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03:31

Steins;Gate(애니메이션)

슈타게 1기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2px"
{{{#!wiki style="margin:-5px -1px -10px;word-break: keep-all"
오리지널
파일:y1gGx3h.png
Steins;Gate
(2009년)
파일:evoUiP6r.png

Steins;Gate 0
(2015년)

Steins;███
(미정)
리메이크
파일:AD3E86F3-52A6-4B6F-A1D8-BE6338EF4548.jpg
Steins;Gate ELITE
(2018년)

Steins;Gate 0 ELITE
(미정)
등장인물 · 설정 · 미디어 믹스 · 애니메이션 (Steins;Gate · Steins;Gate 0 · 극장판)
OST · 커뮤니티 (아카라이브 · 슈타인즈 게이트 마이너 갤러리)
}}}}}}}}}}}}}}} ||
슈타인즈 게이트 (2011)
シュタインズ・ゲート
Steins;Gate
파일:Steins;Gate_keyvisual.jpg
{{{#ffffff,#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장르 루프, SF, 로맨스
원작 5pb. / 니트로플러스
캐릭터 원안 huke
감독 사토 타쿠야[1]
하마사키 히로시[2]
코바야시 토모키25화
시리즈 구성 하나다 줏키
시나리오 감수 하야시 나오타카
마츠바라 타츠야(松原達也)[3]
캐릭터 디자인 사카이 큐타
총 작화감독
프롭 디자인 코레사와 시게유키(コレサワシゲユキ)
나카무라 카즈히사(中村和久)
마츠나가 스스무(松永 辰)25화
미래 가제트 원안 SH@RP
미술 감독 에토 코지(衛藤功二)
미술 설정 카네히라 카즈시게(金平和茂)
색채 설계 사토 미유키(佐藤美由紀)
촬영 감독 나카무라 케이스케(中村圭介)
특수 효과 카키타 유키코(垣田由紀子)
3D CG 소마 히로시(相馬 洋)
편집 고토 마사히로(後藤正浩)
스도 히토미(須藤 瞳)25화
음향 감독 후지야마 후사노부(藤山房伸)
음악 아보 타케시(阿保 剛)
무라카미 준(村上 純)
음악 제작 5pb.
슈퍼바이저 시쿠라 치요마루
데지타로(でじたろう)
프로듀서 고미 켄지로(五味健次郎)
마츠나가 타카유키(松永孝之)
단노 요시히토(団野喜人)
타나카 신사쿠(田中信作)
카나니와 코즈에(金庭こず恵)
도이 요시나오(土居由直)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이와사 가쿠
애니메이션 제작 WHITE FOX
제작 미래 가제트 연구소
방영 기간 2011. 04. 06. ~ 2011. 09. 14.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테레비 사이타마 / (수) 02:0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애니플러스 / (월) 23:30
스트리밍
[[애니플러스|
ANIPLUS
]]
,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전24화 + OVA 2화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

1. 개요2. 공개 정보
2.1. PV2.2. 키 비주얼
3.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4. 설정5. 음악
5.1. 주제가
5.1.1. OP5.1.2. ED5.1.3. 22화 ED5.1.4. 23화 ED5.1.5. 24화 ED
5.2. 삽입곡
6. 회차 목록
6.1. 23-β 화
7. 에피소드 가이드8. 평가9. 미디어 믹스
9.1. 총명예지의 코그니티브 컴퓨팅

[clearfix]

1. 개요

Steins;GateTV 애니메이션. 감독은 하마사키 히로시 / 사토 타쿠야. 방영 시기는 2011년 4월.

2. 공개 정보

2011년 4월부터 2쿨 분량으로 방영을 개시하였다. 한국에는 애니플러스에서 동년 5월 2일부터 방영. 성우 캐스팅은 원작 그대로 가며, PV에 의하면 진엔딩 루트를 애니화한다고 한다.

