) 프로그램 2016년 클레이 연구상
제임스 맥커넌 1964 모든 표수가 0인 체에 대한 모든 일반 유형 다양체는 최소 모델을 가짐을 증명, 다양체의 로그 일반 유형의 유계성, 고차원에서의 로그 플립의 존재 증명 2007년 클레이 연구상, 2009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2018년 브레이크스루상 수학부문
가보르 타르도스[30] 1964 스탠리-윌프 추측 증명
막심 리보비치 콘체비치[31] 1964 콘체비치 불변량(콘체비치 적분), 모티빅 적분, 콘체비티 양자화 공식, 안정 사상(Stable map), 위튼 추측 증명, 호몰로지 거울 대칭, 주기(대수 기하학), 미분 등급 스킴 1998년 필즈상, 2012년 쇼상 수학부문, 2012년 브레이크스루 상 물리학 부문, 2015년 브레이크스루상 수학부문
트래버 디옹 울리 1964 웨어링 문제에 대한 돌파구 마련[32][33][34] 1998년 살렘상
프레드 어빈 다이아몬드 1964 모듈러성 정리
텅샹화[35] 1964 Smoothed analysis[36] 2009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리처드 케니언 1964 도미노 타일링의 등각 불변성[37], 이합체와 아메바[38], 도미노 타일링과 가우스 자유 장[39], 도미노 타일링의 변분 원리[40] 2007년 루에브상
미셸 자비에 괴만스[41] 1964 준정부호 계획법(semidefinite programming)을 이용한 최대 절단(maximum cut) 및 충족 가능성 문제에 대한 개선된 근사 알고리즘[42] 2000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장 이브 베지아우[43] 1965 보편 논리학[44]
파비앙 모렐 1965 A¹호모토피 이론 도입
미켈 소럽[45] 1965 근선형 시간(Near-Linear Time)에서의 결정론적 엣지 연결성(Edge Connectivity)[46] 2021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알렉스 에스킨 1965 마술 지팡이 정리(Magic wand theorem), P-불변량의 분류와 변환 곡면(translation surfaces)의 모듈라이에 대한 정상(stationary) 측도 2007년 클레이 연구상, 2020년 브레이크스루상 수학부문
엠마누엘 울모 1965 보고몰로프 추측(Bogomolov conjecture) 증명
앙리 르네 다몽 1965 다몽 점(Darmon points), 베르톨리니-다몽 정리, P진수에서 그로스-재기어 공식과 유사한 공식을 증명하고 P진 L-함수의 값을 모듈러 곡선의 기하학적 구조로 구성된 코호몰로지류와 연결한 연구 2017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서보 졸탄 1965 히가드 플로어 호몰로지, 매듭 플로어 호몰로지, 4차원 다양체의 오즈바스-서버 불변량, 사교 톰 추측 증명 2007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마크 윌리엄 그로스 1965 그로스-지베르트(Gross-Siebert) 프로그램 2016년 클레이 연구상
랄프 쉰들러[47] 1965 마틴 최대 공리의 강력한 형태인 MM++가 우딘의 공리(*)를 암시한다는 오랜 추측에 대한 긍정적인 해결책을 제시 2022년 하우스도르프 메달
아이세 요한 데 용[48] 1966 표수가 0인 경우에 모든 차원에서 특이점 해소(데 용의 방법은 표수 p에 대해 모든 차원의 다양체에 대해 약한 결과를 제공함) 2000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마닌드라 아그라왈 1966 AKS 소수판별법 2002년 클레이 연구상, 2006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블라디미르 알렉산드로비치 보예보츠키 1966 모티브 코호몰로지, A¹호모토피 이론 도입, 밀너 추측(대수적 K 이론) 증명, 노름 대수 다양체, 블록-가토 추측(노름 유수 동형사상 정리) 증명, Univalent foundations 2002년 필즈상
스베틀라나 야코블레브나 지토미르스카야 1966 열 잔의 마티니(Ten Martini) 문제 해결
그리고리 페렐만 1966 푸앵카레 추측 증명, 서스턴 기하화 추측 증명, 영혼 추측 증명 2006년 필즈상[49]
노암 엘키스 1966 오일러 추론이 거짓임을 증명, 유리수에 대한 타원곡선에는 무한히 많은 Supersingular prime이 있음을 증명, 슈프-엘키스-앳킨(Schoof–Elkies–Atkin) 알고리즘
마두 수단[50] 1966 PCP 정리 및 근사의 난해함(hardness of approximation)의 응용, 구루스와미-수단 리스트 디코딩 알고리즘(Guruswami–Sudan list decoding algorithm) 2002년 IMU 주판 메달
로랑 라포르그 1966 함수체 K 위의 일반선형군 GL(n, K)에 대한 랭글랜즈 추측 증명(라포르그 정리) 2000년 클레이 연구상, 2002년 필즈상
