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7 02:29:58

부산 버스 105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해결방안 항목 삭제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토론 - 해결방안 항목 삭제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39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
[[틀:부산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
좌석
]] [[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일반
]] [[틀: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부산광역시의 심야버스|
심야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99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 3 5-1 6 7 8
9 10 11 15 16 17
20 22 23 24 26 27
29 30 31 33 33-1 36[A]
37[A] 38[A] 39 40 41 42
43 44 46 49 50[A] 51
52 54 55[A]
55-1[C]
55-2 57
58[A] 58-2 59 61 62 63
67 68 70 71 73[B] 77
80 81 82 83
83-1[A]
85
86 87 88 88-1 90 96
96-1[A]
99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C] 출근시간 전용 노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00~583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00 100-1 101 103 105 106
107 108 110 110-1 111 111-1
113 115[A] 115-1 121 122[B] 123
124[A] 126 127 128-1 129-1 131
133 134 138 138-1 139 141
144 148 148-1 155 160 161
167 168 169 169-1 171 179
180[A] 181 182[A] 183[A] 184[A] 185[A]
186[A] 187[A] 188[A] 189 189-1 190
200 210 300[A] 301[A] 302[A] 307[A]
338 506 508 520[B] 583[A]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 ||
파일:정관105.jpg
파일:부산버스105EV.pn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
3.1. 구.105번
4. 특징
4.1. 이용 시 유의할 점
4.1.1. 정관신도시 내 환승 연계
4.2. 문제점
4.2.1. 해결된 문제점
4.3. 노선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05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105 노선도.png
기점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동(사직동종점) 종점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방곡리(정관박물관)
종점
첫차 05:00 기점
첫차 06:10
막차 22:00 막차 23:10
평일배차 출퇴근 14분 / 평시 17분 주말배차 토요일 17분 / 공휴일 19분
운수사명 학성여객 인가대수 12대[공휴일]
노선 사직동종점 - 남문초.연제우체국 - 종합운동장역 - 거제역 - 연산교차로 - 연안교 - 충렬사역.서원시장 - 명장정수사업소 - 서동역 - 반여농산물시장 - 해운대수목원[2] - 개좌터널 - 곰내터널 - 동원로얄듀크2차아파트 - 정관센트럴파크아파트 - LH4단지- 달음교 - 두산위브더테라스.재흥아파트 - 강변마을 - 서희스타힐스 - 덕산마을 - 정관박물관

2. 개요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62.7km다. 전체 정류장 목록은 여기로

3. 역사

  • 그동안 정관신도시 구간을 직선화된 선형으로 경유하다가 2019년 7월 20일 달산초등학교 - 정관산업단지 - 서희스타힐스 구간인 정관신도시 동쪽 구간을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 그리고 노선연장에 따라 57번에서 2대를 증차분으로 가져와서 인가대수 12대가 되었다.
  • 2020년 12월 31일 법원.검찰청을 미경유하고 현대홈타운 및 종합운동장역을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
  • 2021년 12월 31일 해운대수목원 정류장이 신설되었다. 정관 방향은 석대로에 정류장이 설치되어 상시 정차하며, 사직동 방향은 보행로가 없어 해운대수목원 주차장입구를 경유하나 휴관일인 월요일을 제외한 모든 요일 09시부터 17시까지만 경유한다.

3.1. 구.105번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파일:1546180824.jpg
  • 1970년대에 운행하였던 수영과 신평을 잇는 105번 노선이 있었다. 언제 폐선 되었는지는 불명.
  • 2001년에 에덴공원 - 하단교차로 - 사하구청 - 괴정시장 - 대티역 - 구덕운동장 - 동대신3동 - 부산디지털고 - 민주공원 간 노선으로, 태화교통과 동성여객 공동배차로 개통되었다.[4] 왕복 시간은 60분이었다. 교통편이 열악한 중구 산복도로에서 사하구 갑 지역으로 연결되었기 때문에 선형 자체는 그리 나쁘지 않았다.
  • 그러나 사전 홍보 부족과 태화교통이 경영난에 시달리면서 일찌감치 운행중단하는 바람에[5] 수요 확보에 실패하였다. 동성여객 차량 1대로 거의 억지로 굴리다가 그마저도 1년을 채 못가고 2002년말에 운행이 완전히 중단되었다.
  • 운행 중단인 상태로 4년이 지난 후인 2006년에 폐선 인가가 이뤄졌다.
  • 현재 중앙공원.민주공원 입구, 중구 산복도로에서 괴정을 거쳐 동아대학교까지 가려면 70번[6]이나 190번을 타고 부경고교 정류장(02-033)에서 (반대편 문화아파트 정류장) 하차하여 뒤편에 있는 구덕운동장(02-032) 정류장에서 2번으로 환승하면 된다.

