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4 22:33:03

부산 버스 58-2

{{{#!wiki style="margin: -10px 0"<tablebordercolor=#39f>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버스 노선
}}}
[[틀:부산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
좌석
]] [[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일반
]] [[틀: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부산광역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부산광역시의 시티투어버스|
투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99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 3 5-1 6 7 8
9 10 11 15 16 17
20 22 23 24 26 27
29 30 31 33 33-1 36[A]
37[A] 38[A] 39 40 41 42
43 44 46 49 50[A] 51
52 54 55[A]
55-1[C]
55-2 57
58[A] 58-2 59 61 62 63
67 68 70 71 73[B] 77
80 81 82 83
83-1[A]
85
86 87 88 88-1 90 96
96-1[A]
99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C] 출근시간 전용 노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00~583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00 100-1 101 103 105 106
107 108 110 110-1 111 111-1
113 115[A] 115-1 121 122[B] 123
124[A] 126 127 128-1 129-1 131
133 134 138 138-1 139 141
144 148 148-1 155 160 161
167 168 169 169-1 171 179
180[A] 181 182[A] 183[A] 184[A] 185[A]
186[A] 187[A] 188[A] 189 189-1 190
200 210 300[A] 301[A] 302[A] 307[A]
338 506 508 520[B] 583[A]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 ||

{{{#!wiki style="margin: -10px 0"<tablebordercolor=#aaa>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심야버스 노선
}}}
[[틀:부산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
좌석
]] [[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일반
]] [[틀: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부산광역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부산광역시의 시티투어버스|
투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5 30 51
58-1[a]
58-2 106
141[a]
182
183[a]
508
1000[a]
1001
1002[a]
1003[a]
1004[a]
1008
[a] 주간노선과 심야노선의 경로에 차이가 있는 노선
}}}}}}}}} ||
파일:부산 버스 58-2D.png
파일:부산58-2일렉시티.pn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이용 시 유의할 점4.2. 신도색 디젤차량 투입4.3. 연간 일평균 승차량4.4. 노선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58-2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58-2 노선도.svg
기점 부산광역시 강서구 화전동(강서공영차고지) 종점 부산광역시 사하구 당리동(영락교회)
종점
첫차 04:50
기점
첫차 05:50
막차 21:50
막차 23:15
평일배차 출퇴근 12분 / 평시 13분 주말배차 13분
운수사명 태영버스 인가대수 17대[주말]
노선 강서공영차고지 - 삼성전기 - 송정다리 - 용원사거리 - 경제자유구역청 - 녹산염색공단 - 신호초등학교 - 신호대교 - 퀸덤1.2단지 - 남명초등학교 - 명지환승센터 - 명지금강펜테리움 - 명지스위트팰리스(12-600)[단독] - 경일고등학교 - 을숙도 - 하단역 - 낙동초등학교 → 영락교회 → 대광고등학교 → 사하구청.당리역 → 낙동초등학교 → 이후 역순
가늘게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동일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해야 한다.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심야버스 58-2번
기점 부산광역시 강서구 화전동(강서공영차고지) 종점 부산광역시 사하구 당리동(영락교회)
종점
첫차 22:50
기점
첫차 00:05
막차 22:50
막차 00:05
배차간격 1일 1회
운수사명 태영버스 인가대수 1대
노선 주간 노선과 동일

