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8 01:18:28

부산 버스 59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39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
[[틀:부산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
좌석
]] [[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일반
]] [[틀: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부산광역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기장군버스|
기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번 ~ 99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 3 5-1 6 7 8
9 10 11 15 16 17
20 22 23 24 26 27
29 30 31 33 33-1 36[A]
37[A] 38[A] 39 40 41 42
43 44 46 49 50[A] 51
52 54 55[A]
55-1[C]
55-2 57
58[A] 58-2 59 61 62 63
67 68 70 71 73[B] 77
80 81 82 83
83-1[A]
85
86 87 88 88-1 90 96
96-1[A]
99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C] 출근시간 전용 노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00번 ~ 583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00 100-1 101 103 105 106
107 108 110 110-1 111 111-1
113 115[A] 115-1 121 122[B] 123
124[A] 126 127 128-1 129-1 131
133 134 138 138-1 139 141
144 148 148-1 155 160 161
167 168 169 169-1 171 179
180[A] 181 182[A] 183[A] 184[A] 185[A]
186[A] 187[A] 188[A] 189 189-1 190
200 210 300[A] 301[A] 302[A] 307[A]
338 506 508 520[B] 583[A]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 ||
파일:부산59신도색고상.png
파일:부산59신도색저상.pn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
3.1. 구.59번
4. 특징
4.1. 이용 시 유의할 점4.2. 노선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59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59번 노선도-고화질.png
기점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금곡역) 종점 부산광역시 중구 남포동5가(자갈치역.비프광장)
종점행 첫차 04:42 기점행 첫차 06:05
막차 22:22 막차 00:00
평일배차 출퇴근 10분 / 평시 11분 주말배차 13분
운수사명 삼진여객 인가대수 20대[주말]
노선 금곡역 - 동원역 - 율리역 - 북구보건소.인도네시아센터 - 와석 - 북부경찰서 - 수정역 - 구포시장 - 구포역 - 북구청 - 모라역 - 북부운전면허시험장 - 서부시외버스터미널.사상역 - 새벽시장 - 학장입구 - 주례역 - 개금역 - 동의대역 - 가야역 - 신암.범천2동주민센터 - 범곡교차로 - 부산진역 - 초량역.초량교차로 - 부산역 - 중앙역.부산우체국 - 부산데파트 → 남포역.옛시청교차로 → 자갈치역.비프광장 → 충무동해안시장 → 자갈치시장 → 부산데파트 → 이후 역순

2. 개요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63.9km다. 전체 정류장 목록은 여기로

3. 역사

파일:1472874093.jpg
위 차량은 대차되어 삼진여객으로 이관 뒤 111번에서 운행중이다.