4. 특징

  • 학성여객 노선들 중에서 유일하게 공휴일 감차를 하는 노선이다.[7] 또한 서면과 관련없는 노선인데다 금정구, 해운대구, 기장군으로 가는 노선이기도 하다.[8]
  • 노선조정 이전까지는 사직3동, 법원에서 연산동 방면으로의 수요가 있었고 연산교차로충렬사역, 석대동1010번과 동일 구간에서 이용하는 정관행 승객들이 이용하고 있다. 수요는 여전히 저조하지만, 99번1010번의 하위호환 노선으로 인지도가 소폭 생겨나고 있었지만 1010번이 106번으로 형간전환이 된후엔 그냥저냥인 수준이다.[9]
  • 초창기 몇 달 동안은 연산동 - 명장동 구간에서 99번보다 이 노선이 빨리 왔는데도 정관 가는 승객들을 제외하고는 뒤에 오는 99번을 탔었지만, 현재는 99번과 동일한 구간에서 이용하는 단거리 구간 승객이 어느 정도 생겼다. 물론 1010번이 106번으로 형간전환을 한 지금은 옛말이라고 봐도된다.
  • 정관신도시 노선 중 106번과 함께 철마면사무소를 미경유하고 정관산업로로 직통운행을 한다. 이로 인해 왕복 약 20km를 무정차로 운행하기 때문에 60km가 넘는 장거리 노선임에도 왕복 운행시간은 2시간 30분 정도에 불과하다.
    • 정관신도시 동쪽구간(달산리, 방곡리, 구연리, 정관산업단지)에서 정관신도시를 빠르게 빠져나가려면 무조건 이 노선을 이용하자. 106번이나 107번은 정관읍사무소를 거쳐 평전마을과 모전마을까지 갔다 오느라 이동 소요시간이 오래 걸리며 107번의 경우 중간에 철마면사무소를 경유하여 가기 때문에 석대화훼단지 정류장까지 가는 시간이 이 노선과 최장 15~20분 넘게 차이난다.[10] 만약, 가화테라스1차 정류장에서 센텀시티로 간다고 했을 때 107번 뒤에 105번이 2~3분이내로 오고 있다면 107번을 보내버리고 105번을 타자. 그러면 석대화훼단지에서 아까 보내버린 107번의 앞차로 환승할 수 있다. 즉 107번의 한 배차간격 만큼 시간을 아낄 수 있다.
  • 그 밖에도 충렬사역·서원시장~석대화훼단지 구간은 129-1번의 수요를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서동안동네를 경유하지 않고 서동역을 통해 직통으로 이어주기 때문이다.
  • 2018년 3월 기준 대당 145명의 이용객 수와 115,445원의 운송수입금을 기록하였고 4월에는 대당 이용객 수 173명, 운송수입금 126,245원으로 집계되었고 7월에는 대당 이용객 수 179명, 운송수입금 141,501원으로 증가폭이 수그러진 상황이다. 9월에도 여전히 대당 이용객수 180명 이하, 운송수입금 14만원대에 그쳤다. 11월에는 대당 이용객 수 192명, 운송수입금 15만원대로 소폭 상승하였으나 그래도 1일 평균 이용객 수는 1922명에 불과했다. 2018년에 대당 이용객 수 200명을 넘기지 못하고 말았다. 2019년 4월 기준 1일 이용객 2033명, 대당 승객수 209명으로 통곡의 200명 수치를 드디어 넘었다. 8월 기준 1일 이용객 2294명으로 이용객 수는 증가했으나 2대 증차하면서 대당 승객수는 196명으로 집계되었다. 11월 기준 1일 이용객 2449명, 대당 승객 수 215명으로 이용객 수가 소폭 상승하였다. 2022년 기준 평일에는 3천명 가까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과 대비해 1010번은 평일 5천명 가량의 수요에서 3500명대로 줄었으며 105번은 2300명 수준에서 3천명까지 상승했다. 노선 변경 후 1010번의 수요를 확실히 가져왔다고 볼 수 있는 대목이다.
  • 환승수요가 대다수인 노선이다. 이 때문인지 운송수입금이 매우 낮다.
  • 학성여객 노선들 중, 부산의료원으로 가지 않는 유일한 노선이다.
  • 이 노선과 86번, 87번, 99번, 110-1번을 연계시키면 106번의 대체 노선이 탄생한다.[11]
  • 2023년 11월 11일부로 1010번이 106번 일반노선으로 형간전환되어 졸지에 106번의 하위호환 노선으로 전락해버렸다. 106번의 경우 정관읍 주민들의 반발로 인하여 기존 1010번이 정차했던 정류장 개수를 그대로 유지하여 연산교차로~석대화훼단지 구간이 105번보다 더욱 빠르게 이어주기 때문이다. 덤으로 배차간격이 이 노선보다 더욱 짧은 편이라 106번을 이용하는 승객들이 더욱 많다. 형간전환 후 106번은 5천명대까지 수요가 올랐는데, 105번에서 얼마나 이탈할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다.[12]
  • 하지만 106번이 사람이 많이 타면서 정관 동쪽 달산리에는 자리가 없어 달산리 주민들은 이 노선을 타고 환승을 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4.1. 이용 시 유의할 점