벤 괴르첼[51] 1966 확률적 논리 네트워크(Probabilistic logic network)
자비에르 톨사[52] 1966 Analytic capacity의 준 가산성(semi-additivity)에 대한 비투쉬킨(Vitushkin)의 문제 해결, 팽르베(Painlevé) 문제 해결 2002년 살렘상
데이비드 폴 윌리엄슨 1967 준정부호 계획법(semidefinite programming)을 이용한 최대 절단(maximum cut) 및 충족 가능성 문제에 대한 개선된 근사 알고리즘 2000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다니엘 이오안 타타루[53] 1967 거친 계수와 준선형 파동 방정식에 대한 스트리차츠(Strichartz) 추정 및 unique continuation problem에 대한 많은 깊은 기여[54] 2002년 보셰 기념상
피터 스티븐 오즈배스 1967 매듭 플로어 호몰로지, 4차원 다양체의 오즈바스-서보 불변량, 히가드 플로어 호몰로지, 사교 톰 추측 증명 2007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윌리엄 필립 미니코지 2세 1967 3차원 다양체에 고정된 종수의 매장된 최소 곡면의 공간에 관한 연구, 매장된 곡면에서의 칼라비-야우 추측 증명 2010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찬드라셰카르 카레 1967 세르 모듈러성 추측을 증명 2007년 페르마상, 2011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페도르 르보비치 나자로프[55] 1967 지수 합(exponential sum)에 대한 나자로프 부등식, 불확정성 원리와 벨만(Bellman) 함수 방법의 발전에 기여[56] 1999년 살렘상
산지브 아로라[57] 1968 [math(O(\log n))]에서 [math(O(\sqrt {\log n}))]로 그래프 구분자(graph separators) 및 관련 문제의 근사비(approximation ratio) 향상[58] 2012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마한 엠제이[59] 1968 캐넌-서스턴 사상(Cannon-Thurston maps)의 존재 증명[60][61][62]
에드워드 프렌켈[63] 1968 양자 아핀 대수 표현인 W-대수 및 q-지표의 변형을 도입, 유한체에서 기하학적 랭글랜즈 추측을 증명
프란시스코 산토스 릴[64] 1968 허쉬 추측[65]의 반례를 발견 2015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크리스토프 틸레 1968 쌍선형 힐베르트 변환, 칼레손 정리, 칼데론 추측 해결 1996년 살렘상
벤델린 베르너 1968 슈람-뢰브너 진화, 평면 브라운 운동의 바깥 경계의 프랙털 차원이 4/3이라는 만델브로트 예측 증명, 지워진 루프 무작위 걸음 2001년 페르마상, 2005년 루에브상, 2006년 필즈상
크리스토프 브뢰일[66] 1968 모듈러성 정리
모치즈키 신이치[67] 1969 프로베니오이드(Frobenioid), p진수 타이히뮐러 이론, 호지-아라켈로프 이론, 우주-간 타이히뮐러(Inter-universal Teichmüller) 이론, 안아벨 기하학에서 그로텐디크 추측을 증명, abc 추측의 증명[68]
앨리스 기오네트 1969 위그너 행렬의 스펙트럼 측도에 대한 큰 편차 원리와 일반화된 가우시안 행렬의 스펙트럼 측도 및 더 일반적인 모델의 스펙트럼 측도에 농도에 대한 큰 편차 원리 증명, 무작위 행렬과 다이슨의 브라운 운동에 대한 확률 해석학을 자유 확률과 연결 2009년 루에브상
안드레이 유리예비치 오쿤코프 1969 오쿤코프 바디, 그로모프-위튼 및 도널드슨-토마스 이론과 3차원 대수 다양체 관련성 기술, 무작위 분할의 분포와 가우스-에르미트 확률 행렬의 고윳값 분포 관계를 규명 2006년 필즈상
제레미 아담 칸 1969 곡면 부분군 추측(Surface subgroup conjecture) 증명, 에렌프라이스(Ehrenpreis) 추측 증명 2012년 클레이 연구상
안드레아스 바시[69] 1969 de Sitter 공간 및 Kerr-de Sitter 시공간과 같은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발생하는 점근 쌍곡 공간 및 시공간에 관한 산란 이론의 통합 접근법에 대한 연구[70][71][72] 2017년 보셰 기념상
라훌 판다리판데[73] 1969 MNOP(Maulik-Nekrasov-Okounkov-Pandharipande) 추측의 3차원 칼라비-야우 다양체의 많은 종류의 사례를 증명함 2013년 클레이 연구상
매슈 쿡 1970 규칙 110 세포 자동차가 튜링 완전이라는 스티븐 울프럼의 추측 증명
크리스토퍼 데릭 하콘 1970 모든 표수가 0인 체에 대한 모든 일반 유형 다양체는 최소 모델을 가짐을 증명, 다양체의 로그 일반 유형의 유계성, 고차원에서의 로그 플립의 존재 증명 2007년 클레이 연구상, 2009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2018년 브레이크스루상 수학부문