관련 게시물 이 차량도 대차되어 삼진여객으로 이관 뒤 15번에서 운행중이다.
  • 1995년 59-1번으로 개통되었다. 화명동 일대(벽산강변 / 도개공)주민들의 편의를 위함이었다.
  • 2호선이 개통된 이후 수요가 감소했지만 이 노선이 계속 유지되면서 58번이나 구.59번, 구.105번, 구.159번, 520번등의 노선처럼 태화교통의 경영난을 가중시켰다.[2] 그나마 있던 126번은 현재보다 수요가 적어[3] 적자를 메꿔주기에는 역부족이었다. 태화교통의 경영난 이유. 여담이겠지만 형제노선 59번의 경우 한때 무냉방 차량이 신도색으로 운행하던 적이 있었다. 심지어 2001~2002년에는 뽑은 지 무려 10년이 다 되어가는 노후차량을 바닥이 뚫려도 그대로 운행했다. 사실 59-1번은 상태가 막장을 달리던 말년의 태화교통에서 126번, 58-1번과 함께 그나마 체면치레를 할 만큼 수익이 나는 노선이었지만[4] 너무 장거리였다보니 운송원가가 많이 들어 손님을 많이 태워도 타산이 맞지 않았다고 한다. 형제노선인 59번은 초장거리인데 수요마저도 적은 진짜 적자노선이었다.
  • 2002년 태화교통이 가야IBS계열에 인수되었다. 그러던 2004년 태영버스가 화진여객을 인수하기 위해 59번, 126번, 159번을 삼진여객에 매각하였고[5] 얼마 후 화진여객이 태영버스에 통합되고 기존 화명동, 구룡사 노선들은 성보버스로 사명이 변경되었다.[6]
  • 2004년 김해지역 노선을 운행하던 화진여객[7]과 녹산지역 노선을 운행했던 태영버스로 합쳤다. 화명동/구룡사 노선들은[8] 삼진여객에 인수되어 성보버스로 사명이 변경되었다가 2006년 초에 삼진여객으로 흡수합병되었다. 이때 성보버스의 상태가 불량한 차량들이 대차되었고, 상태가 멀쩡했던 차량들은 내구연한을 채울때까지 계속 운행했다. 그러나 가야IBS쪽은 차량관리상태가 저질인 상태로 다니고 있었다.[9]
  • 2006년 5월 환승할인제 시행과 동시에 노선이 구덕운동장까지 단축되었다. 그러나 부산역~대청동~구덕운동장 구간은 40번과 81번 등, 타 대체노선들이 있었기에 배차간격 개선을 위하여 결국 이듬해 준공영제 시행과 동시에 부산역까지 단축되었다.
  • 2008년 9월 1일 지선번호만 있고 본번호가 없는 번호를 정리하는 정책으로 59-1번에서 59번으로 번호가 변경되었다.
  • 2010년 4월 8일 북부산세무서(감전역)로 운행하던 구간을 새벽시장 경유로 노선변경되었다.
  • 2020년 12월말 화명동 차고지가 금곡동으로 이전하였다. 그 이유는 화명동 주민들의 차고지 관련 불편민원이 다수 발생해 임대계약 만료에 맞춰 차고지를 이전하였다. 다만 노선연장 승인이 나지않아 금곡동~화명동 구간은 공차로 이동하며 화명동 구.차고지에서 시종착하고 있다.
  • 2021년 7월 31일 금곡대로 직통으로 금곡역까지 공식 연장되었으며, 오랜 기간 경유했던 화명2동 대천리(산성로, 양달로)는 미경유하게 되었다.[10] 대신 해당 구간은 배차간격이 훨씬 준수한 126번이 들어가게 되었다.
  • 2021년 12월 20일 서면 ~ 충무 BRT 개통으로 인한 초량교차로 교통신호체계 개선으로 종점방향 운행 시 고관로를 경유하는 것에서 양방향 중앙대로 경유로 변경되었다.
  • 2022년 10월 1일 기존에 무정차 통과를 하던 금곡대로에 위치한 벽산아파트 정류장을 정차한다.
  • 2023년 7월 29일 61번강서공영차고지 연장에 따른 배차간격 증가에 따라 신암 지역 교통편 증편 및 부산역 회차구간 유턴 안전사고 문제 예방을 위해 충무동까지 연장되었다.[11] 동시에 총 6대가 증차되면서[12] 총 20대로 운행하게 되었다. 다만 연장됐음에도 막차시간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가야대로 ~ 사상로 구간의 심야시간대를 책임지게 되었다.[13]

