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5 22:03:47

스타십(스페이스X)/시험 발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스타십(스페이스X)
파일:스페이스X 로고.svg
{{{#315288,#7899ce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스페이스X의 기체 목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우주발사체
소형발사체 팰컨 1
대형발사체 팰컨 9
초대형발사체 팰컨 헤비스타십
우주선
지구궤도 드래곤 1드래곤 2
달 탐사용 드래곤 XL스타십 (달 착륙 개조형)
타 행성 스타십 우주선
시험기
팰컨9 개발 그래스호퍼F9R
스타십 개발 스타십 호퍼 (스타호퍼)
엔진
팰컨 시리즈 엔진 멀린 엔진드라코 스러스터
스타십 엔진 랩터 엔진
드래곤 엔진 슈퍼 드라코 스러스터드라코 스러스터
}}}}}}}}}}}}||


파일:나무위키 하얀 별 로고.svg 21세기의 우주 개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현재 주요 우주 개발 프로젝트
파일:NASA_Artemis_Gateway_logo.png 파일:아르테미스 계획 휘장.svg
루나 게이트웨이 화성 개척 아르테미스 계획
주요 우주 개발 기관
파일:NASA 로고.svg 파일:러시아 연방 우주국 로고.svg 파일:유럽 우주국 로고.svg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NASA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로스코스모스
[[유럽|
파일:ESA 참가국 지도.svg
]] ESA
파일:국가항천국 로고.svg 파일:JAXA 로고.svg 파일:인도 우주연구기구 로고.svg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국가항천국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인도|
파일:인도 국기.svg
]] ISRO
주요 우주 개발 기업
파일:스페이스X 로고.svg 파일:e09f7d22dc9bc30461d3df3936811718.png 파일:blue-origin-logo.png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스페이스X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ULA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블루 오리진
파일:로켓 랩 로고.png 파일:아리안스페이스 로고.svg 파일:버진 갤럭틱 로고.svg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로켓 랩
파일:유럽 우주국 로고.svg 아리안스페이스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버진 갤럭틱
국가 기관 주력 발사체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소유즈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안가라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프로톤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SLS
파일:유럽 우주국 로고.svg 베가-C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창정
[[인도|
파일:인도 국기.svg
]] PSLV
[[인도|
파일:인도 국기.svg
]] GSLV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엡실론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누리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 천리마-1
민간 기업 주력 발사체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팰컨 9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팰컨 헤비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아틀라스 V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델타 IV 헤비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벌컨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H-IIA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H-III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콰이저우
소형 발사체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일렉트론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런처원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페가수스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한빛-TLV
운용 예정 발사체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스타십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뉴 글렌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뉴트론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테란 1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이르티시
파일:유럽 우주국 로고.svg 아리안 6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KSLV-III
소형 발사체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고체연료 발사체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KSLV-s
}}}}}}}}} ||



스타십 IFT 시험 발사 역사
스타십의 ITF 중 스타십의 개발 과정에 있어서 중요도가 높은 발사 기록은 원 문서에 존치합니다.[1]


==# 최초 시험 비행(원 문서 기재)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타십(스페이스X) 문서
6.2.1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2차 시험 비행

Orbital Flight Test/OFT
파일:Starship ift 2 patch.png
미션 패치
발사 시각 2023.11.18, 7:02 CT
발사 위치 텍사스 주 보카 치카 해변 스타베이스
비행 기체 Ship25/Booster9
임무 유형 비행 테스트
비행 궤도 완료
궤도 근지점 -1750Km
궤도 원지점 149Km
궤도 경사각 26.5º
임무 기간 8분 5초
제작 스페이스X
운용 스페이스X
발사 중량 400 t
결과 단 분리 성공, 슈퍼 헤비 및 스타십 공중 폭발
요약 비고 최초 단 분리, 핫 스테이지 실증


2023년 11월 18일 한국시간 오후 10시 00분, Booster 9과 Ship25를 이용한 두 번째 궤도 비행 테스트가 진행되었다. 1차 테스트 때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약 1,000여가지의 변경 및 업그레이드를 가했다고 하며, 특히 이번엔 슈퍼헤비 부스터와 스타십 단 분리에 핫 스테이징이라는 새로운 방식을 사용한다. 이건 상단 엔진을 분리 후 스타십 엔진을 점화하는 게 아니라 점화하면서 단을 분리하는 방식으로 현역 발사체 중에선 소유즈 로켓, 프로톤 로켓에 사용 중인 기술이다. 이를 위해 핫 스테이징용 특수 부품인 어댑터를 장착한다.

1차 때와 마찬가지로 슈퍼 헤비와 스타십은 발사와 단 분리, 기본적인 우주 항행 능력에 대한 검증을 목표로 발사되며 재 착륙 및 재활용 기술의 개발 및 검증은 실험 목표가 아니기에, 저번 발사와 마찬가지로 착수 후 폐기한다. 그리고 유튜브 중계는 하지 않고 스페이스X 공식 X 계정에서 중계되었다. #

관계 기관의 승인이 빠르게 나오지 않아 예상과 달리 2차 궤도 비행 테스트가 몇 개월 밀려 11월에 진행하게 되었다.

11월 4일, 스페이스x 공식 홈페이지에서 발사 타임라인이 공개되었다. #

11월 11일, 스페이스x 측에서 공개한 영상을 통해 11월 17일이 발사일로 공개되었다. # 일론 머스크가 언급한 바에 따르면 라이센스 발급이 최대한 빨리 나왔다는 가정 하의 발사일이며, 경우에 따라 더 미루어질 수 있다고 한다. #

한국시간 11월 16일, FAA에서 2차 궤도 비행 라이센스를 발급하면서 11월 17일 발사가 유력해졌다!