  • 행선판에 사직동으로 표기되어있어서 사직운동장 혹은 사직야구장으로 가냐고 묻는 시민들이 종종 발견되고 있고 사직운동장으로 가는 노선으로 오인하는 사례가 있었다. 사직동까지 운행하는 노선이지만 사직야구장을 전혀 지나가지 않는 노선이다. 다만, 창신초등학교를 경유 하게 되어 3호선 종합운동장역은 경유 하지만 아시아드 주경기장 및 사직야구장까지는 도보로 15분거리로 만만치는 않다.[13] 그래도 걸어가는 사람들 꽤 있다.
  • 107번과는 달리 대곡마을, 철마면사무소로 가지 않으며 106번처럼 정관산업로로 직행한다.[14] 따라서 대곡마을, 철마면사무소로 갈 때에는 절대로 이 노선을 이용하면 안된다.[15]
  • 또한 남문초·연제우체국 정류장과 사직동차고지 기점 사이에 위치한 여명중학교 정류장[16]을 이 노선은 무정차 통과하니 유의해야 한다.
  • 또한 2019년 7월 20일부터 경유한 동원로얄듀크1차, LH4단지, 센트럴파크 등을 184번, 1010번과는 반대 방향으로 경유하니 유의해야 하며 정관신도시 서쪽 지역으로는 운행하지 않기때문에 용수리, 모전리 방면으로 가려면 절대 이 노선을 타면 안된다.[17]
  • 사직동행 막전차가 연산교차로에서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신평행 막차로 환승할 수 있는 마지막 차다. 사직동행 막차는 연산교차로에서 1호선 노포행 막차로만 연계가 가능하니 이 점 유의바란다.[18] 특히 이 노선은 저속운행이 심한 노선[19]이라 까딱 잘못하면 막차가 모두 끊겨 서면까지 걸어가야 하는 상황이 올 수도 있기에 조심해야 한다. 아니면 그냥 맘편히 106번 심야노선을 타는 편이 낫다.
  • 이 노선은 예비차가 따로 없기 때문에 정규차량에 문제가 생기면 학성여객 소속 예비차가 투입된다. 이 예비차의 경우 57번, 83-1번에도 공동으로 투입되는 차량이라 버스 내부에 57번, 83-1번, 105번 노선도가 모두 붙어 있다.

