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ee1c25> | }}} | |
{{{#!wiki style="color: #ffff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rowcolor=#fff> 지급행정구 지급시 17 | 현급행정구 시할구 54, 현급시 21, 현 82, 성직할현급행정구 1 | |
정저우시 성도 郑州市 | |||
카이펑시 开封市 | |||
뤄양시 洛阳市 | |||
핑딩산시 平顶山市 | |||
안양시 安阳市 | |||
허비시 鹤壁市 | |||
신샹시 新乡市 | 웨이빈구 卫滨区 훙치구 红旗区 펑취안구 凤泉区 무예구 牧野区 웨이후이시 卫辉市 후이셴시 辉县市 창위안현 长垣市 신샹현 新乡县 훠자현 获嘉县 위안양현 原阳县 옌진현 延津县 펑추현 封丘县 | ||
자오쭤시 焦作市 | |||
푸양시 濮阳市 | 화룽구 华龙区 칭펑현 清丰县 난러현 南乐县 판현 范县 타이첸현 台前县 푸양현 濮阳县 | ||
쉬창시 许昌市 | |||
뤄허시 漯河市 | 옌청구 郾城区 위안후이구 源汇区 사오링구 召陵区 우양현 舞阳县 린잉현 临颍县 | ||
싼먼샤시 三门峡市 | 후빈구 湖滨区 산저우구 陕州区 이마시 义马市 링바오시 灵宝市 몐츠현 渑池县 루스현 卢氏县 | ||
난양시 南阳市 | |||
상추시 商丘市 | |||
신양시 信阳市 | 핑차오구 平桥区 스허구 浉河区 뤄산현 罗山县 광산현 光山县 신현 新县 상청현 商城县 구스현 固始县 황촨현 潢川县 화이빈현 淮滨县 시현 息县 | ||
저우커우시 周口市 | 촨후이구 川汇区 화이양현 淮阳区 샹청시 项城市 푸거우현 扶沟县 시화현 西华县 상수이현 商水县 선추현 沈丘县 단청현 郸城县 타이캉현 太康县 루이현 鹿邑县 | ||
주마뎬시 驻马店市 | |||
성직할 현급행정구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color: rgba(255, 0, 0, .2)" | |||
색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3px; text-align: center" | }}}}}}}}} |
리양(여양)고성
명대의 윈왕 (远望) 망루와 시가지
1. 개요
중국어 浚县영어
허난성 허비시의 현. 허버시 동쪽 20km 지점의 평원에 위치하며, 인구는 약 80만명이다. 옛 지명인 여양 (黎陽)으로도 알려져 있으나, 뤄양시 소속 루양현과 구분해야 한다. 14세기부터 보존된 리양 고성(黎阳古城)이 명소로 손꼽히며, 평원 사이의 구릉들도 멋진 풍경을 선사한다. 과거 황하가 일대를 거쳐 흘렀고, 범람할 때마다 큰 피해가 있었다 하나 현재는 근처에 큰 강은 없고 운하 정도만 있다.
2. 역사
상나라 시기부터 黎 (여)라 불렸고, 공자의 애제자 자공이 이곳 출신이다. 전한 시기 위군(魏郡) 소속 여양현 (黎陽縣)이 설치되었다. 광무제가 이곳에서 거병했기에 후한 시기에는 여양영 (黎陽營)이 설치되었다. 삼국시대 여양은 원소, 원술 등 원씨 가문의 본적지로 유명했다. 동시에 참모 봉기의 출신지이자 원소 진영의 주요 거점 중 하나였고, 관도대전 당시 원소군 본대가 주둔하였다. 원소의 사후 원담과 원상 간의 내전이 벌어졌을 때에 여양은 전자의 수도였다.
386년, 동진 산하 여양태수 등념이 정령부 족장 적료의 배신으로 여양을 잃고 패주하다가 견성에서 그에게 사로잡혔다. 387년 재차 후연에 투항했던 적료는 388년, 활대를 수도로 삼아 적위를 건국했다. 390년, 동진의 유뢰지가 견성과 활대를 공격해 적료를 격파하자 장원이 다시 동진에 귀부하였다. 적위는 392년, 후연 황제 모용수의 공격으로 멸망하였다.
북위 시기 일대는 위군에서 분리되어 여양군 (黎陽郡)이 되었고, 북주 시기에는 여주 (黎州)로 개편되었다. 고구려-수 전쟁 시기 수양제는 이곳에 보급 창고를 세웠는데 이를 기반으로 양현감이 반란을 일으켰고, 그 진압 과정에서 여주는 파괴되어 쇠퇴하였다. 북송 시기에 여주는 준주 (濬州)로 개칭되었는데, 관할 지역에서 위하 (衛河)와 기하 (淇河)가 합류한 것에서 유래되었다. 다만 명나라 초엽 준주는 준현 (浚縣)으로 격하되었고, 근래에 들어서는 탄광 도시로 성장한 허비시에 속하여 현재에 이른다.
3. 쉰현 리양고성
국가역사문화명성인 쉰현의 명대 리양고성 4대문이 모두 남아있고 서쪽과 북쪽 성벽 일부가 잔존한다. |
고성의 야경 |
리양 고성 투어
리양 고성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