2. 개요

태영버스에서 운행하는 부산광역시의 시내(입석/심야)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4.1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1기 노선은 1990년 개통된 노선으로 부산 버스 58과 비슷하며 용원 - 송정 - 성고개 - 녹산 - 녹산수문 - 명지 - 하단 - 괴정 - 구덕운동장 - 충무동까지 운행했다.
  • 1996년 용원 - 송정 - 성고개 - 녹산 - 녹산수문 - 명지 - 하단 - 엄궁 - 서부터미널 - 신모라 - 강서구청으로 변경했으나, 1999년 폐선되었다.
  • 2기 노선은 2004년 10월 1일, 58-1번의 승객포화를 보조하고자 출근 전용노선으로 신설됐으며 당시엔 현.555번과 비슷한 역할을 했다. 출근 전용노선인 만큼 아침에만 3회 운행했으나 58-1번 배차간격이 훨씬 좋았던 탓에 이 노선은 존재감이 없었고 결국 2006년도에 폐선됐다. 참고로 이때는 58-1번이 10분 간격으로 운행했다.
  • 2007년 5월 15일 58-1번의 B노선을 분리하여 번호를 58-2번으로 변경하고 사하구청 회차 시 대광발명고 쪽을 단독 경유하는 노선으로 바꿨다. 개통 초기의 노선은 기종점은 현재와 같았으나 신호하수처리장과 명지새동네 사이를 르노삼성대로를 이용해 직선으로 연결하는 형태였다. 지금도 그렇지만 당시에도 낙동강하굿둑에서 정체가 극심하게 발생해서 배차간격이 제법 벌어진 적이 많았다.
  • 2009년 8월 28일 520번 증차 문제로 1대가 감차되었다.
  • 2011년 6월 10일 520번 차량 4대를 이 노선에 투입하여 고질적인 배차간격 문제가 해소되었다.
  • 2015년 8월 22일 신호지구(신호초등학교, 58-1번과 동일구간)와 명지국제신도시(금강펜테리움과 에일린의뜰, 단독구간)를 추가로 경유하게 됐으며 이와 동시에 4대 증차됐다. 부산시 노선조정안내
  • 2016년 4월 9일 명지국제신도시 내의 대방노블랜드아파트가 입주함에 따라서 노선이 소폭 조정되었다.
  • 2016년 9월 금강펜테리움 2차 정류소에 정차하기 시작했다.
  • 2017년 11월 25일 심야버스도 운행하기 시작하면서 58-1번과 같이 명지의 심야를 책임지는 노선이 됐다. 2015년 11월 28일 58-1번이 노선 단축되어 하단역 주간 막차가 23:10으로 설정됐는데 그 다음 차량이자 심야버스가 무려 1시간 30분 뒤에 오기 때문에 이용 편의 측면에서 문제가 많아 민원들이 있었다.[3] 그래서, 이 긴 공백을 해결하고자 58-2번 심야버스를 신설하여 거의 중간 시간대에 다니게 설정한 듯 하다.
  • 2023년 7월 29일 태영버스강서공영차고지에 입주함에 따라 '르노자동차 - 녹산산업중로 - 용원사거리' 구간이 '르노자동차 - 녹산산업대로 - 용원 - 녹산산업중로 - 강서공영차고지'로 변경되었으며[4], 웅동2동에 위치했던 용원사거리 정류장(12-055, 12-224)은 24년 만에 폐쇄되고 기존 55번, 520번이 정차하고 있는 용원 정류장(12-072, 12-073)에 정차하게 되었다. 또한 명지국제신도시입구~명지새동내 구간을 미경유하고 협성휴포레~명지농협을 경유하며 종점도 하단역으로 단축되었다. 즉, 창원시 진해구 구간에서 완전히 철수함에 따라 부산광역시 안에서만 운행하는 노선이 되었다.[5] 강서공영차고지에서 용원 정류장까지는 약 10분 가량 소요된다. 부산시 버스 공식 블로그
    {{{#!folding [ 개편 전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58-2 노선도.png}}}
  • 2024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안에 58-2 사하구 구간의 노선 수정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하단동 영락교회 정류장 인근에서 우회전하던 58-2 버스와 보행자간 인명사고가 발생하여 인근 주민의 민원이 발생하였다.[6] 현재 하단역-사하구청-하단역의 단방향 순환구간을 역방향으로 순환하는것으로 조정될 예정이다.[7][8]