다니엘 앨런 스필먼 1970 Smoothed analysis, 캐디슨-싱어 문제 해결 2009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2010년 IMU 주판 메달, 2023년 브레이크스루상 수학부문
에마뉘엘 캉데[74] 1970 압축 센싱(Compressed sensing)
이안 아골 1970 tameness 정리, 프리드먼-히-왕(Freedman–He–Wang) 추측 증명, 하켄(Virtually Haken) 추측 증명 2009년 클레이 연구상, 2013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2016년 브레이크스루상 수학부문
부하반[75] 1970 원 법칙(Circular law) 추측 증명, Four Moment Theorem, 샤미르의 문제(Shamir's problem)를 해결하는 임의의 k- 균일 하이퍼그래프의 완벽한 매칭에 대한 임계값을 얻음, 랜덤 그래프가 주어진 작은 그래프의 서로소 복사본으로 덮일 수 있는 변의 밀도의 하한 결정 2012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엘론 린덴스트라우스 1970 유한 위상 엔트로피를 가진 계(system)는 평균 차원(mean dimension)이 0임을 증명, 리틀우드 추측을 성립하지 않는 점들의 하우스도르프 차원이 0임을 증명, 콤팩트 산술 곡면(compact arithmetic surfaces)의 경우에 양자 고유 에르고딕성 추측 증명 2003년 살렘상, 2009년 페르마상, 2010년 필즈상
스타니슬라프 콘스탄티노비치 스미르노프 1970 통계역학의 삼투(percolation) 모형과 이징 모형에 대해 경계면의 척도 극한의 존재성과 등각 불변성을 증명, 삼각 격자에서 삼투에 관한 존 로런스 카디의 공식을 증명, 육각 격자의 연결 상수(Connective constant) [math(\mu=\sqrt{2 + \sqrt{2}})]임을 증명 2001년 살렘상, 2001년 클레이 연구상, 2010년 필즈상
브라이언 콘래드 1970 모듈러성 정리
파울 자이델 1970 플로어 호몰로지에 대한 사교 덴 트위스트, 피카르-렙셰츠 이론의 관점에서 사교 다양체의 후카야 범주를 계산하는 새로운 도구 개발, 4차 곡면(Quartic surface)에서 호몰로지 거울 대칭 추측 증명,무한대에서 볼록한 유클리드 공간의 이국적 사교 구조에 대한 첫 번째 예를 제시함. 2010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제임스 길런 1970 GF(4)의 경우에서 로타의 제외된 마이너 추측[76]을 증명 2003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워릭 터커 1970 스메일의 14번째 문제 해결[77]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7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7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필즈상, 아벨상, 울프상, 노벨상, 튜링상, 가우스상, 천 메달, IMU 주판 메달, 쇼상, 브레이크스루 상,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보셰 기념상,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오스트로우스키(Ostrowski) 상, 국제 통계학상, 살렘상, 페르마상, 루에브(Loève)상, 카프(Karp)상, 하우스도르프 메달, 클레이 연구상[2] Thierry Coquand[3] Cem Yalçın Yıldırım[4] Tomasz Mrowka[5] https://en.wikipedia.org/wiki/Natural_proof[6] 2008년 9월 1일 단독 산행 중 낙사로 사망하였다. 뉴욕 타임즈는 그의 사망 기사에 다음과 같이 썻습니다, "슈람 박사가 3주하고 하루만 더 늦게 태어났다면 그는 2002년에 아마도 수학에서 가장 높은 영예인 필즈 메달의 수상자 중 한 명이었을 것입니다" 원문(If Dr. Schramm had been born three weeks and a day later, he would almost certainly have been one of the winners of the Fields Medal, perhaps the highest honor in mathematics, in 2002.) 실제로 그의 주요 협력자인 벤델린 베르너와 그렉 로울러는 각각 2006년 필즈상(벤델린 베르너), 2019년 울프상(그렉 로울러)을 받은 바 있다.