4.1.1. 정관신도시 내 환승 연계

용수리 및 모전리로 이동할 경우

4.2. 문제점

  • 차량총량제로 인해 57번에 엄청난 피해를 준 노선이다. 57번의 인가대수를 개통 당시에 8대, 2019년 7월 20일에 2대를 빼와 총 10대나 빠진 57번의 배차간격이 늘어났다. 정체 등이 겹칠 때는 20분 가까이 벌어지는 상황. 반면에 이 노선은 계속되는 저속운행과 여전히 수요 최하위 노선에 놓여 있다.
  • 노선이 너무 단순한데다 정관읍에서 반여농산물시장역까지 107번과 1010번과 겹치는데다가 명장동~연산역 구간은 99번과 106번과 중복, 안락교차로~연산역 노선은 99번110-1번이 좋은 배차간격으로 운행되고 있기에 12대씩이나 운행하는 점은 과잉공급이라는 지적도 끊임없이 나오고 있다. 현행노선은 주워먹기 수요만 근근히 얻어내는 형태에 불과하며 그나마 정관신도시에서 반여농산물시장역까지 가는 수요는 존재하나 해당구간에서는 이미 106번과 107번의 주워먹기 수요에 불과하기 때문에 이 노선만의 장점은 하나도 없다. 그나마 있다면 높은 확률로 착석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 노선변경이 자잘하게 이루어지긴 했지만, 여전히 저속주행 문제는 전혀 개선되지 않았다. 이로 인해 수요를 크게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다.[20] 배차간격이 좋지 않은 184번을 폐선하고 운행대수가 4배가량 더 많은 이 노선으로 통폐합을 하여 회동석대산단 근로자들의 편의성을 이끌어내는게 차라리 합리적일거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 2023년 11월 11일부로 부산 버스 1010이 일반버스 106번으로 형간전환됨에 따른 갑론을박이 펼쳐지고 있는데, 이 노선을 폐선 하거나 중복도를 줄이기 위해 연산역이 아닌 동래역으로 경유 조치해야된다는 의견이 나온 반면에 106번과 연산역.연산교차로까지 노선이 동일한 형태인데 만약 이 노선을 섣불리 폐선시켰다가는 106번의 과밀도수송이 매우 심각해질 것이기때문에 폐선을 하면 안된다는 의견들이 있다. 사실상 106번의 하위호환 노선이 되었다.

4.2.1. 해결된 문제점

  • 정관신도시를 위해 개통된 노선이라 했지만 정작 정관신도시 내의 정차 정류소는 겨우 4개 뿐이었다. 이 때문에 2017년 12월 개편내역 발표 당시에 논란거리가 되었다.
  • 정관신도시의 아파트단지들을 경유하는 다른 노선들과는 달리 정관신도시의 아파트단지들을 거의 경유하지 않았다. 정관박물관에서 정관농협기업지점을 거쳐 곰내터널로 직통하여 달랑 정관중앙로에만 다니도록 한 것이다. 때문에 184번으로 대차게 말아먹고[21] 또 직통노선을 개통시켰냐는 얘기가 많았다. 덕분에 급행버스가 순환버스인 마냥 정관신도시 일대를 관통하는 반면 일반버스가 시내 방향으로 직통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두번째로 생겨버렸다.
  • 원래 부산시의 의도는 정관신도시 중심지역에 환승요충지를 지정하여 그곳에서 도심을 직통하는 급행버스와 정관신도시 아파트단지를 순환하며 굴곡 운행하는 일반버스.마을버스 노선을 갖추어, 환승을 통한 이용 체계를 갖추고자 하는 허브 앤 스포크[22] 도입한 것이었다. 하지만 막바로 급행버스노선에 도입하려니 주민들의 항의 반발이 심하였기에 1차 테스트 격으로 184번이 다니게 되었는데 기존 급행버스를 이용하는 바람에 외면당하고 이용객들의 환승저항이 심해 실패하였다. 하지만 부산시는 이 계획을 포기하지 않았고 그리하여 2차 테스트 노선인 105번을 신설하게 된 것이다.
  • 급행버스 뺨치게 적은 정류장 수와 지나치게 직선화되어 직행좌석버스 수요라고는 눈씻고 찾아볼 수 없는 노선의 구조상 적자폭이 꽤 클 것으로 보였다. 그나마 184번 때와 다른건 반송로를 따라 연산교차로까지 연결된다는 점인데 36번이 반여1동 경유로 조정된 이후 더 과밀해진 99번의 수요 분담을 위해 이 노선을 명장동 - 연산교차로로 가게 한 것 같다는 의견들이 있다.[23] 그래서 99번의 과밀수요를 분담해 주는 것 아닐까 하는 기대도 되지만, 한편으로는 이 노선의 배차간격이 15분이기 때문에 99번의 과밀수요 분담을 잘 못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되었다.[24]
  • 상술한 요인들로 인해 버스동호인들 사이에서 105번을 정관신도시 내부로 다니게끔 노선조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는데 2019년 7월 20일에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부산시의 정관신도시 허브 앤 스포크 방식 도입정책은 결국 실패로 끝났고 부산시도 인정 했는지[25] 결국엔 노선을 정관신도시 달산리, 방곡리, 정관산업단지 경유로 변경하였다.