3.1. 구.59번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 현재 운행중인 59번은 2008년 8월 31일까지 59-1번이었다가 2008년 9월 1일에 59번으로 노선번호가 변경된 것이므로, 현재 이 항목에 서술된 59번 노선과는 엄연히 다르다.
  • 원조 59번 노선은 1960년대부터 운행된 오랜 역사의 노선이다.
  • 그 당시 노선은 하단동 태화교통 본사[14] - 하단교차로 - 괴정시장 - 대티고개 - 공설운동장[15] - 국제시장 - 부산역 - 부산진역 - 교통부[16] - 신암 - 가야 - 개금 - 주례 - 모라 - 구포 - 덕천교차로를 운행했었다. 이후 1971년 대티터널이 개통되어 대티터널 경유로 변경을 하였으며 1981년 화명주공아파트[17] 입주로 인하여 덕천교차로를 지나 화명동 32번종점까지 운행했었기 때문에 부산시내버스로는 매우 후덜덜한 노선길이(약 70km 정도)를 자랑했다.
  • 1991년에는 일부차량을 형간전환하여 좌석버스를 운행하였다가 1994년초, 에덴공원 - 서부터미널 간 59-1번 일반/좌석버스로 노선이 개통되자 59번 좌석버스는 사라졌으나, 1994년 9월, 59-1번 좌석버스가 화명주공까지 연장되면서 59번 좌석버스로 운행되었고, 59-1번(일반)은 1994년말에 폐선되었다. 1995년 중반, 59번 좌석버스 인가대수가 300번 공항버스를 신설로 감차되었고 하반기에는 폐선되기에 이른다.
  • 1995년에 대천천을 끼고 형성된 아파트단지를 경유하는 59-1번이 개통되면서 59번은 59-1번에 수요를 서서히 빼앗기기 시작했고, 지하철 2호선 1단계가 비슷한 선형으로 개통하면서 수익 대폭락을 맞는다. 신주례, 신모라 경유로 수요 창출을 꾀하고, 당시 59번 차량을 싸그리 신도색으로 도색하는데 이때 비냉방버스까지 재도색하였다. 그러나 조정된 노선도 수요 모으기에 실패하고, 최악의 경영난의 회사 사정으로 인해 2000년말부터 유령화되었다가, 2002년 11월에 공식 폐선되었다.
  • 여담으로 이 노선과 59-1번은 태화교통 화명영업소 노선임과 동시에 본사 노선이기도 해, 화명영업소 뿐만 아니라 하단동 본사에도 주박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4. 특징

