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7 01:25:58

부산 버스 23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구 93번에 대한 내용은 부산 버스 93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39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
[[틀:부산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
좌석
]] [[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일반
]] [[틀: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부산광역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기장군버스|
기장
]] [[틀:강서구 다람쥐버스|
강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99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 3 5-1 6 7 8
9 10 11 15 16 17
20 22 23 24 26 27
29 30 31 33 33-1 36[A]
37[A] 38[A] 39 40 41 42
43 44 46 49 50[A] 51
52 54 55[A]
55-1[C]
55-2 57
58[A] 58-2 59 61 62 63
67 68 70 71 73[B] 77
80 81 82 83
83-1[A]
85
86 87 88 88-1 90 96
96-1[A]
99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C] 출근시간 전용 노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00~583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00 100-1 101 103 105 106
107 108 110 110-1 111 111-1
113 115[A] 115-1 121 122[B] 123
124[A] 126 127 128-1 129-1 131
133 134 138 138-1 139 141
144 148 148-1 155 160 161
167 168 169 169-1 171 179
180[A] 181 182[A] 183[A] 184[A] 185[A]
186[A] 187[A] 188[A] 189 189-1 190
200 210 300[A] 301[A] 302[A] 307[A]
338 506 508 520[B] 583[A]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 ||
파일:DSC_0720 (1).jp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
3.1. 구 23-1번
4. 특징
4.1. 사건 및 사고4.2. 연간 일평균 승차량4.3. 노선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23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23 노선도.png
기점 부산광역시 남구 감만동(감만동차고지) 종점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동(부산진우체국.가야1치안센터)
종점
첫차 04:30 기점
첫차 05:12
막차 22:45 막차 23:28
평일배차 출퇴근 4~5분 / 평시 5~6분 주말배차 토요일 6~7분 / 공휴일 7~8분
운수사명 신성여객 인가대수 25대[주말]
노선 감만동차고지 - 감만시장 - 감만창의문화촌 - 우암초등학교 - 7부두 - 문현교차로 - ( → 부산진성공원 →/← 국민은행범일동지점 ←) - 중앙시장 - 범내골역 - 서면역.서면지하상가 - 서면역.롯데호텔백화점 - 진양교차로 - 부산진구생활문화센터 - 청수탕 - (→ 백양뜨란채아파트 →/← 선암사입구 ←) - 국제백양아파트 - 개금주공아파트 - 부산진우체국.가야1치안센터

2. 개요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28.7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1970년에 신설되었다. 당시엔 당감동까지 운행했으며, 대성여객[2] 소속 노선이었다.
  • 1980년 신성여객이 대성여객으로부터 분리될 때 같이 넘어가 현재까지도 신성여객에서 운행중이다. 2003년도 기준 운행대수는 23대였다.
  • 2007년 5월 15일 폐선된 구.93번 출신 차량 2대가 증차분으로 넘어오면서 운행대수가 25대가 되었고, 폐선된 25번을 대신하여 선암사입구까지 연장되었다. 동시에 감만동 방향으로 서면롯데백화점에도 추가 정차를 하게 되었다. 이전에는 감만동 방향으로 서면롯데백화점 정류장엔 정차하지 않았다.[3]
  • 2009년 12월 1일 당감동 단선 순환 구간이 선암사입구→개성고교에서 개성고교→선암사입구 순으로 변경되었다.
  • 2022년 2월 12일 당감동~동의대역 구간 교통 편의를 위해 동의대역까지 연장되었다. 동의대역 정류장은 부산진우체국 앞에서 유턴한 이후 동의대역 2번출구 앞에 위치한 부산진9번만 정차하는 단독 정류장에 공동으로 정차한다. 기존 단선회차 구간은 그대로 유지되며 개성고등학교 구간은 동의대역 방향, 선암사입구 구간은 감만동 방향으로 변경되었다.
  • 2022년 12월 28일 BRT 서면~주례 구간 개통으로 동의대역에서 부산진우체국으로 왕복 1.5km 가량 소폭 연장되었다.[4] BRT 개통으로 인해 BRT에서 바로 우회전해서 당감동 쪽으로 진입하기 때문에 동의대역2번출구 정류장은 정차가 불가능해져 10개월 만에 폐지되었다.[5] 그리고 서면복개로에서 중앙대로 BRT 진입 불가[6]로 양방향 중앙대로 경유로 변경되었다.