감독은 하마사키 히로시사토 타쿠야 공동 감독으로 하마사키 히로시가 주로 영상 연출을 담당하고 사토 타쿠야가 각본과 음향[4]을 위주로 감독하는 형태로 분업을 했다. 5pb.니트로플러스 측이 스태프들과 논의한 결과 감독 후보로 2명 모두 이름이 올랐지만 어느 한 쪽도 포기하기 어려워 이러한 형태의 2인 감독제가 채용되었다고 한다. 주요 스태프들 선정은 사토 감독이 크게 관여를 했다. 중직인 시리즈 구성이나 캐릭터 디자인 같은 자리에 하나다 줏키사카이 큐타가 기용된 것도 사토 감독이 밀어주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미방영분 25화가 있다. 본편에서의 모든 사건이 끝난 후, 오카베와 라보멘 멤버들이 크리스가 있는 미국으로 여행 가서 자초지종을 겪는 에피소드로,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스토리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 미방영분 내용은 극장판 슈타인즈 게이트: 부하영역의 데자뷰와 시간적으로 바로 이어진다.

2.1. PV

방송 직전 PV
방송 개시 전 CM

2.2. 키 비주얼

파일:steins;gate_teaser_visual.jpg
티저 비주얼

3.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rowcolor=#ffffff,#dddddd> 등장인물 성우
오카베 린타로 미야노 마모루
마키세 크리스 이마이 아사미
시이나 마유리 하나자와 카나
하시다 이타루 세키 토모카즈
아마네 스즈하 타무라 유카리
키류 모에카 고토 사오리
페이리스 냥냥 모모이 하루코
우루시바라 루카 코바야시 유우
텐노지 유고 테라소마 마사키
텐노지 나에 야마모토 아야노

4. 설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teins;Gate 문서
번 문단을
설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음악

5.1. 주제가

5.1.1. OP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Hacking to the Gate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OP
Hacking to the Gate
[5]
TV ver.
MV ver.
<colbgcolor=#000000,#010101><colcolor=#ffffff,#dddddd> 노래 이토 카나코
작사 시쿠라 치요마루
작곡
편곡 이소에 토시미치(磯江俊道)[6]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000,#010101><colcolor=#ffffff,#dddddd> 콘티 하마사키 히로시
연출 와카바야시 칸지(若林漢二)
작화감독 사카이 큐타
}}}}}}}}} ||
풀버전의 2절은 가사에 스포일러가 꽤 많으니 이런 것에 민감한 사람은 안 듣는 걸 권장한다.

보통 2쿨 애니메이션은 중간(13화쯤)을 기점으로 오프닝이 바뀌는 경우가 많아 본격적인 스타트를 끊는 지점인 12화/13화에서 오프닝이 바뀔 것이라 기대한 팬들이 많았으나, 22화까지 오프닝의 변경은 없었다. 그 대신 23, 24화에서는 오프닝에 새로운 연출이 추가되고, 가사의 그 2절 부분이 사용되었다. 25화에는 엔딩곡으로 사용되었다.

Steins;Gate 0 애니메이션에 23화에서 시이나 마유리오카베 린타로에게 뺨을 때릴때 재사용됐다. 그동안 있어난 일들을 생각하면 소름이 돋는 연출이다.

5.1.2. ED

ED
刻司ル十二ノ盟約
시간을 관장하는 12개의 맹약[7]
TV ver.
Full ver.
<colbgcolor=#000000,#010101><colcolor=#ffffff,#dddddd> 노래 판타즘(FES cv.사카키바라 유이)[8]
작사 시쿠라 치요마루
작곡 하야시 타츠시(林 達志)
편곡
가사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000,#010101><colcolor=#ffffff,#dddddd> 콘티 사토 타쿠야
연출
원화 사카이 큐타
}}}}}}}}} ||

5.1.3. 22화 ED

22화 ED
Fake Verthandi
TV ver.
<colbgcolor=#000000,#010101><colcolor=#ffffff,#dddddd> 작곡 아보 타케시(阿保 剛)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000,#010101><colcolor=#ffffff,#dddddd> 콘티 사토 타쿠야
연출
원화 사카이 큐타
}}}}}}}}} ||

같은 국면에서 원작의 스태프롤 반전을 여기에서는 엔딩 영상 역재생으로 해결했다.