4. 특징

  • 58-1번 용원 노선의 계보를 이어받은 당시에는 용원/녹산공단에서 단순히 부산광역시 사하구로 연결시켜주는 장거리 승객이 대다수였던 셔틀버스 수준에 그쳤으나 현재는 신호주거단지, 명지동에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여럿 들어서면서 굴곡이 생기긴 했으나 해당구간에서 수요를 상당히 많이 얻고 있다.
  • 58번 시리즈 노선들 중에서 유일하게 성공한 노선이며, 58번58-1번보다 훨씬 더 잘 나가고 있다. 해당 두 노선의 운행대수를 합쳐도 이 노선의 2/3 수준이다.[11]
  • 그러나 58번과는 성격이 매우 다르다. 58번의 경우에는 58-1번, 이 노선과는 달리 르노삼성대로로 운행되지 않고 강서9-1번과 같이 낙동남로를 위주로 운행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58-1번과의 차이점은 이 노선은 명지국제신도시를 경유하며[12] 신호주거단지를 지난 후 경제자유구역청까지 녹산산업대로를 쭉 탄다는 것이다. 그리고 용원사거리를 지난 후 녹산산업중로로만 다니는 것도 차이점이다. 하단역 환승센터에서 끊기지 않고 낙동대로 경유 노선들과 환승이 용이한 낙동초등학교 정류장을 거쳐 사하구청까지 조금 더 가는 것도 특징이다.[13]
  • 평시에도 신호, 명지에서 하단역을 오가는 수요가 폭발적이다. 2011년 6월 10일 부로 520번에서 4대를 빼서 58-2번에 증차해 고질적인 배차간격 문제가 해결되어 오래 기다리지 않고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 2012년 11월 17일에 계속되는 명지오션시티 주민들의 요구와 함께 명지오션시티 교통 인프라 확충을 위해 내부로 직접 경유하게 됐다.
  • 태영버스 두동영업소의 가스충전소 부재 및 열악한 사정으로 디젤차량이 많으며 천연가스버스는 몇 대 섞여 있다. 가스충전은 신평동 영신여객 차고지에서 실시했으나 2023년 7월 29일부터는 강서공영차고지에서 한다. 다만, 2018년 4월부터 약 3개월 동안은 모종의 사유로 학장동 대도운수 차고지에서 실시했다.
  • 출퇴근 시간대에 하단 방면은 녹산공단에서부터 이미 입석이 들어차서 신호주거단지랑 명지오션시티에서 콩나물시루마냥 가득 탑승하여 하단역에서 대거 하차하는 패턴이 주를 이루고 있다. 반대 방면도 회차 지점인 하단역에서부터 이미 입석이 가득 들어차서 용원 방면으로 출발하게 된다. 그나마 3번과 168번이 명지로 들어와서 예전처럼의 승객 혼잡도는 줄어들었고, 강서공영차고지 개편으로 168번은 빠졌지만 61번, 124번, 128-1번, 171번이 새로 들어왔다.[14] 실제로 명지국제신도시 구간에서는 168번과 100% 똑같이 운행했었다. 때문에 하단역 환승센터에서 이 노선과 168번이 동시에 도착하면 승객이 골고루 분산됐었다.[15] 하지만 지금은 168번이 빠졌고, 1009번까지 단축되면서 명지국제5로의 유일한 시내버스가 되었고, 원점으로 돌아갔다.