3.1. 구 23-1번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 당시 감만1동 - 7부두 - 문현2동 파출소[7] - 문전교차로 - 동성고교 - 대우자동차[8] - 서면교차로 - 진양교차로 - 당감4동으로 운행되었다.
  • 그러나 수요 저조를 면치못하여 1989년 6월 4일에 당감4동~문현2동파출소[9]까지 단축되었지만, 이마저도 오래가지 못하고 유령화되었다가 폐선되었다. 이후 23-1번의 대체노선인지는 불분명하지만 선암사입구~동성고교 구간의 503번이 신설되었다. 그러나 2006년 버스환승시행제가 도입되면서 폐지되었다.
  • 대체 노선은 아래와 같다.

4. 특징

  • 2023년 1월 시행된 저상버스 의무화 정책에서 저상출고 예외노선 중 하나다. 예외 사유는 청수탕 구간 때문이다. 이 구간은 급경사와 과속 방지턱이 많아 저상버스 예외 사유로 지정되었고, 충전 시설 미비 때문이다. 실제로 당감주공을 경유하는 노선 중에 저상버스는 전기 저상버스만 운행하는데, 신성여객은 아직 전기버스 충전 여건이 마련되지 않아 도입 예외 노선으로 지정되었다.
  • 노선은 짧은편이지만 주거지 ~ 중심지 ~ 주거지를 잇는 노선으로 단거리 노선답지 않게 구간 수요가 매우 많은 편이다. 특히 감만동에서 서면으로 나가는 유일한 노선이자, 당감동에서 범일동으로 나가는 유일한 노선이라서 해당 지역까지 이용하는 수요가 많으며, 감만동과 당감동이 도시철도 음영지역인 만큼 부산 도시철도 1호선으로 환승하기 위해 이용하는 수요가 압도적으로 많다. 그렇기 때문에 1일 평균 약 1만 5천 명 가량이 이 노선을 이용하고 있다. 동의대역으로 연장된 뒤에는 당감동에서 2호선과 연계하는 노선으로도 활용되고 있다.[10]
  • 자성대, 범일동(부산은행 인근)을 유일하게 경유하고 있어 68번과는 꽤 차별을 두고 있다. 준공영제 때 구 17-1번이 폐선되면서 '당감동 - 범일로' 노선은 23번이 유일하여 당감동에서 중앙시장이나 현대백화점, 범일동으로 이동하는 수요를 흡수했으며 감만1동에서 유일하게 범내골, 서면으로 가는 노선이 되었다.
  • 감만동 이후로 중복노선들이 많아 노선의 메리트가 떨어지고 또한 노선자체로 봐선 주거지와 중심지만을 이어주는 단거리 노선에 평시시간대에 배차간격이 짧고 운행대수가 너무 많아보이는 등 과소평가를 받고 있는 노선이다. 68번에 밀리는 것은 사실이지만, 상대적으로 수요가 떨어질 뿐이지 이 노선도 구간수요가 많은 노선이고, 감만동 쪽 수요가 많다.
  • 138-1번도 이 노선과 함께 당감1치안센터에서 우암초등학교까지 이어주지만, 138-1번은 경남공고,전포역 국제금융센터 부산은행을 경유하는 노선이기에 이 노선과 경유지는 많이 다르다.
  • 막차 시각이 22:45로 늦는 편이지만 운행거리가 짧은 편이라 23:28경에 부산진우체국에서 회차하여 돌아나가면 익일 00:10경 운행이 끝난다. 23:35경 국제백양아파트를 통과하며 선암사입구 정류장에는 23:40경 통과한다. 따라서 기존 17번 막차 시각이랑 얼추 비슷하게 당감동에서 서면 이남으로 내려가는 노선의 최종 막차 역할을 수행중이다.[11]

4.1. 사건 및 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2020년 10월 28일 16시 14분쯤, 우암동 부산은행 앞에서 미군 화물차량이 이 노선의 버스 후미를 추돌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 사고로 승객 1명이 다쳐 병원으로 옮겨졌다. 사고가 난 차량은 2020년 11월초에 수리후 다시 운행중이다. 관련 기사