  • 2021년 7월 30일까지는 126번처럼 바로 금곡대로로 나온 것이 아니라 오히려 반대방향으로 가서 대천리중학교,[18] 코오롱아파트, 벽산 경남아파트를 찍고 난 뒤에 북구보건소에 와서야 금곡대로로 나왔는데 이 때문에 마을버스에조차 밀렸다. 그런데 이런 식으로 굴곡지지 않으면 코오롱아파트, 경남아파트 사는 사람은 버스를 못 탄다. 이 구간은 전형적인 주거지역이기에 시내버스도 꼭 필요하다. 2021년 7월 31일부터 59번, 126번이 금곡역으로 공식 연장되면서 59번은 이 구간을 미경유해 직선화되었고 대신 126번이 이 구간을 경유하게 되었다.
  • 이 노선이 단축을 해서라도 유지된 이유는 서면역61번처럼 지나지 않고 신암로로 우회운행하기 때문. 특히 동구에서 사상구 방향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는게 장점이다.[19] 61번의 만성적인 가축수송에 지친 사람들이 긴 배차간격에도 불구하고 앉아서 가겠다는 일념으로 끝까지 기다려서 타는 사람 또한 많다. 오히려 노선이 단축되어서 수요가 늘어난 셈. 하지만, 이 구간을 지나가면 그다지 복잡하지 않다. 특히 2010년 4월에 새벽시장으로 바뀐 이후로는 더더욱. 심지어 노선변경 이후로 단축 이전 61번과 동일하게 가야대로 - 북부산세무서 - 사상역으로 운행하는 186번의 배차간격 불만 민원이 끊이지 않는 상황이다. 어쨌든 감전새벽시장으로의 노선변경은 가뜩이나 신암로 연선지역 주민들에게 빅엿을 먹인거나 다름이 없어 실패 쪽으로 기운 상황.
  • 원래 이 노선은 61번과 함께 북부산세무서, 감전역으로 향했지만 현재는 새벽시장쪽으로 운행되고 있다. 시에서는 새벽시장에서 주례 방면 노선의 부재[20]와 61번과 차별을 주기 위해 새벽시장으로 노선을 돌렸지만 이때문에 오히려 61번에 수요를 더 빼앗기는 수모를 겪고 말았고 늘어난 소요시간때문에 시민들 사이에서 호불호가 제법 갈리기도 했다.[21] 허나 그 61번이 2023년 7월 29일부로 동의대역까지 단축되었고, 186번 조차 17번 차량 확보로 인하여 1대가 감차되었기에 이제 눈물을 머금고 59번을 타는 수 밖에 없다. 그래도 새벽시장에서 유일하게 부산역을 이어주는 노선이라 계륵같은 노선이다.[22]
  • 대당 운송수입금은 의외로 높다. 2016년 한해 평균 통계 자료에 따르면 이 노선은 1일 대당 운송수입금이 57만원대였으며 자사노선 111번보다 불과 약 3만원 적은 수준이었다. 게다가 상술된 경쟁에서 앞서고 있는 61번보다 더 높다.[23] 화명동이 워낙 인구가 많은 지역인데다가, 당시에는 벽산아파트, 코오롱아파트, 금명여고[24]등을 경유했기에 이 곳의 버프를 받은 것도 있어보이며, 환승 수요가 많지 않고 이 노선으로 한 번에 목적지로 가는 장거리 승객들의 비중이 높아서 이 노선의 1일 대당 평균 승객수가 650명 가까이 된다고 한다. 다만 1일 총 승객수는 8,300명대로 15번 ,126번의 절반에도 못미치는 수준이고, 15번, 126번과는 달리 이 노선은 배차간격이 좋지 못하고 화명동이 대도시임을 감안하면 총 수요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편이다. 그나마 6대로 운행중인 121번보다는 나은 편. 다만 현재는 충무동까지 연장되었고 20대로 증차되었기에 현재는 배차간격이 그때보다는 개선되었다.
  • 85번2016년 4월 23일부터 신암로를 양방향으로 경유하고 있는데다 85번이 이 노선보다 배차간격이 좋고 부산역을 지나 중앙동, 영도대교로 더 내려가는 이점 때문에, 상대적으로 배차간격이 가장 안 좋은 이 노선은 신암로 - 부산역에서마저도 3번째 옵션으로 밀려날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2023년 7월 29일에 상황이 역전되었는데 이 노선이 충무동까지 연장됨과 동시에 6대가 증차되어 총 20대로 배차간격이 개선된 반면에, 61번은 노선이 엄청나게 길어졌지만 증차는 고작 1대에 그치는 바람에 이 노선이 신암~충무동 1티어 노선으로 급부상하였고 61번은 85번과 동위호환 수준으로 밀려나버렸다. 그리고 충무동 경유와 배차간격 개선 덕에 승객수가 대폭 증가하였다.[25]