    • 노선 변경 이후 신호주거단지와 명지오션시티/명지국제신도시에서 경일고등학교 통학 수요가 새로 창출되었다. 그간 경일고 통학이 어려워서 통학 편의 차원에서 이 노선으로 하여금 경일고를 경유해 달라고 하는 민원이 여럿 있었다. 다만 이로 인하여 명지시장/명지새동네를 미경유하지만 61번과 128-1번과 171번 등등의 노선들이 있으니 아무런 문제가 없다.
  • 용원, 녹산(송정동)행 부산 시내노선들 중에서는 배차간격이 유일하게 8~10분대로 정상이다.[16] 그리고 이 노선, 58-1번을 제외한 다른 시내버스 노선들은 대당 운송수입금이 30만원 미만으로 적자가 꽤 심각한 노선들이고 2000번의 경우에는 40~60만원을 벌어가지만 운송원가가 80만원대라 역시 적자 폭이 심각한 편이다. 특히 58번과 520번의 경우에는 부산 전체에서도 최하위권에 머무르고 있다. 여담으로 신호동에서 끊기는 3번과 신호동에서 바로 강서차고지로 가는 61번, 128-1번, 171번도 있는데, 128-1번의 경우는 58-2번보다도 배차간격이 좋으며, 3번의 경우에는 58-2번 다음으로 배차간격이 괜찮은 편이다. 61번과 128-1번과 171번의 경우 공식 배차간격은 짧으나, 정체구간을 지나서 배차가 자주 벌어진다.
  • 참고로 이 노선의 경우에는 1일 대당 운송수입금이 약 40~45만원대였는데 승객수가 점차 늘어나더니 2017년 3월 기준으로는 1일 대당 약 50만원대까지 오른 것이 확인되었다. 다만 2017년 5월 기준으로는 1일 대당 47만원대로 떨어진 것이 확인되었는데 4월 22일 신설된 3번이 일부 수요를 분담하는 영향인 듯 하다. 2018년 6월 기준으로는 운송수입이 43만원까지 감소하여 확실히 신호동, 명지오션시티에서는 3번에 수요를 상당히 분산됐음을 알 수 있다. 그래도 승객수와 운송수입금 모두 1004번보다 많기 때문에 실질적인 태영버스의 주력노선이다.
  • 강서9-1번의 하단행 막차 시각이 22:15에서 다시 21:20경으로 한참이나 앞당겨지면서 심야 노선의 수요가 덩달아 늘어났다. 기존에 22:50경에 용원에서 출발하던 강서9-1번 막차의 차선책으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17] 강서9-1번 막차가 끊겨버리는 21:20경 이후로는 무조건 이 노선을 이용해서 가야만 한다.
  • 카카오맵에는 심야노선은 초정밀버스에 안뜨고 주간노선만 뜨는 중이다.

