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6 18:20:29

초량역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경부선에 있었던 동명의 폐역에 대한 내용은 초량역(경부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초량역
파일:Busan1.svg
역명 표기
1호선 초량
Choryang
草梁 / [ruby(草梁, ruby=チョリャン)]
주소
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 지하264 (초량동)
관리역 및 운영사업소
부산관리역 소속 / 제1운영사업소
운영 기관
1호선 부산교통공사
개업일
1호선 1987년 5월 15일
역사 구조
지하 2층(심도: 11.94m)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불가)

1. 개요2. 역 정보
2.1. 명칭 유래
3. 역 주변 정보
3.1. 출구 정보
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연계 교통
6.1. 고관로 가로변 정류장6.2. 중앙대로 BRT 정류장
7. 여담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부산 도시철도 1호선 114번. 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 지하264 (초량동) 소재.

초량교차로에서 북쪽으로 약간 비껴난 곳에 있다. 안내방송에서 나오는 주변 명소는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1] 원래는 중앙역의 부역명이였다. 2015년 2월에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어 가동되고 있다.

열차가 도착하면 직후에 승강장 스피커에서 다음의 안내방송이 송출된다.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로 가시는 분은 6번 출구로 나가시기 바랍니다.

2. 역 정보

파일:초량역.jpg
대합실

2.1. 명칭 유래

역이 위치한 초량동에서 따온 역명이다.

그런데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많은 역들이 처음부터 'xx동역'이었다가 ''이 빠져 현재의 역명이 된 것과 달리, 이 역은 원래 역명이 초량역이었다.[2] 그런데 1999년 2호선 1단계 개통 당시 초량역 안내방송을 그만 초량동역으로 잘못 취입하였다. 이걸 재녹음하지 않고 역명판의 '초량' 뒤에 '동'자 하나를 더 끼워넣었고 그것이 지금까지 굳어진 것. 어찌보면 11년만에 원래 역명으로 환원된 셈이다.

3. 역 주변 정보

이 역 근처에 일본 총영사관이 있어서 반일 시위가 (서울의 주한일본대사관 앞보다는 덜하지만) 자주 열린다.[3] 서울의 외국 대사관들 앞처럼 의경이 상주하며 경비를 서고 있다. 부산 평화의 소녀상이 이곳 앞인 5번 출구와 7번 출구 사이에 있다. 강제징용 노동자상도 역 근처에 있다.

보통 선박갤러리에서 새한선관 이라는 해운회사를 "초량역 5번출구"라고 부른다.

역 인근으로 대형병원인 침례병원, 성분도병원이 존재했었다. 침례병원은 역 앞에 있었으나 남산역 근처로 이전하였고 현재는 부도로 병원이 없어졌다. 성분도병원은 노후화로 인해 용호동으로 이전하여 성모병원으로 운영되고 있다.

초량동 돼지갈비골목, 불백거리, 초량천, 정발장군 동상, 부산중학교, 부산고등학교, 경남여자중학교, 초량119안전센터, 중앙도서관 수정분관, 부산보훈복지회관 등이 인접해 있다.

3.1. 출구 정보

파일:Busan1.svg 초량역 출구 정보
1부산지방국토관리청
2부산역 방면
조선일보사
건설근로자공제회 부산지사
3초량3동행정복지센터
부산고등학교
4초량119안전센터
부산과학체험관
5정발장군 동상
일본국총영사관
부산고등학교
6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
초량119안전센터
부산과학체험관
7일본국총영사관
8초량3동
9경남여자중학교
(재)씨젠의료재단
블랙웍
10근로복지공단 부산지역본부
부산과학체험관
12한국부동산원 부산동부지사
부산여자기독교청년회
호텔포레더스파