  • 따라서 1004번과 더불어 KTX가 정차하는 부산역구포역을 환승 없이 한 번에 바로 잇는 유이한 노선이다.[26] 다시 말하자면 부산역에서 북부산권으로 이어주는 유일한 노선이며 화명동에서도 유일하게 가야대로를 통하여 부산역으로 가는 노선이다. 화명동과 부산역은 기점과 종점 근처이지만 타 노선으로 환승해서 가자니 시간도 오래걸리며[27] 지하철 타고 가자니 서면역에서 환승해야 하며 빙 둘러가는 선형인지라 그냥 이 버스로 종점까지 이동하는 장거리 수요가 많다. 정 빨리가고싶으면 2,600원하는 무궁화호 타고 20분만에 오갈 수 있다![28]
  • 이 노선을 운행하는 몇몇 버스 기사는 승객에 대한 친절함이 매우 부족하다.[29] 정류장에 기다리고 있는 승객이 있음에도 그냥 지나치는 패기를 보여주는 이 노선의 모 버스 기사도 있어서 크게 논란이 되고 있다. 아마 장거리 노선이고 인가대수가 턱없이 부족한 노선이며 연착이 자주 되기에 배차간격을 맞추기 위해 과속하다 무정차 통과 하는 것으로 보인다.
  • 화명동에서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연선의 대학가를 이어주는 유일한 노선이기에 도시철도를 이용하기 싫은 통학생들이 장거리임에도 불구하고 이 노선을 타고 동서대나 동의대로 가는 편이다.[30] 때문에 구간 수요보다는 장거리 수요가 우세인 버스이며 15번이 못가는 부산역으로 이어주기에 화명동, 구포동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노선.
  • 모라동 구간은 백양대로, 신모라사거리로 우회하는 15번과 달리 모라역, 모덕역을 경유하여 바로가기 때문에 15번보다 빠르게 이동이 가능하다.
  • 연장 이후에도 막차 시간은 그대로라 가야역에서 덕천역으로 가는 심야 수요도 어느정도 담당하고 있다. 충무동에서 심야 차가 자정으로 꽤 늦게 출발하기 때문인데 가야1치안센터에 심야 차가 0:20~30분에 통과한다. 반대방향으로 가는 노선은 많지만 덕천방향은 59번 단 하나뿐이며[31] 이 차를 놓치면 덕천 방향 다음 버스편은 새벽 1시 10분 쯤에 통과 하는 심야 1004번 차이다.
  • 회차지인 영주교차로에서 유턴 후 부산역 2번출구 인근에서 정차를 하였으나[32] 2021년 10월 중앙대로 BRT 2단계 구간(광무교~자갈치교차로) 구간의 공사가 시작되면서 부산역(03-064)정류장에서 정차 후 기점 방향 운행을 시작한다. BRT 개통 이후 유턴장소가 변동될 가능성이 있는 노선이다. 2023년 7월 29일에 충무동으로 연장된 후에는 5-1번, 27번, 41번, 86번처럼 회차하고 있다.
  • 2020년 12월말부터 화명동에서 금곡동으로 차고지를 이전한 후 배차간격이 자주 벌어지고 있다. 이후 2021년 7월 31일에 공식적으로 금곡동으로 연장하고, 양달로 구간을 철수하면서 이젠 배차간격이 벌어지지 않는다.[33] 더군다나 충무동 연장으로 6대가 증차되면서 이제 자사 노선인 111번보다 인가대수가 4대 많아짐으로써 111번보다 배차간격이 더욱 짧아졌으며 126번과 배차간격이 엇비슷해졌다.[34]
  • 2023년 7월 29일 강서공영차고지 개장에 따른 61번 노선 개편으로 동의대역까지 노선 단축되었고 이 노선도 충무동까지 연장되면서 반사이익을 가져왔다.[35] 이로써 15번, 126번과 중간 경유지만 다를뿐, 기종점[36]이 동일하다. 61번이 단축되는 날,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으며 186번이 지속되는 감차로 인한 배차간격 증가로 인해 186번 사상~신암 구간의 수요까지 모두 흡수하였다.