5.1.4. 23화 ED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スカイクラッドの観測者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화 ED
スカイクラッドの観測者
스카이클라드의 관측자
TV ver.
<colbgcolor=#000000,#010101><colcolor=#ffffff,#dddddd> 노래 이토 카나코
작사 시쿠라 치요마루
작곡
편곡 이소에 토시미치(磯江俊道)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000,#010101><colcolor=#ffffff,#dddddd> 콘티 사토 타쿠야
연출
원화 사카이 큐타
}}}}}}}}} ||

5.1.5. 24화 ED

24화 ED
Another Heaven
TV ver.
<colbgcolor=#000000,#010101><colcolor=#ffffff,#dddddd> 노래 이토 카나코
작사 우루시노 준야(漆野淳哉)
작곡 스다 에츠히로(須田悦弘)
편곡 이소에 토시미치(磯江俊道)


5.2. 삽입곡

2, 9화 삽입곡
ワタシ☆LOVEな☆オトメ!
Full ver.
<colbgcolor=#000000,#010101><colcolor=#ffffff,#dddddd> 노래 아필리아 사가 이스트(アフィリア・サーガ・イースト)
작사 모모이 하루코
작곡
편곡 우에노 코지(上野浩司)


9화 삽입곡
My White Ribbon
Full ver.
<colbgcolor=#000000,#010101><colcolor=#ffffff,#dddddd> 노래 아필리아 사가 이스트(アフィリア・サーガ・イースト)
작사 시쿠라 치요마루
작곡
편곡 이소에 토시미치(磯江俊道)