4.3. 노선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05번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정관중앙로
덕산마을 ▼▲ 정관박물관
정관덕산길
소두방공원 ▼▲ 덕산마을
구연방곡로
강변마을 ▼▲ 달산마을
정관로
두산위브더테라스 재흥아파트 ▼▲ 강변마을
산단6로
▲ 달음교
산단로
동원로얄듀크1차아파트 ▼
산단4로
가화테라스1차 ▼▲ LH4단지
정관로
동원로얄듀크2차아파트 ▼▲ 구연동
정관중앙로
▲ 동원로얄듀크2차아파트
정관산업로
석대로
석대화훼단지 ▼
반송로
연산역 ▼▲ 연산교차로
월드컵대로
창신초등학교(종합운동장역) ▼▲ 거성교차로(종합운동장역)
아시아드대로
남문초.연제우체국 ▼▲ 창신초등학교
법원북로
사직동 ▼▲ 남문초.연제우체국
미남로
}}}}}}}}} ||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정관신도시 경유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급행 1008
일반 37 73 105 106 107
182 184 188 302
마을 기장8 기장57
}}}}}}}}} ||



[공휴일] 10대 운행[2] 사직동방향 노선은 화~일 09시~17시에만 정차하며 정관 방향은 상시정차한다.[3] 당초 계획은 57번 4대 감차, 83-1번 학성여객 철수와 41번 2대, 83번 4대 감차로 83-1번을 용화여객이 10대 배차하는 것이었다. 허나, 알짜배기 노선들인 41번, 83번을 감차한다는 것에 용화여객 측에서 상당한 항의를 했으며, 항의를 설득할 수 없자 학성여객 측이 큰 결단을 내려 57번 8대, 83-1번 2대 감차를 결정했다. 그리하여 105번이 공지된 날짜에 개통된 것. 여담으로 이때는 용화여객이 16번을 인수하기 전이다.[4] 당시 태화교통은 BM090을, 동성여객은 무냉방 에어로시티를 투입하는 등 시작부터 차급은 그다지 좋지 않았다.[5] 이 때 태화교통의 BM090은 강서구 모처에서 1년 가까이 방치되다가 2002년에 520번으로 이동해 운행하게 된다. 이 때 태영버스로 바뀐지 한참 되었음에도 방치되는 기간동안 태화교통 사명을 계속 붙이고 있었다.[6] 이 노선의 경우에는 중앙공원.민주공원 구내 안쪽까지 들어간다.[7] 83-1번은 인가대수가 8대로 23~25분 간격으로 다니기 때문에 주말 감차를 하면 배차간격이 30분 이상으로 벌어질 수가 있어 주말감차를 하지 않는다. 57번은 예전에는 공휴일에 감차를 했지만 이 노선 신설 시점부터 공휴일에도 상시 정상운행한다.(명절 연휴 제외) 여담으로 이 노선 신설 및 정관 동측운행 변경으로 인해 57번 인가대수가 총 10대가 빠져나가면서부터는 배차간격이 3~4분 정도 늘어났다.[8] 다만 해운대구는 반여농산물도매시장과 석대화훼단지 정류장 두 곳 뿐이라 큰 의미는 없다.[9] 106번은 구. 1010번처럼 일부 정류소를 통과하지만 105번은 모든 정류소를 정차하는데다가 여전히 저속운행한다는 의견이 대부분이다. 게다가 106번 배차간격이 훨씬짧다.[10] 특히 정관신도시는 중간중간에 교차로와 신호가 많아서 신호대기를 할 때가 잦다. 다만 106번과 107번은 정관신도시를 반대로 순환하니 정관신도시 동쪽 구간(달산리, 방곡리, 구연동)에서 106번 서면행은 길을 건너서 반대편 정류장에서 이용해야 한다.