4.1. 이용 시 유의할 점

  • 화명동, 구포와 부산역 사이를 이동할 경우 시간만 일치하다면 화명역 또는 구포역에서 무궁화호 등의 열차를 이용하는 것이 낫다. 특히 해당 구간을 매일 이동하여 정기권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은 더욱 그렇다. 구포에서 부산역까지 10분 정도면 도착하기 때문이다.
  • 동원역~금곡역 사이 위치한 유림아파트 정류장, 농협하나로마트 정류장(금곡동 방면)[37]을 무정차 통과한다. 화명동 방면은 양산 시내버스 정류장인 농협하나로마트 정류장 바로 옆에 위치한 금곡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에 정차한다.

4.2. 노선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59번[38]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중앙대로
중앙대로▲ 부산역
고관로
▲ 초량역
중앙대로349번길
▲ 고관입구
중앙대로
경남아파트 ▼▲ 범곡교차로
신암로
가야역 ▼▲ CBS방송국
가야대로
대풍주유소 ▼▲ 학장입구
새벽로
서부시외버스터미널(사상역) ▼▲ 신한은행
사상로
구포삼거리 ▼▲ 북구청
낙동대로
구포시장종점 ▼▲ 구포시장
금곡대로37번길금곡대로
덕천교차로 ▼
금곡대로
벽산아파트 ▼▲ 금곡역
효열로
}}}}}}}}} ||

5. 연계 철도역

==# 둘러보기 #==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경유 버스 노선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 margin-top:-5px; margin-bottom:-15px"
급행 1005[사]
일반
8[사]
33-1[사]
138-1[사]
161[사]
186[사]
마을
심야
[사] 경부선 사상역 경유 노선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구포시장환승센터 경유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급행
1004[단]
1009-1[단]
일반
15[단]
59[단]
127[단]
강서구
강서5[단]
북구
김해시
8-1[단]
911[단]
912[단]
913[단]
[단] 단방향 경유 노선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역 경유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급행
일반
2회차
5-1후문
88-1회차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6%"
171회차
}}}}}}}}} ||