6. 회차 목록

<rowcolor=#ffffff,#dddddd> 회차 제목[9]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rowcolor=#ffffff,#dddddd> 본편
#01 始まりと終わりのプロローグ
시작과 끝의 프롤로그
Turning Point
하나다 줏키 하마사키 히로시 오자와 카즈히로
(おざわかずひろ)
나카무라 카즈히사
(中村和久)
日: 2011.04.06.
韓: 2011.05.02.
#02 時間跳躍のパラノイア
시간 도약의 파라노이아
Time Travel Paranoia
사토 타쿠야 이케다 시게타카
(池田重隆)
이케가미 타로
(池上太郎)
日: 2011.04.13.
韓: 2011.05.02.
#03 並列過程のパラノイア
병렬과정의 파라노이아
Parallel World Paranoia
사토 신지 와카바야시 칸지
(若林漢二)
사토 타카아키
(佐藤天昭)
日: 2011.04.20.
韓: 2011.05.09.
#04 空理彷徨のランデヴー
공리방황의 랑데뷰
Interpreter Rendezvous
오자와 카즈히로 나카다 마사히코 日: 2011.04.27.
韓: 2011.05.09.
#05 電荷衝突のランデヴー
전하충돌의 랑데뷰
Starmine Rendezvous
이케다 시게타카 사카이 큐타 日: 2011.05.04.
韓: 2011.05.16.
#06 蝶翼のダイバージェンス
나비 날개의 다이버전스
Butterfly Effect's Divergence
요코타니 마사히로 무라카와 켄이치로
(村川健一郎)
히라무키 토모코
(平向智子)
아오노 아츠시 日: 2011.05.11.
韓: 2011.05.16.
#07 断層のダイバージェンス
단층의 다이버전스
Divergence Singularity
네모토 토시조
(根元歳三)
카토 토시유키 시모다 히사토
(下田久人)
타케모토 다이스케
(武本大介)
日: 2011.05.18.
韓: 2011.05.23.
#08 夢幻のホメオスタシス
몽환의 호메오스타시스
Chaos Theory Homeostasis
와카바야시 칸지 이케가미 타로 日: 2011.05.25.
韓: 2011.05.30.
#09 幻相のホメオスタシス
환상의 호메오스타시스
Chaos Theory Homeostasis
하나다 줏키 코바야시 토모키 나카무라 카즈히사 日: 2011.06.01.
韓: 2011.06.06.
#10 相生のホメオスタシス
상생의 호메오스타시스
Chaos Theory Homeostasis
요코타니 마사히로 오자와 카즈히로 이나요시 토모시게
이나요시 아사코
(稲吉朝子)
日: 2011.06.08.
韓: 2011.06.13.
#11 時空境界のドグマ
시공경계의 도그마
Dogma in Event Horizon
하나다 줏키 이케다 시게타카 코바야시 코지
(小林公二)
사토 타카아키
카와다 츠요시
(川田 剛)
나카무라 카즈히사
이가리 타카시
(いがりたかし)
사카이 큐타
이케가미 타로
日: 2011.06.15.
韓: 2011.06.20.
#12 静止限界のドグマ
정지한계의 도그마
Dogma in Ergosphere
사토 타쿠야 타치카와 유즈루 사카이 큐타 日: 2011.06.22.
韓: 2011.06.27.
#13 形而上のネクローシス
형이상의 네크로시스
Metaphysics Necrosis
시모다 히사토 아오노 아츠시 日: 2011.06.29.
韓: 2011.07.04.
#14 形而下のネクローシス
형이하의 네크로시스
Physically Necrosis
하마사키 히로시
와카바야시 칸지
와카바야시 칸지 카와다 츠요시
마츠바라 카즈유키
(松原一之)
日: 2011.07.06.
韓: 2011.07.11.
#15 亡環上のネクローシス
망환상의 네크로시스
Missing Link Necrosis
요코타니 마사히로 코바야시 토모키 이케가미 타로
타케모토 다이스케
日: 2011.07.13.
韓: 2011.07.18.
#16 不可逆のネクローシス
불가역의 네크로시스
Sacrificial Necrosis
무라카와 켄이치로 히라무키 토모코 나카무라 카즈히사
요시이 히로유키
(吉井弘幸)
日: 2011.07.20.
韓: 2011.07.25.
#17 虚像歪曲のコンプレックス
허상왜곡의 콤플렉스
Made in Complex
네모토 토시조 하마사키 히로시
사토 타쿠야
이케다 시게타카
코바야시 코지 이가리 타카시
아라이 노부히로
이케가미 타로
日: 2011.07.27.
韓: 2011.08.01.
#18 自己相似のアンドロギュノス
자기상사의 앤드로지너스[10]
Fractal Androgynous
요코타니 마사히로 오자와 카즈히로 이나요시 토모시게
이나요시 아사코
日: 2011.08.03.
韓: 2011.08.08.
#19 無限連鎖のアポトーシス
무한연쇄의 아포토시스
Endless Apoptosis
네모토 토시조 카토 토시유키 츠치야 히로유키
(土屋浩幸)
카와다 츠요시
타케다 이츠코
日: 2011.08.10.
韓: 2011.08.15.
#20 怨嗟断絶のアポトーシス
원차단절의 아포토시스
Finalize Apoptosis
스마 마사토
(須間雅人)
미카모 요시히토
(美甘義人)
와카바야시 칸지
마츠바라 카즈유키
타케모토 다이스케
日: 2011.08.17.
韓: 2011.08.22.
#21 因果律のメルト
인과율의 멜트다운
Paradox Meltdown
하나다 줏키 무라카와 켄이치로 와카바야시 칸지 이케가미 타로
야마모토 젠야
(山本善哉)
日: 2011.08.24.
韓: 2011.08.29.
#22 存在了解のメルト
존재요해의 멜트다운
Being Meltdown
스마 마사토 코바야시 토모키 이가리 타카시
요시이 히로유키
日: 2011.08.31.
韓: 2011.09.05.
#23 境界面上のシュタインズゲート
경계면상의 슈타인즈 게이트
Open The Steins Gate
오자와 카즈히로 이나요시 토모시게
이나요시 아사코
日: 2011.09.07.
韓: 2011.09.12.
#24 終わりと始まりのプロローグ
끝과 시작의 프롤로그
Achievement Point
하마사키 히로시
사토 타쿠야
와카바야시 칸지
코바야시 코지
하마사키 히로시
사토 타쿠야
사카이 큐타 日: 2011.09.14.
韓: 2011.09.19.
<rowcolor=#ffffff,#dddddd> OVA SPECIAL
#25
[11]
横行跋扈のポリオマニア
횡행발호의 포리오마니아
Egoistic Poriomania
하나다 줏키 코바야시 토모키 이케가미 타로
마츠바라 카즈유키
日: -
韓: 미방영
<rowcolor=#ffffff,#dddddd> 재방송 23-β화
#23 (β)
[12][13]
境界面上のミッシングリンク
경계면상의 미싱 링크
Divide by Zero
하나다 줏키
하야시 나오타카
오자와 카즈히로
하마사키 히로시
사토 타쿠야
오자와 카즈히로 이나요시 토모시게
이나요시 아사코
日: 2015.12.02.
韓: 2018.07.07.