4.2. 연간 일평균 승차량

  • 원 출처는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
  • 카드 승차량만 집계된다. (현금 승차량 제외)
  • 재구성된 자료이므로, 계산 및 산출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16264.43
2015년15900.43▽ 364.00
2016년15383.29▽ 517.14
2017년15105.14▽ 278.15
2018년14678.86▽ 426.28
2019년14098.86▽ 580.00

4.3. 노선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23번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백양가족공원
05289
백양뜨란채아파트
05294
선암사입구
05291
동원초등학교
05301
개성고등학교
05300
용사촌입구
05035
당감벽산아파트
05078
청수탕
05181
청수탕
05008
당감동
05081
-
(구)당감4동주민센터
05088
(구)당감4동주민센터
05320
화승삼성아파트
05083
화승삼성아파트
05084
당감초등학교
05088
당감초등학교
05087
당감1치안센터
05154
당감1치안센터
05155
진양교차로
05158
진양교차로
05340
부암역.당감입구
05193
부암역.당감입구
05192
롯데호텔백화점(서면역)
05319
롯데호텔백화점(서면역)
05189
서면시장
05236
서면역 서면지하상가
05710
서면복개로
05234
서면한전
05712
부산진초등학교
05230
범내골역
05227
중앙시장
05215
중앙시장
05221
범일동국민은행
03146
범일역.범일동국민은행
03140
- 자성대
03143
문현교차로
07044
문현교차로
07045
7부두
07080
7부두
07079
남부중앙새마을금고
07081
남부중앙새마을금고
07077
우암초등학교
07076
우암초등학교
07075
우암자유아파트
07083
우암자유아파트
07084
감만창의문화촌
07086
감만창의문화촌
07085
감만시장
07087
감만시장
07088
감만동
07201 · 07089
}}}}}}}}}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백양산로53번길
동원초등학교 ▼▲ 백양가족공원
백양산로당감서로
청수탕 ▼▲ 당감백산아파트
당감서로100번길백양순환로
당감동 ▼
당감서로당감서로94번길
▲ 청수탕
당감서로
화승삼성아파트 ▼▲ (구)당감4동주민센터
당감로
당감1치안센터 ▼▲ 당감초등학교
백양대로
부암역.당감입구 ▼▲ 진양교차로
신천대로
롯데호텔백화점(서면역) ▼▲ 부암역.당감입구
가야대로
서면시장 ▼▲ 롯데호텔백화점(서면역)
서면로중앙대로
부산진초등학교 ▼
신천대로
중앙대로
중앙시장 ▼▲ 범내골역
범일로
범일동국민은행 ▼▲ 범일역.범일동부산은행
범일로102번길자성공원로
▲ 자성대
조방로자성로
자성로
문현교차로 ▼
우암로
}}}}}}}}} ||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노란바탕휠체어빗금.svg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저상버스 예외 (가)승인 노선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22 23 38 61
73 88 88-1 134
161 200 210 520
583
비고
}}}}}} ||


[주말] 토요일 22대 / 공휴일 20대 운행[2] 1987년에 폐업했다.[3] 같이 우암동을 경유하는 68번, 구.25번과 구.68-1번도 마찬가지로 하행 한정으로 서면롯데백화점 정류장은 무정차 통과하였다. 좋든 싫든 무조건 서면시장 정류장에서 탔어야했다.[4] BRT 부산진우체국 정류장에 정차한 이후 가야119안전센터 앞에서 유턴하여 다시 부산진우체국으로 향한다.[5] 동시에 행선판 표기도 동의대역에서 부산진우체국으로 변경되었다.[6] 중앙대로 BRT 개통 이후에도 서면복개로를 경유할 때 부산진초등학교에서 BRT로 진입을 하지 못해 범내골역 정류장을 미정차하는 문제가 발생했다.[7] 현.성동초교 후문[8] 현 전포부영아파트[9] 현.성동초등학교 입구[10] 다만 개금역을 직접적으로 연계하는 167번이 당감동으로 조정되면서 이 수요는 다소 분산된 감이 있다.[11] 해당 막차는 서면역에서 1호선과 2호선 막차와 환승 연계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