4.1. 이용 시 유의할 점

  • 경제자유구역청 정류장(640589, 640590)은 양방향 동일한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LED와 보조행선판을 확인하여야 한다.[18]
    강서차고지 방향 사하구청 방향

    차고지행 사하구청행

4.2. 신도색 디젤차량 투입

  • 부산광역시는 신차 출고 시 천연가스버스 출고를 의무적으로 하고 있고 2010년식 이전의 차량을 제외하면[19] 모든 차량이 천연가스버스로 운행중이다.
  • 하지만 열악한 가스충전 여건 때문에 2013년 10월에 58-1번에 특별히 디젤버스 출고를 허용, 2016년 1월에는 58번에 디젤버스가 출고된데 이어 2016년 11월에는 이 노선에 디젤버스가 투입됐는데, 그것도 이 노선에는 신도색차량이 무려 8대나 들어왔다. 자사노선 55번/58-2번/2000번이 사용하던 장림 도시가스 CNG 충전소가 없어지면서 55번은 대도운수 충전소, 58-2번/2000번은 영신여객 충전소를 사용하나 두 충전소 모두 워낙에 사용하는 차량들이 많다 보니 충전 스케줄과 용량 초과로 형제 노선들처럼 디젤버스를 뽑을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최근 들어온 8대 중에서 일부 차량에는 회사명 폰트까지 부착됐다. 기존도색의 밋밋한 전,후면에 사명을 붙여놓자 허전함이 그나마 보완됐다는 반응이었다. 그러나 회사명 폰트는 얼마 못 가 제거되고 말았다.[20]
  • 2017년 9월에는 신도색 디젤버스가 4대 들어왔다. 태영버스의 신도색 디젤차량은 12대이다.
  • 2024년에는 일렉시티 전기버스를 도입하면서, 기존 디젤차량 일부를 58번으로 이동시켰다.
===# 두동차고지 시절 공차회송 #===
  • 2023년 7월 28일까지 이 노선은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용원동 용원사거리끼지 운행했던 노선이지만 차고지는 용원동에서 좀 더 북서쪽으로 가면 나오는 용원 휴요양병원 건너편인 두동에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용원사거리에서 운행을 마친 후 두동차고지까지 공차회송을 했는데 이 회송 구간을 일반 승객이 이용할 경우 불법 승하차로 간주되어 지자체나 회사로부터 불이익을 받을 수 있었다.[21]
  • 공차회송 시절 안내방송에서 "이번 정류장은 용원사거리입니다. 다음은 두동차고지입니다."라고 나왔었지만 정식 기점인 용원사거리에서 모두 내려야 했었다. 구.차고지 쪽으로 가야 한다면 용원사거리에서 내려 창원시내버스 용원 종점까지 걸어가서 305번, 315번, 3006번을 타고 용원휴요양병원에서 내리면 된다. 이들은 모두 창원시내버스라 환승이 불가능하므로 유의할 것.
  • 이 외에도 동일 차고지 소속으로 송정공원이 기점이었던 55번, 520번과 해인로즈빌아파트가 기점이었던 58-1번이 이런 공차회송을 했었다.[22]

4.3. 연간 일평균 승차량

  • 원 출처는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
  • 카드 승차량만 집계된다. (현금 승차량 제외)
  • 재구성된 자료이므로 계산 및 산출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7613.43
2015년 7986.57 △ 373.14
2016년 8773.71 △ 787.14
2017년 9322.00 △ 548.29
2018년 8315.14 ▽ 1006.86
2019년 9021.28 △ 706.14