6.1. 23-β 화

2015년 후반기, 슈타인즈 게이트 제로 출시 기념으로 1기 재방을 했는데... 단순한 재방송이 아니었다. 23화에서 갑자기 슈타인즈 게이트 세계선이 아닌 베타 세계선의 엔딩으로 돌입하는 새로운 에피소드였던 것. 그리고 이 베타 세계선의 내용은 Steins;Gate 0 TVA으로 이어진다.

7. 에피소드 가이드

17화에서 작화 오류가 나왔다. 오프닝 직후 과거로 돌아간 장면에서 2010년 8월 13일 17시로 나오는데 이 때는 아마네 스즈하와 관련된 D메일을 오카베가 취소한 후인지라 마유리의 사망 날짜가 14일로 바뀐 때이다. 이 장면 직후 크리스가 2시간 후 마유리가 사망하느냐고 묻기 때문에 오카베가 돌아간 날짜가 마유리의 사망 날짜라는 걸 나타내므로 해당 장면은 14일이라는 걸 알 수 있다. 그리고 같은 화에서 페이리스의 D메일을 취소하기 위해 시간 도약을 하는 장면에서 날짜가 2011년 8월 13일로 나온다. BD에서는 앞 장면은 그대로, 뒤의 장면은 정상적으로 수정되었다.

19화는 키류 모에카가 보낸 D메일을 취소하는 에피소드였는데 모에카를 제압한 후 휴대전화를 뺏은 오카베가 크리스에게 전화를 하는데 크리스가 "마키세, 휴대전화는?"이라며 오카베가 아닌 자신의 성을 부른다. 이를 오류로 보는 사람도 있으나 원작이나 BD에서도 여전히 "마키세, 휴대전화는?"이라는 걸 보아, "나야(마키세야), 휴대전화는?"으로 보는 게 맞다. 실제 다른 일본 매체에서도 전화를 받을 때 제일 처음 자신의 이름을 대는 것을 볼 수 있다.

23화에서는 원작에서는 정적으로 연출하였던 미래 오카베의 노스탤지어 드라이브를 동적으로 연출하면서, Xbox360판의 오프닝인 스카이 클래드의 관측자를 엔딩으로 사용하였는데, 다른 건 원작이 나아도 이 연출 하나만큼은 애니가 확실히 원작을 초월했다는 평가가 많다. 미래 오카베와 현재의 오카베의 목소리가 겹쳐지며 ED가 흘러나오는 장면은 애니메이션만의 백미.