[주말] 토요일 18대 / 공휴일 16대[2] 105번의 경우, 차량이 강서구 지역에서 방치된 것이 목격된바 있었다.[3] 의성로를 왕복경유하지 않았으며 화명동까지 가지 않았기 때문이다.[4] IMF 및 2호선 개통 이후로 수요가 급감하긴 했지만 그럼에도 59-1번은 꽤나 적지 않은 승객수를 자랑했다.[5] 즉 태화교통이 태영버스로 인수된 이후로도 2004년에 노선 매각 전까지는 하단쪽 노선과 구포쪽 노선을 여전히 한 회사가 소유하고 있었다.[6] 많은 사람들이 화명동, 구룡사차고지 노선이 성보버스로 사명이 변경되었을때 삼진여객과 별개인 것으로 알고 있었지만 사실상 자회사였다.[7] 당시 화진여객은 창성여객 계열에서 가야IBS 계열로 넘어간지 얼마 안된 시기였다.[8] 59-1번, 126번, 구.159번[9] 예를 들면 58번은 정규차임에도 불구하고 스티커도 제대로 안 붙이는 등 예비차 같은 저질스러운 모습이었고 다른 노선의 경우는 세차를 제대로 하지않아 먼지가 쌓인 채로 다녔다. 구산동 소속은 몰라도 두동 소속은 현재진행형이다[10] 126번처럼 화명2동 내부를 경유하려고 했으나 수익이 낮은 구간이기도 하고, 금곡동 연장 시 배차간격이 너무 길어진다는 의견이 나와서 경유하지 않게 되었다.[11] 충무동 구간의 회차 방식은 5-1번, 27번, 41번처럼 충무동해안시장과 신동아시장, 자갈치시장을 경유하는 편도순환 방식으로 회차한다. 다른 노선들은 종점을 충무동이라 표기함에도 이 노선은 남포동이라 표기하고 있다. 심지어 버스정보시스템에는 자갈치시장이라 표기되어있다.[12] 15번에서 4대, 111번에서 2대를 감차해 이 노선에 증차했다.[13] 부산역이 회차지점인 시절에는 11시 30분경에 회차를 한 뒤 금곡동으로 향했으나, 현재는 충무동에서 자정에 회차를 한 뒤 금곡동을 향하기 때문에 금곡동 방향은 자정이 지나서도 59번을 이용할 수 있다.[14] 행선판에는 '에덴공원'이라고 표기했다. 태화교통 노선 뿐만 아니라 당시 하단교차로 인근을 종점으로 삼던 노선들은 모두 에덴공원으로 표기했다.[15] 현 구덕운동장[16] 현 범곡교차로[17] 현 화명 롯데캐슬 카이저[18] 구포시장에서 금정1번 마을버스를 이용하면 보다 빠르게 갈 수 있다.[19] 정 빨리 가려면 수정터널을 거쳐가는 방법이 최선인데 수정터널에서 중앙대로로 바로 연결하는 진출입로가 소형차량 전용이라 버스가 다닐 수 없다. 따라서 성남로충장대로를 거쳐 세관삼거리(중앙역)로 돌아나와야 하는데 기존 범천동 수요를 놓칠 수 있기 때문에 여러모로 비효율적이다.[20] 새벽시장을 경유하는 노선은 많으나 8번15번은 학장교차로에서 구덕터널로 향하며, 77번은 감전동 일대 운행 방식이 매우 이상해 이용에 적합하지 않은데다 북부산세무서랑 사상구청을 찍고 주례로 빠지는 형태다.(즉 새벽시장 부근에서 이 노선을 타면 뱅뱅 돈다.) 338번가야대로를 아예 경유하지않고 바로 엄궁으로 가며 110번148-1번은 학장동으로 간다.[21] 61번과 동일한 형태였을때는 그래도 빈 자리가 많아서 61번의 가축수송에 지친 사람들 중에서 앉아가려고 이 노선을 찾는 사람들이 많았다.[22] 8번이나 15번을 타고 학장동이나 구덕운동장 부근에서 67번으로 환승하는 것과 소요시간이 비슷하니, 부산역 이북 방면이 목적지라면 이 노선을 이용하는 편이 좋다.[23] 단 1일 총 승객수는 59번이 훨씬 적다.[24] 코오롱아파트 근처에 위치해있다. 금정1번을 타고 대천리중 정류장에 하차하여 걸어갈 수도 있으나 거리가 제법 멀다.[25] 대천리에서 빠진 이후 승객수가 5000명도 안 나오고 있었는데, 8000명이 넘게 나오고 있다. 변경된 61번과 큰 차이가 안 나는 수준.[26] 1004번은 부산역 방면은 구포역을 미경유한다.[27] 동의대역에서 61번으로 환승하면 되지만 정차하는 정류장 위치가 다른 데다 별 차이는 없을뿐더러 15번타고 구덕터널을 지나 구덕운동장 부근에서 67번으로 환승해서 부산터널로 바로 가는 방법도 있지만 이 경우는 무려 환승을 2번이나 해야 해서 환승 횟수가 까이며 환승저항이 크게 발생한다.[28] 단 시간을 잘 맞춰야 하며 화명역 정차 편성수가 극히 적은데다 환승불가라는 뼈아픈 단점이 있기에 여전히 이 노선을 이용하는 수요는 많다.[29] 같은 회사 노선인 15번도 마찬가지다.[30] 도시철도를 타도 어차피 산꼭대기에 위치한 두 학교의 특성상 마을버스로 환승이 불가피한데 도시철도는 버스에 비해 환승저항이 크게 발생하는 고로 막히지만 않으면 버스가 우세이다. 버스로 이동하면 동의대역까지 약 40~45분 정도 걸린다.[31] 77번이 이후에 몇대 더 다니지만 서부터미널까지만 연계되며, 138번도 이후에 2~3대 더 다니지만 엄궁동을 거쳐 하단으로 간다. 110-1번도 몇대 더 있으나, 가야벽산에서 끊긴다.[32] 사실 59번의 불법주차로 인해 민원이 간간히 들어왔었지만 대체할 장소가 없다보니 해결되지는 않았다.[33] 대신 같은 날 양달로 구간을 경유하게 된 126번이 배차간격이 자주 벌어지고 있다.[34] 평시 기준 59번과 126번 모두 배차간격이 11분이다.[35] 하지만 이 노선은 61번과는 다르게 상술했듯이 감전역으로 질러가지 않고 감전동 새벽시장으로 돌아가는 단점이 존재한다. 신암~서부터미널 구간의 경우에는 186번도 존재하나, 이 노선 역시 운행소요시간 180분인 장거리 노선이지만 운행대수가 적어 배차간격이 좋지 못하다. 심지어 17번 차량 확보로 인하여 1대가 감차되었다.[36] 충무동 / 금곡동. 엄연히 따지자면 15번은 기점이 금곡주차장, 종점이 남포동이고 126번은 기점이 금곡역, 종점이 서구청이기에 종점은 두 노선과는 모두 다르다.[37] 두 정류장은 양산 시내버스인 21번, 23번만 정차한다.[38] 강서차고지 개편 전 노선이니 참고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