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구남초등학교 | 구포초등학교 | 금곡초등학교 |
금명초등학교 | 금창초등학교 | 대천리초등학교 | |
덕성초등학교 | 덕양초등학교 | 덕천초등학교 | |
만덕초등학교 | 명덕초등학교 | 명진초등학교 | |
백산초등학교 | 백양초등학교 | 상학초등학교 | |
신금초등학교 | 신덕초등학교 | 신천초등학교 | |
양덕초등학교 | 양천초등학교 | 와석초등학교 | |
용수초등학교 | 포천초등학교 | 학사초등학교 | |
화명초등학교 | 화잠초등학교 | 화정초등학교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
학교 전경[1] |
<colbgcolor=green><colcolor=#fff> 신금초등학교 新金初等學校 Sinkum Elmentry School | |
| |
개교 | 1995년 3월 1일 |
성별 | 남녀공학 |
형태 | 공립 |
교장 | 김진규 |
교훈 | 더 높이 더 멀리 꿈을 펼치자 |
교화 | 동백꽃 |
교목 | 느티나무 |
학생 수 | 277명[기준] |
교직원 수 | 27명[기준] |
관할 교육청 | 부산광역시북부교육지원청 |
주소 | 부산광역시 북구 효열로 42 (금곡동) |
홈페이지 | |
<nopad> |
[clearfix]
1. 개요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2. 학교 연혁
<colcolor=white> 1994.11.11 | <colbgcolor=#fff,#1c1d1f> 신금초등학교 설립인가(부산시 북구 금곡동 1364번지) |
1995.03.01 | 신금초등학교 개교(화명초등학교 구내), 26학급편성, 학생수 791명 |
1995.06.23 | 신금초등학교 입교식 |
1996.02.15 | 제1회 졸업식(남92명, 여81명 총 173명) |
2018.09.05 | 영어독서 프로그램(Reading Gate) 운영 우수학교-"위대한 학교" 수상 |
2019.02.21 | 제24회 졸업식(졸업생 38명, 누계: 4171명) |
2021.02.19 | 제26회 졸업식(졸업생 46명, 누계: 4281명) |
2023.03.01 | 학생 주도 배움중심 수업·평가모델 연구학교 운영 |
3. 학교 상징
- 출처: 신금초등학교 홈페이지
3.1. 교표
3.2. 교화
아름다운 미래를 준비하는 동백3.3. 교목
꿋꿋하고 당당함을 나타내는 느티나무
3.4. 교훈
더 높이 더 멀리 꿈을 펼치자3.5. 교가
우뚝 솟은 금정산에 태양이 뜨면/ 굽이치는 낙동강이 아침을 연다/ 두 팔 들어 가슴을 펴면 금빛 나무가 되고/ 고개 들어 두 눈을 뜨면 은빛 물결이 된다/ 옹기종기 모여 오순도순 배우는 사랑의 학교/ 꿈과 슬기 자라는 신금 어린이.4. 학교 특징
신금초등학교에는 국악오케스트라[5]유도부,방과후 등 학교를 끝마치고 할 것이 많다. 음식 반입 금지라 깨끗하다.5. 학교 시설
급식실, 보건실, 방송실, 교장실, 교무실, 도서관, 도담관(강당), 과학1실, 과학2실, 탁구실, 수업 시연실, 전교 학생 회의실, 방과후 교실, 컴퓨터실, AI소프트 웨어 교육실, 교생실습실, 창의융합실(무한 상상실), 창의융합 운영실, 영어 1실, 영어 2실, 유도실, 국악 합주실, 국악 1실, 국악 2실6. 학교 생활
교육 복지가 잘 활성화되어 있다. 한 반 인원은 20명이 안 된다. 전 교실에 전자 칠판이 설치 되어있고 전교생이 크롬북을 사용하여 수업을 듣는다.6.1. 학교 일과
8시 30분까지 등교해 8시 50분부터 2시 10분 까지 수업한다. (고학년 기준) 수업 후 국악오케스트라 반 [6]이나 유도부는 남아 각자 수업을 한다. 그 외 방과후도 있다.7. 운동부
- 유도부
8. 출신 인물
9.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금곡주공6단지역 북구 3번(마을버스) 을 탑승할 수 있다9.1. 버스
금곡주공 5단지 정류장 | 15, 111, 111-1, 121, 북구3 |
금곡주공 6단지 정류장 | 북구3[7] |
농협하나로마트/금곡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 | 59, 126, 1012, 양산21, 양산23 |
9.2. 철도
10. 기타
- 2019년에 나무 계단에서 돌 계단으로 변경되었다.
- 2018년에 화장실 공사를 했다.[8]
- 2022년에 요리 방과후 교실이 식생활 교육실로 바뀌면서 리모델링을 했다.
- 2022년에 국악합주실을 공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