24화는 원작의 내용을 거의 그대로 따라갔는데, 최종화임에도 불구하고 유희왕급 얼굴예술이 튀어나오기도 했다. 원래 그래야 할 장면이라지만 좀 너무하다는 의견이 많은 편. 에필로그 부분은 원작에서 오카베의 시점으로 보여주었던 것과 달리 마유리의 시점으로 보여주나, 오카베와 크리스의 조우는 원작처럼 재현했다. 대체적으로는 23화의 연출에 비해 상당히 심심한 연출이라는 평이 많다.[14] 오카베가 핀 배지를 나눠주는 장면에서 원작 진 엔딩의 엔딩곡인 Another Heaven이 사용되었다.

8. 평가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6c700><tablebordercolor=#f6c700><tablebgcolor=#fff,#191919><:> [[IMDb|
파일:IMDb 로고.svg
]] ||
(IMDb Top 250 TV 88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tablebordercolor=#2f51a2><bgcolor=#2f51a2> 파일:MyAnimeList 로고 화이트.svg ||
평점 9.08 / 10.0


작품성과 상업성 양면에서 상당히 성공한 작품이자, IMDb에서도 유저 평균 8.8점이라는 고득점을 받은 작품으로, 비록 대중성은 떨어져도 애니메이션 계에서는 좋은 평가를 받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겠다.

처음 설정화가 공개되었을 때, 원작 유저들은 애니판 디자인이 원작에 비해 느낌이 달라 비판이 많았다. 아무래도 huke의 원화가 애니메이션화하기 힘든 화풍이다 보니 애니화하기 쉬운 캐릭터 디자인으로 바꾸는 도중에 어긋나버린 것으로 추정된다. 캐릭터의 이목구비와 신체적 특징은 재현되긴 했으나[15] 애니메이션 특성상 단순화 과정을 거치면서 디자인된 결과 느낌이 달라졌다. 채색의 경우도 원본 아트워크가 비교적 선명한 배색에 강렬한 텍스처를 입혀 특유의 느낌을 조성한 것에 비해, 본작은 단순히 칙칙한 채색으로 때우다보니 더더욱 이질적으로 바뀌어버렸다.[16]

원작인 게임과 비교를 하자면 2쿨의 애니에 맞춰서 전개하기 위해 트루 엔딩 루트만 다뤘는데 그러다보니 각각의 캐릭터의 개성을 잘 살려냈다고 평가받는 각 히로인들의 엔딩을 잘라내야만 했다. 그러다보니 스토리 전개상 꽤나 비중 있는 캐릭터인 아마네 스즈하를 제외한 등장인물들의 캐릭터성이 좀 죽어버린 면이 있다. 다만 이건 제작진의 미스라기보다는 애니메이션과 게임의 차이에서 온 어쩔 수 없는 부분으로 이해가 가능한 수준이다.

스토리 전개상 필수적이고 중요한 떡밥들을 그대로 짜임새 있게 스토리에 배치했고, 다른 게임 전개 환경과 애니메이션 전개 환경의 차이를 이해하고 융통성 있게 떡밥들을 분배한 것과 극적으로 잘 회수한 점은 높게 평가할 만하다. 특히 진엔딩 루트에 모든 분량을 집중하다 보니 스토리의 절정 부분에서는 애니메이션이 게임에 비해 연출 환경이 더 좋다는 점에 기인해 몰입감이 더 높다는 평가가 많다.

그 밖에도 시이나 마유리의 캐릭터 묘사에 대해서도 게임보다 좀 더 뛰어났다는 평가가 많다. 그저 지켜지는 히로인으로서가 아니라 누구보다 주인공 오카베 린타로의 마음을 잘 이해하고 있는 사려깊은 모습이 더 조명받도록 잘 연출했다.

BD/DVD 평균 판매량은 16,000장대, 박스판 7,000장대로 상당히 잘 팔렸다. Chaos;HEAd 애니판의 실적을 생각해 보면 놀라운 판매량.