4. 일평균 이용객

초량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06a00><bgcolor=#f06a00> 연도 || 파일:Busan1.svg ||<bgcolor=#f06a00>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2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002년 17,469명 비고
2003년 16,368명
2004년 15,021명
2005년 13,788명
2006년 12,500명
2007년 11,198명
2008년 11,912명
2009년 11,819명 }}}}}}}}}
2010년 11,858명
2011년 12,345명
2012년 11,798명
2013년 11,781명
2014년 12,125명
2015년 12,275명
2016년 12,322명
2017년 12,256명
2018년 12,087명
2019년 12,568명
2020년 9,675명
2021년 10,253명
2022년 11,000명
2023년 11,818명
2024년 12,291명
출처
부산교통공사 자료실

부산 1호선 노포역 ~ 동대신역 구간 안에서 좌천역 다음으로 수요가 적은 역이다. 2023년 기준 일평균 11,818명이 이용하는 역으로서, 도심지에 근접한 역 치고는 다소 저조한 수요를 보인다. 역 주변은 몇몇 기업과 관공서가 자리를 잡고 있는 데다, 부산고등학교부산컴퓨터과학고등학교가 있어 출퇴근 + 통학 수요가 일부 있지만 절대적인 숫자가 많지는 않다. 그 이유는 인창요양병원 앞 7번~12번 출입구 일대는 출퇴근 시간대를 제외하고는 이 곳을 지나다니는 유동인구가 없으며 부산고등학교일대 학생들과 동네주민들은 여전히 시내버스를 선호하고 있다보니 굳이 걸어서 도시철도를 이용하지 않고 있다. 게다가 주변의 주거지는 아직까지 낡은 주거지가 넓게 펼쳐져 있다. 이 중 몇몇 구역을 비롯한 노후 주거지들을 오피스텔 및 아파트 단지로 재개발하고 있다는 점이 희망적인 부분이지만 여전히 이 지역은 시내버스 이용률이 매우 높은 편이다.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이 2015년 역 인근으로 이전하였지만, 큰 승하차량 증가폭은 없는 편이다.

5. 승강장

파일:20241222 114 초량역 승강장.jpg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승강장
파일:20241222 114 초량역 역명판.jpg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역명판
파일:1141.gif
역 안내도
부산역
부산진
파일:Busan1.svg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역·남포·하단·다대포해수욕장 방면
서면·연산·동래·노포 방면

1~4번 출구가 위치한 부분은 맞이방과 떨어져있는 곳이라 지하 연결통로를 한참 걸어가야 출구가 나온다. 부산역 방면 고관로를 경유하는 버스들은 초량역 3번 출구 정류장에 정차한다. 도시철도로 환승할 목적이라면 이 역보다 부산역이나 중앙역을 이용하는 편이 낫다. 따라서 시내버스 ↔ 도시철도 환승 수요는 미약한 편이다.

역 구내에 5퍼밀의 구배가 있다.

6. 연계 교통

초량역 인근 BRT정류장 이용시 주의사항이 있다. 정류장 명칭과 다르게 초량역은 초량교차로.초량역 정류장(약 200m~280m)보다 경남여중입구 정류장(약 150m)이 더 가까워 경남여중입구 정류장을 이용하는게 훨씬 편하다.

6.1. 고관로 가로변 정류장

6.2. 중앙대로 BRT 정류장

7. 여담

파일:20210518_134934.jpg
초량역 역명판
역명판 위를 자세히 보면 구 역명판이 약간 보인다.

8. 둘러보기

파일:Busan1.svg 부산 도시철도 1호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1] 초량역 6번 출구로 나온 뒤 지하도를 건넌 다음 큰 길(충장대로)을 건너거나, 지하도 앞에서 하버트란스 셔틀버스로 환승하면 된다. 터미널 입구까지 도보로는 15분, 버스로는 신호대기 포함 5분. 현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여객선이 영업을 중단하여 하버트란스 역시 운휴에 들어갔다.[2] 그러나 이것도 뭔가 이상한 게 1991년 당시 영상에서 부산역 노선도에서는 초량동역으로 표기된다. 차내나 역 내에서는 초량역으로 표기되는 등 표기가 엇갈리는 점이 보인다.아무래도 익숙함을 위해 일부 혼용이 있었던 듯.[3]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영사관 바로 근처에 정발 장군 동상이 있다.[심야] 심야포함[심야] [심야] [심야] [심야] [심야] [심야] [심야] [심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