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23 20:53:25

동매역

동매역
파일:Busan1.svg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 Dongmae
한자 東매[A]
간체자 东嵋
가나 トンメ
주소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산로 지하168 (신평동)
관리역 및 운영사업소
장림관리역 소속 / 제1운영사업소
운영 기관
1호선 부산교통공사
개업일
1호선 2017년 4월 20일
역사 구조
지하 2층(심도: 16.7m)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불가)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요금7. 연계 교통
7.1. 장평로 가변 정류장7.2. 신산로 가변 정류장7.3. 마을버스
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현대건설이 턴키입찰을 받아 이 역을 건설했다. 1, 6번 출구는 계단을 설치할 공간이 없어 각각 엘리베이터 2, 3대가 설치되었다.
파일:ShizukuS_동매역_1번출구.jpg
1번 출구
파일:ShizukuS_동매역_6번출구.jpg
6번 출구
(촬영일시: 2017/03/30 20시)

부산 도시철도 1호선 100번.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산로 지하168 (신평동) 소재.

역명은 역과 인접한 () 동매산[A]에서 따왔다. 근처에 배고개[3]가 있는데 배고개다대동, 장림동, 신평1동 등에서 괴정, 자갈치&남포동 등으로 나가는 지름길과 같은 곳이다.[4]

역명에 관해서 사실 '신평'이라고 하면 지금의 신평역 인근보다는 더 옛날에 개발된 이 역 인근 신평1동 쪽을 주로 말하는 것이다. 현지 주민들은 이 역 근처를 신평 또는 구(舊)신평, 신평시장, 신평놀이터, 신평배고개 등으로 부르고 신평역 쪽은 '새신평\'이라고 부른다. 만약 신평역과 이 역이 같은 시기에 개통했다면 십중팔구 둘 중 이 역이 신평역이 되었을 것이다. 현지 사정에 맞추자면 원래 신평역을 다른 이름으로 바꾸고 이 역을 신평역으로 해야 맞겠으나[5] 이미 20년 넘게 존재한 역 이름을 바꾸면 역명 교체 시 비용이 많이 들 뿐더러[6] 혼란을 초래할 수 있어 고려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동래역과 발음이 비슷하다.

2. 역 정보

파일:동매역_만남의_광장_ShizukuS.jpg
파일:동매역_게이트_ShizukuS.jpg
대합실

이 역에서 신평역 방면, 장림역 방면 모두 90도에 가까운 드리프트가 있어서(각각 R=198, R=200) 타고 지나가다 보면 소리가 굉장히 시끄럽다.

3. 역 주변 정보

역 주변은 신평장림산업단지 북쪽에 해당하며 출구 바로 앞은 널찍널찍한 공단지역이라 휑하다 보니 신평시장, 신평배고개 등 시가지는 북동쪽으로 좀 올라가야 나온다. 신평배고개 바로 옆쪽은 아니지만 가장 가까이 있는 역이다 보니 연선 주민들이 수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2번 출구로 나와서 약 200m정도 직진하면 신평시장이 나오므로 그렇게 먼 거리는 아니다.

따라서 처음 역 위치를 선정할 당시 지금 위치로부터 동쪽으로 더 가서 신평시장 인근에 역을 만드는 것이 어떻느냐는 의견이 많이 나왔는데 장림역 방면으로 가는 도중 급커브 구간이 있어 역 간 거리를 유지해야 하는 점 때문에 지금의 사하소방서가 있는 위치에 지어졌다고 한다.

4. 일평균 이용객

동매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06a00><bgcolor=#f06a00> 연도 || 파일:Busan1.svg ||<bgcolor=#f06a00> 비고 ||
2017년 6,394명 [7]
2018년 7,012명
2019년 7,516명
2020년 6,276명
2021년 6,578명
2022년 7,559명
2023년 7,823명
출처
부산교통공사 자료실

2020년 기준 일평균 이용객은 6,276명이다.
코로나로 인한 거리두기 등의 제한이 풀린 2023년부터는 다시 이용객이 7800명이 넘으며 최대치를 기록했다.

역이 위치한 곳이 신평장림 산업단지에 둘러 싸여 있으며 주거 지역은 저밀도라 수요가 나올 만한 곳이 없는 수준이다.

5. 승강장

파일:KakaoTalk_20240323_010020363_01.jpg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승강장
파일:KakaoTalk_20240323_010020363.jpg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역명판
파일:동매역 안내도.jpg
역 안내도
장림
신평
파일:Busan1.svg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장림·낫개·다대포항·다대포해수욕장 방면
부산역·서면·동래·노포 방면

6. 요금

1구간 요금으로 갈 수 있는 범위
1 다대포해수욕장 동 매 토 성

7. 연계 교통

7.1. 장평로 가변 정류장

7.2. 신산로 가변 정류장

7.3. 마을버스

8. 둘러보기

파일:Busan1.svg 부산 도시철도 1호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A] '매'는 '메', '뫼'와 같이 '산'을 뜻하는 순우리말이다. 따라서 한자로 표기할 때에는 東매로 해야 한다.[A] [3] 동매역의 공사 역명은 배고개였다.[4] 교통지옥 하단교차로를 지나지 않고 바로 사하역 인근으로 우회하기 때문이다. 이 곳을 지나는 대표적인 노선들는 3번, 103번, 113번, 138번, 1000번이 있다.[5] 비슷하게 처리한 사례로 대구 도시철도서문시장역이 있다. 원래 신남역이 서문시장역이었는데 3호선이 개통하기 전에는 실제로 서문시장에서 가장 가까운 역이기도 했다. 그러다 3호선이 개통하면서 실제 서문시장에 거리가 좀 더 가까운 역이 새로 생겨서 그 역에 서문시장역 이름을 주고 원래 있던 역이 이름을 바꿨다.[6] 비용 문제로 인해 실제로 다대구간 역들의 역번호가 100번 이하 번호들로 내려가 있다.[7] 2017년 자료는 개통일인 4월 20일부터 12월 31일까지 256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8] 정확히는 '사하소방서 사하우체국' 정류장(양방향 모두)에서 승하차해야 한다. 장림 동원로얄듀크 주민들이 많이 이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