4.4. 노선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58-2번[23]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낙동대로
낙동대로▲ 사하구청(당리역)
다대로
괴정로
▲ 대광고등학교
제석로
▲ 영락교회
낙동대로
하단역 ▼▲ 낙동초등학교
낙동남로
명지시장 ▼▲ 부산현대미술관
르노삼성대로
명지초교.명지중학교 ▼▲ 명지새동네
명제국제11로
금강펜테리움2차아파트.호반베르디움2차아파트 ▼▲ 명지국제신도시입구
명지국제5로
중흥1차.부영동문 ▼▲ 대방노블랜드아파트
명지국제7로
법원검찰청사거리 ▼▲ 더에듀팰리스부영
명지국제3로
행복마을 ▼▲ 명원초등학교
명지오션시티1로
남명초등학교 ▼▲ 행복마을
명지오션시티11로
▲ 극동스타클래스아파트
명지오션시티2로
퀸덤1.2단지 ▼
명지오션시티10로
신호대교 ▼▲ 퀸덤1.2단지
명지오션시티1로
삼성자동차남문 ▼▲ 신호대교
르노삼성대로
윌아파트 ▼▲ 삼성자동차남문
신호산단2로
신호부영3차.5차아파트 ▼▲ 신호초등학교사거리
신호산단5로
의창수협 ▼▲ 신호부영3차.5차아파트
신호산단1로
신호하수처리장 ▼▲ 부영2차아파트
르노삼성대로
▲ 신호하수처리장
녹산산업대로
녹산하수처리장 ▼▲ 녹산하수처리장
녹산화전로
태광금속 ▼▲ 우진목재
녹산산업중로
풍영산업 ▼▲ DSR
가락대로
▲ 경제자유구역청
녹산산단178로
경제자유구역청 ▼
가락대로
부산프라스틱공업 ▼▲ 풍영산업
녹산산업중로
용원중앙병원 ▼▲ 영도산업
만금로
용원 ▼▲ 용원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심야버스 58-2번[24]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낙동대로
낙동대로▲ 사하구청(당리역)
다대로
괴정로
▲ 대광고등학교
제석로
▲ 영락교회
낙동대로
하단역 ▼▲ 낙동초등학교
낙동남로
명지시장 ▼▲ 부산현대미술관
르노삼성대로
명지초교.명지중학교 ▼▲ 명지새동네
명제국제11로
금강펜테리움2차아파트.호반베르디움2차아파트 ▼▲ 명지국제신도시입구
명지국제5로
중흥1차.부영동문 ▼▲ 대방노블랜드아파트
명지국제7로
법원검찰청사거리 ▼▲ 더에듀팰리스부영
명지국제3로
행복마을 ▼▲ 명원초등학교
명지오션시티1로
남명초등학교 ▼▲ 행복마을
명지오션시티11로
▲ 극동스타클래스아파트
명지오션시티2로
퀸덤1.2단지 ▼
명지오션시티10로
신호대교 ▼▲ 퀸덤1.2단지
명지오션시티1로
삼성자동차남문 ▼▲ 신호대교
르노삼성대로
윌아파트 ▼▲ 삼성자동차남문
신호산단2로
신호부영3차.5차아파트 ▼▲ 신호초등학교사거리
신호산단5로
의창수협 ▼▲ 신호부영3차.5차아파트
신호산단1로
신호하수처리장 ▼▲ 부영2차아파트
르노삼성대로
▲ 신호하수처리장
녹산산업대로
녹산하수처리장 ▼▲ 녹산하수처리장
녹산화전로
태광금속 ▼▲ 우진목재
녹산산업중로
풍영산업 ▼▲ DSR
가락대로
▲ 경제자유구역청
녹산산단178로
경제자유구역청 ▼
가락대로
부산프라스틱공업 ▼▲ 풍영산업
녹산산업중로
용원중앙병원 ▼▲ 영도산업
만금로
용원 ▼▲ 용원
}}}}}}}}} ||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하단역환승센터 경유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1px -5px"
{{{#1f2023,#fff {{{#!folding [ 펼치기ㆍ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급행 2000
좌석 58-1
일반 3 55 58 58-2 61 68[a]
123 124 128-1 161 171
강서구
마을
7 9-1 12 13 15 20
21
사하구 마을 10[b]
강서구 다람쥐 12-1
김해시 220
음영표기: 하단역이 시•종착이 아닌 노선
[a]강서구 미경유 노선
[b]중앙버스전용차로 미정차 노선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명지신도시 경유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급행 1005 <colbgcolor=#dddddd,#212121> 1009 1011[a] 2000[a]
좌석 58-1
일반 3 55-1 55-2 58
58-2 61 122 124
128-1 520 171 161
마을 강서 8 강서 20 강서 21 강서 22
김해 914
음영표기: 국제신도시 경유 노선
[a]르노삼성대로로 운행하는 노선
}}}}}}}}} ||