[11] 86번의 경우 경찰전직지원센터 ~ 연산교차로 사이의 정류장에서 환승하면 서면으로 바로 갈 수 있으며, 99번은 편하게 앉아가고 싶다면 명장동에서 환승하는 편이 낫다. 또한 최종 목적지가 서면롯데백화점이라면 106번을 이용해서 한 번에 가기보다는 이 노선과 87번, 110-1번으로 환승하여 가는 편이 훨씬 낫다. 106번은 서면한전이 회차 지점이고 롯데백화점보다 두 정거장 전인 네오스포에서 휴식 후 시간에 맞춰 출발해 롯데백화점을 맨 마지막에 경유하기 때문에 상당히 오래 걸린다.[12] 106번은 정관읍에서 배차간격이 유일하게 10분이 넘지않는 노선이다.[13] 다만 홈플러스가 종합운동장역에 있어 이곳에 먹을거리를 구매하고 가기위해 도시철도도 종합운동장역에서 내리는 사람도 꽤 많은 편.[14] 철마면사무소를 미경유하는 입석노선은 1010번이 106번으로 형간전환되기까지 이 노선이 유일하였다. 같은 일반버스인 73번, 107번184번은 철마면사무소랑 백길, 웅천리 등등의 마을 투어를 한다. 급행노선인 1008번도 정차하는데 일반버스가 정차 안하는 이상한 상황이 되었다. 다만 1008번의 경우 73번 동래지선을 제외하면 철마면에서 부산대나 동래로 최단거리로 유일하게 이어주는 노선인데다 연선 주민들의 수요를 무시 못하기에 철마면사무소 구간을 경유하고 있다.[15] 다만 최근 들어 철마면사무소, 대곡마을 연선에서 연산교차로로 한번에 이어주는 이 노선을 경유시켜달라는 요구가 제기되고 있는 편이다. 철마면사무소를 거쳐가는 노선이 몇 없어서 정차 요구가 끊임없이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16] 부산진17번 마을버스가 정차한다.[17] 실제로 LH4단지 정류장 (184, 1010번 정관산업로 방향)에서 105번을 타려고 했을때 승무원이 정관방향으로 간다고 안내하였다.[18] 만약 막차를 탔는데 1호선 연산역 이남으로 내려가야 할 경우 연산교차로에서 재빨리 110-1번 막차로 환승해야 한다.[19] 남부여객 6번, 한창여객 33, 33-1번, 삼성여객 54번, 동원여객 81번, 세익여객 183번, 삼신교통 300번도 마찬가지다.[20] 특히 이 노선은 잦은 신호대기 때문에 그런 듯하다.[21] 개통 당시에는 정관중앙로(동원로얄듀크2차) - 정관로 - 정관5로(홈플러스, 신동아파밀리에정문, 가동마을)를 통해 바로 차고지로 들어갔다. 결국 4개월이 지난 2015년 4월 18일부터 정관신도시 내 아파트단지들을 경유하게 바뀌었다.[22] 각 동네에서 특정 환승 거점까지 이동한 후 환승 거점에서 다른 동네나 도심으로 가는 노선으로 환승해서 이동하는 것이 허브 앤 스포크이다. 반대로 각 동네마다 도심이나 다른 동네로 가는 노선을 운용하는게 포인트 투 포인트이다.개념도[23] 실제로 99번을 타오던 승객들이 지속적인 만차현상으로 불편에 시달려 민원이 종종 올라왔다. 2017년 10월 24일부터 110-1번이 연산교차로 - 우성아파트 - 안락교차로(동래봉생병원) 운행으로 노선이 바뀌어 수요를 분담하고 있으나 충렬사역(서원시장) - 명장동으로는 가지 않기 때문에 이 구간에서는 오로지 99번에만 의존해야 했다.[24] 참고로 예전에 15분 배차간격의 36번이 라이프타운 - 연산교차로 간 노선을 99번과 거의 똑같이 운행했지만 심각한 저속운행과 연산교차로를 양방향으로 이어주지 못하여서 결국 99번 과밀수요 분담에 실패했다.[25] 1008번도 모전초등학교를 경유하게끔 조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