[7] Jin-Yi Cai[8] Complexity of Counting CSP with Complex Weights[9] Zlil Sela[10] Wolfgang Soergel[11] Ulrich Wilhelm Kohlenbach[12] https://en.wikipedia.org/wiki/Proof_mining[13] Shou-Wu Zhang[14] tability of blow-up profile and lower bounds for blow-up rate for the critical generalized KdV equation. Ann. of Math. (2) 155 (2002), no. 1, 235–280[15] Blow up in finite time and dynamics of blow up solutions for the L2-critical generalized KdV equation. J. Amer. Math. Soc. 15 (2002), no. 3, 617–664[16] On universality of blow-up profile for L2 critical nonlinear Schrödinger equation. Invent. Math. 156 (2004), no. 3, 565–672[17] Ivan Borisovich Fessenko[18] Aleksandr Aleksandrovich Razborov[19] Frédéric Hélein[20] Fabrice Bethuel, Haïm Brezis, and Frédéric Hélein. Asymptotics for the minimization of a Ginzburg-Landau functional. Calc. Var.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1 (1993), no. 2, 123–148.[21] Frédéric Hélein. Régularité des applications faiblement harmoniques entre une surface et une variété riemannienne. C. R. Acad. Sci. Paris Sér. I Math. 312 (1991), no. 8, 591–596.[22] Fabrice Bethuel[23] Fabrice Bethuel and Xiao Min Zheng. Density of smooth functions between two manifolds in Sobolev spaces. J. Funct. Anal. 80 (1988), no. 1, 60–75.[24] Fabrice Bethuel. The approximation problem for Sobolev maps between two manifolds. Acta Math. 167 (1991), no. 3-4, 153–206.[25] Fabrice Bethuel, Haïm Brezis, and Frédéric Hélein. Asymptotics for the minimization of a Ginzburg-Landau functional. Calc. Var.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1 (1993), no. 2, 123–148.[26] Gregory Hjorth[27] 그는 여러 여성 과학자들에 의해 성희롱 혐의로 기소되었다, https://en.wikipedia.org/wiki/Yuval_Peres[28] 한국인 최초 옥스퍼드 수학과 정교수[29] "The chromatic thresholds of graphs", P Allen, J Böttcher, S Griffiths, Y Kohayakawa, R Morris Advances in Mathematics 235, 261-295[30] Gábor Tardos[31] 그의 아버지 레프 라파일로비치 콘체비치는 한국어를 키릴 문자로 표기하는 방법인 콘체비치 체계를 고안하였으며, 막심 콘체비치는 브레이크스루 상 기초물리학 부문과 수학 부문 두 분야 모두 받았다.[32] Trevor D. Wooley, Large improvements in Waring's problem. Ann. of Math. (2) 135 (1992), no. 1, 131—164.[33] Trevor D. Wooley, Breaking classical convexity in Waring's problem: sums of cubes and quasi-diagonal behaviour. Invent. Math. 122 (1995), no. 3, 421—451.[34] Vaughan, R. C.; Wooley, Trevor (2002). "Waring's Problem: A Survey". In Bennet, Michael A.; Berndt, Bruce C.; Boston, Nigel; Diamond, Harold G.; Hildebrand, Adolf J.; Philipp, Walter (eds.). Number Theory for the Millennium. III. Natick, MA: A. K. Peters. pp. 301–340.