한국과는 달리 미국에서는 퍼니메이션에서 영어 더빙되어 방영되었는데, 양덕후들이 상당히 좋아하는 애니로도 유명하다. 양덕들의 애니 데이터 베이스인 MyAnimeList에서 평점이 9.08로 역대 3위이다.[17] 참고로 후속작인 슈타인즈 게이트 제로는 119위, 극장판은 160위이다.(24/7/10기준)

애니메이션 연출가 타치바나 사오리가 좋아하는 작품이라고 한다.

커뮤니티에서는 초반부가 지루하다는 평가가 간간히 보이는데, 이는 이야기 구조의 특징에서 비롯된다. 1화에서 11화는 시간여행 기술을 개발하는 과정을 묘사하며 수많은 복선을 까는 일상물에 가깝고, 12화를 기점으로 개발 과정에서 발생한 스노우볼들이 커다란 문제가 되어서 이를 해결하는 내용이라고 구분할 수 있는데, 슈타인즈 게이트가 유명세를 얻고 고평가를 받은 이유가 바로 이 해결 과정에서의 치밀한 복선과 충격적인 반전이기 때문. 게다가 일상 파트에서는 오카베의 중2병을 움직이는 그림과 생생한 대사로 봐야 하니... 심지어 이런 중2병 마저도 후반부를 위한 장치로써 사용되기 때문에 당연히 그 연유를 모르는 사람들은 초반부에서 하차하는 편.

9. 미디어 믹스

9.1. 총명예지의 코그니티브 컴퓨팅

파일:external/www.mugendai-web.jp/op_ttl.png


일본 IBM이 협력해 3분짜리 애니메이션 4개가 제작되었다. 보러 가기 IBM이 정식 스폰서이기 때문에 1화에서 잠깐 지나가는 IBN 5100이 IBM 5100으로 등장한다. 1화의 마지막에 오카베가 말한 엘 프사이 콩그루가 엘 우마이(맛있어) 고쿠우마이(완전 맛있어)로 바뀌는 등의 개그요소도 필견.



[1] 25화에서는 총감독.[2] 25화에서는 총감독.[3] 원작 게임의 프로듀서.[4] 음악, 효과음, 성우 연기 체크 등.[5] 애니플러스 자막 위치는 이상하게 평소 자막보다 높은 곳에 달려있다.[6] ZIZZ STUDIO대표[7] 번역에 따라 '시간을 지배하는 12가지의 맹약', '각인된 12개의 맹약' 등 가지각색이다. 애니플러스에선 '각인된 12개의 맹약'으로 나온다.[8] 전작 Chaos;HEAd키시모토 아야세 역을 담당했다. 또한, 설정상으로 키시모토 아야세(FES)가 부른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9]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단, 미방영분인 25화는 방영되지 않아 번역 제목이 없는 관계로 임의로 번역한다.[10] 공식 표기에서는 영어로 번역됐지만 원문에서는 그리스어 안드로기노스(ἀνδρόγυνος)를 사용했다. 자웅동체를 의미한다.[11] OVA로 발매된 미방영분.[12] 2015년 재방송분 #23에서 분기된 에피소드.[13] 애니플러스와 라프텔에서는 23.5화, 넷플릭스에서는 26화로 표기하고 있다.[14] 사실 23화도 후반부가 너무 부왘스러워서 묻혀갔을 뿐이지 전반부는 대체적으로 심심한 편이었다.[15] 실제로 일부 키 일러스트를 비롯해 몇몇 장면에서는 원본과 비슷하게 구현된 것도 존재한다.[16] 이는 본작의 감독 중 1명인 하마사키 히로시의 취향이 반영된 것으로, 실제로 작품 전반에 하마사키의 스승인 카와지리 요시아키의 연출 오마주가 배어 있다.[17] 9.00 이상인 작품이 12개뿐인데 이정도면 아주 높은 순위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8 (이전 역사)
문서의 r59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