11월17일, 일론 머스크는 X를 통해 그리드핀 엑츄에이터 교체로 인해 발사가 토요일로 연기되었다는 소식을 전했다.#

11월 18일 한국시간 00시 30분, 그리드 핀 수리가 끝난 뒤 최종 스택이 이루어졌고, 발사 만을 앞두고 있다.

한국 시간으로 18일 22시 01분 경에 예정대로 발사되었다. 물 분사 시스템 덕분에 지면이 파괴되는 일 없이 매끄럽게 상승함과 동시에 슈퍼 헤비 33개 엔진들이 단 하나도 꺼지지 않고 모두 단 분리 전까지 정상 작동하는 등 1차 발사에 비해 큰 발전을 이뤘다는 걸 증명했다.


그리고 처음 실증하게 된 핫 스테이징 단 분리도 매우 성공적으로 이뤄지고 슈퍼 헤비가 플립 후 보카치카 해변 쪽으로 방향을 트는 것까지 성공해 이번 발사의 최고 명장면을 만들어 냈다. 플립 후 13개의 짐벌 엔진 중 1개를 제외한 엔진들이 재점화가 되었지만 스타쉽의 6개 엔진의 추력으로 인해 예상치 못한 빠른 감속이 이루어졌고, 그로 인해 슈퍼헤비 탱크 안의 연료들이 떠다니는 슬로싱 현상이 나타났다. 그 후 부스터가 다시 가속되며 엔진 파이프에 손상이 가고, 연료 안에 기포들이 생기며 랩터 엔진의 터보펌프에 기포들이 유입되어 엔진들이 파괴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차례로 부스터 엔진들이 꺼지다 엔진 베이에서 눈으로도 보이는 큰 누출이 일어났고, 그 직후 FTS[2]가 작동되어 슈퍼헤비 부스터가 파괴되었다. 슈퍼헤비 연료 슬로싱 현상 시뮬레이션

한편 무사히 분리된 스타십은 고도 149km까지 상승해 나아가는데 성공했으나 비행시간이 8분이 넘었을 때 원격 측정 데이터가 손실되었고, 이후 확인한 결과 모종의 이유로 149km 상공에서 FTS가 작동되어 스타십이 파괴되었다.

정리하자면 1차 때 가장 큰 문제가 되었던 발사대에서의 상승과 슈퍼 헤비의 엔진 33개 작동 / 단 분리까지는 별다른 문제 없이 성공하는 엄청난 성과를 거두었으며, Ship25가 고도 100Km를 넘어 비행했기 때문에 모든 스타십 발사를 통틀어서 최초로 우주 진입에 성공한 발사가 되었다.

12월 8일, IFT-2의 리캡 비디오가 공개되었다. 스트리밍 당시에는 볼 수 없던 영상들이 포함되어 있다. S25의 FTS 작동 장면도 선명하게 나와있다. 그리고 영상 마지막에 S28과 B10을 비추며 IFT-3의 발사 하드웨어가 B10 & S28 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tarship's Second Flight Test

1월 13일, 스타베이스에서 스페이스X의 2023년 행적을 돌아보는 행사가 있었는데 여기서 머스크가 S25의 FTS가 작동된 구체적인 이유를 언급했다. 페이로드 없이 발사된 특성 상 스타십이 가볍기 때문에 액체 산소 & 메탄 잔여량이 재진입용으로 남겨야 하는 것보다 많아 일부를 엔진 가동 중에 배출해 처리했는데 이 과정에서 화재가 발생해 안전 상의 이유로 폭파 시켰다고.
#

2월 27일, 스페이스x가 이번 발사에 대한 조사서를 발표했다. B9과 S25이 파괴된 원인이 서술되어 있는데 B9의 유력한 파괴 원인은 부스트 백 과정에서 액체 산소의 필터가 막힌 것이다. 필터가 막히며 액체산소 터보펌프로 이동하는 유량이 줄었고, 그로 인해 기포가 생겨 터보펌프가 망가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렇게 엔진이 차례로 꺼졌고, 이후 FTS가 작동되어 파괴되었다. S25의 경우는 머스크가 말했던 대로 페이로드 탑재 상태를 시뮬레이션 하기 위해 T+7:05에 액체산소 배출을 했는데, 액체 산소 배출 과정에서 기체 후미에 화재가 생겨 비행 컴퓨터가 6개의 엔진을 정지 시키고 FTS를 작동시켜 파괴되었다. 수냉식 화염 편향 장치는 예상대로 작동했다고 밝혔고, 3차 시험 비행에서는 향상된 비행 하드웨어로 성공률을 높이고, 추진체 적재 속도를 향상시켰다고 전했다.
BUILDING ON THE SUCCESS OF STARSHIP’S SECOND FLIGHT TEST

==# 3차 시험 비행(원 문서 기재)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타십(스페이스X) 문서
6.2.3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4차 시험 비행(원 문서 기재)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타십(스페이스X) 문서
6.2.4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5차 시험 비행(원 문서 기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타십(스페이스X) 문서
6.2.5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이에 관한 편집 방안 토의는 원 문서닫힌 토론 #4를 참고하여주시기 바랍니다.[2] flight termination system, 비행 종단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