[주말] 토요일 16대 / 공휴일 15대[단독]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3] 58-2번 막차(사하구청 23:15)도 하단역에서 23:20 경에 출발하기 때문에, 58-1번 심야버스 출발시간과는 1시간 20분의 공백이 있었다.[4] 즉, 녹산산업중로의 경우 기존대로 경유하는 건 똑같지만 상하행이 바뀐다.[5] 기존 용원사거리 버스 정류장(12-055, 12-224)에서 이 노선을 이용하는 승객들은 동쪽으로 90m 정도 걸어가야 한다.[6] 해당구간은 버스가 우회전 할 때 바로앞 LG전자 매장과 인근 거주자들의 불법주차된 차들로 인해 시야확보가 어렵고, 각도도 45도로 우회전시 보행자 파악이 어렵다.[7] 명지국제신도시에서도 58-2 버스와 어린이간 인명사고로 인해 강서공영차고지 개편당시 명지국제5로에 58-2를 제외한 모든 버스를 빼버리는 조정을 한적이 있다.[8] 개편일은 미상이다.[9] 현재 버스 관련 문서 중 NPOV가 적용된 문서는 경산버스, 안동시 시내버스/문제점 및 비판이 끝이다. 이 문서에 NPOV가 적용된 이유는 노선 굴곡을 어떤 관점으로 서술할지 문제로 토론이 심해져 중립적 관점으로 서술하기로 했기 때문이다.[10] 다른 노선은 55-2번. 개편 전에는 이 노선 이외에도 50-2번, 51-2번, 73-2번, 111-2번, 129-2번이 있었으나 50-2번, 51-2번, 129-2번은 폐선, 73-2번과 111-2번은 신설 이후 본선노선 폐선으로 각각 73번111번으로 번호가 변경됐다. 과거에는 58-3번도 있었다. 현 55번과 유사한 노선이며, 폐선 후 강서16번으로 전환되었다는 말이 있다.[11] 58-1이 남포동까지 운행되던 시절엔 그래도 매번 입석을 달고다니는 등 수요가 탄탄했으나, 하단 종착으로 바뀐 이후에는 용원, 녹산 주민의 준 급행 수준으로 이용되고 있다.[12] 2023년 7월 29일 개편 이후로는 58번도 경유하나 구간이 다르다.[13] 2023년 7월 29일부로 다른 58번 시리즈와 동일하게 하단역 환승센터에서 끊기게 되었으나, 동년 11월 4일부로 다시 사하구청까지 연장되었다.[14] 3번과 168번의 신설 의도가 58-2번의 승객 혼잡도를 분산시키려는 의도에서였다.결국 출퇴근 시간대에는 모두 터져나간다.[15] 하지만 먼저 간 차들 때문에 배차 간격이 크게 벌어지거나 6시 5분쯤에 퇴근을 하려는 사람들과 아트몰링에서 쇼핑을 마치고 집으로 (명지로) 돌아가려는 승객들이 쌓이면 그동안 쌓인 사람들을 모두 한 차가 감당해야 하기 때문에 문 계단까지 사람들이 들어차서 입석 승객들은 잡을 손잡이나 기둥마저 없어 사람들에게 지탱하여 타기도 한다. 실제로 문 한짝에 수많은 사람들이 타려고 전쟁을 하는 모습을 보면 진풍경이다. 다음 차량을 타는 것이 현명하다.[16] 녹산행 노선 대부분이 배차간격 30분을 초과하고 있다. 그나마 나은 게 30분 간격의 58-1번, 40분 간격의 강서9-1번과 배차간격이 30분 이내인 124번이다. 여기서 2000번은 애초에 거제행을 위한 노선이며 환승도 안 되기 때문에 논외.[17] 다만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노포행 막차와 연계는 불가능하지만 낙동초등학교 정류장에서 1000번 심야노선, 1001번 주간노선 막차와 바로 연계된다.[18] 현재는 보조행선판을 사실상 미사용중이다.[19] 당시 부산의 천연가스버스 투입 비율은 절반도 채 되지 않았다.[20] 부산시 측에서 디자인 가이드라인에 어긋난다는 이유로 사명 표기 제거를 권고했다고 한다. 이를 안 버스 동호인들은 이런데까지 간섭하냐며 부산시를 많이 비난했다. 아이러니하게도 2020년 이후 대도운수시민여객이 사명 폰트를 붙이고 운행을 하는데 정작 이들은 별 말이 없다.[21] 이와 비슷한 경우로 부산-거제 시내직행좌석버스가 있다.[22] 55번, 520번창원시의 허가를 받지 않아서 부산 강서구 송정공원 쪽을 정식 기점으로 하고 있었다.[23] 강서차고지 개편 전 노선이니 참고해야 한다.[24] 강서차고지 개편 전 노선이니 참고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