[35] 滕尚华, Shang-Hua Teng[36] https://en.wikipedia.org/wiki/Smoothed_analysis[37] Conformal invariance of domino tiling. R Kenyon. Annals of probability, 2000[38] Dimers and amoebae R Kenyon, A Okounkov, S Sheffield - Annals of mathematics, 2006[39] Dominos and the Gaussian free field R Kenyon - Annals of probability, 2001[40] A variational principle for domino tilings H Cohn, R Kenyon, J Propp - Journal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001[41] Michel Xavier Goemans[42] Goemans, Michel X.; Williamson, David P. (1995). "Improved approximation algorithms for the maximum cut and satisfiability probelsm using semi-definite programming". Journal of the ACM. 42 (6): 1115–1145. doi:10.1145/227683.227684[43] Jean-Yves Béziau[44] https://en.wikipedia.org/wiki/Universal_logic[45] Mikkel Thorup[46] Deterministic Edge Connectivity in Near-Linear Time[47] Ralf Schindler[48] Aise Johan de Jong[49] 이 비범한 천재는 수상을 거부하고 그 뒤 자취를 감추었다. 졸지에 갈 곳이 없어진 필즈상은 푸앵카레 추측인지라 프랑스의 앙리 푸앵카레 연구소에 기증되었다.[50] Madhu Sudan[51] 블록체인 기반 AI 마켓플레이스 프로젝트인 싱귤래리티넷(SingularityNET)의 창립자이자 CEO이다.[52] Xavier Tolsa[53] Daniel Ioan Tătaru[54] On global existence and scattering for the wave maps equations. Amer. J. Math. 123 (2001) no. 1, 37-77[55] Fedor Lvovich Nazarov[56] https://www.ams.org/notices/199909/people.pdf[57] Sanjeev Arora[58] Arora, Sanjeev; Rao, Satish; Vazirani, Umesh (2009). "Expander flows, geometric embeddings and graph partitioning". Journal of the ACM. 56: 1–37. CiteSeerX 10.1.1.310.2258. doi:10.1145/1502793.1502794.[59] Mahan Mj[60] Cannon-Thurston maps for surface groups, Annals of Mathematics 179(1) 2014 pp 1-80; math/0607509[61] Ending laminations and Cannon–Thurston maps M Mj - Geometric and Functional Analysis, 2014[62] Mahan Mj (2017). "Cannon–Thurston maps for Kleinian groups"[63] '내가 사랑한 수학 천재수학자가 찾아낸 사랑의 공식'의 저자이다.[64] Francisco Santos Leal[65] https://en.wikipedia.org/wiki/Hirsch_conjecture[66] Christophe Breuil[67] 2009년에 정체불명의 프로그래머인 사토시 나카모토가 일종의 전자화폐인 비트코인의 개발을 발표하자, 그가 진짜 사토시일 것이라는 추측이 돌았으나, 본인이 자신은 사토시 나카모토가 아니라고 밝혔다.[68] 모치즈키의 증명이 옳은지는 아직 학계에서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논문의 주요 쟁점을 관통하는 내부 국소 타이히뮐러 정의에 대한 증명이 담긴 3.12의 설명이 너무 짧게 압축되어 있어 이에 대한 논란이 많다.[69] András Vasy[70] Microlocal analysis of asymptotically hyperbolic and Kerr-de Sitter spaces. Invent. Math. 194 (2013), 381-513.[71] Semilinear wave equations on asymptotically de Sitter, Kerr-de Sitter, and Minkowski spacetimes, Analysis & PDE 8 (2015), 1807–1890[72] The global nonlinear stability of the Kerr-de Sitter family of black holes. Acta Math. 220(1): 1-206 (March 2018)[73] Rahul Pandharipande[74] Emmanuel Jean Candès[75] Vũ Hà Văn[76] https://en.wikipedia.org/wiki/Rota%27s_conjecture[77] 로렌츠 끌개의 속성이 이상한 끌개의 속성을 나타내고 있는가?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