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8 15:23:50

다대포해수욕장역


파일:나무위키+유도.png  
다대포역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인근의 비슷한 이름의 역에 대한 내용은 다대포항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다대포해수욕장(몰운대)
파일:Busan1.svg
시종착
역명 표기
1호선 다대포해수욕장 (몰운대)
Dadaepo Beach
多大浦海水浴場(没雲台) / 多大浦海水浴场 / [ruby(多大浦海水浴場, ruby=タデポヘスヨクチャン)]
주소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로 지하692 (다대동)
관리역 및 운영사업소
다대포해수욕장관리역 / 제1운영사업소
운영 기관
1호선 부산교통공사
개업일
1호선 2017년 4월 20일
역사 구조
지하 2층(심도: 16.2m)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연계 교통7. 기타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attachment/다대포역/Dadaepo.jpg 파일:1호선 다대포해수욕장 역 내부.jpg
<rowcolor=#fff> 역 조감도[1] 승강장 선로 내부 모습
부산 도시철도 1호선 095번,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로 지하692 (다대동) 소재.

부산 내에서도 교통과 접근성이 제일 불편한 곳이었는데 신평~다대포해수욕장 연장구간이 완전 개통되며 많이 개선되었다. 1985년 첫 개통 때부터 다대포 연장까지 1호선이 계속 조금씩 연장되면서 종점은 계속 바뀌었는데, 이 역은 바다가 바로 코 앞이기 때문에 앞으로 연장이 될 가능성은 사실상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2]

2016년 1월 11일에 정식 역명이 현재의 "다대포해수욕장역"으로 확정되었는데 풀명칭으로 부르는 경우는 거의 없고, 인근 주민을 포함한 대다수가 다대포역이라 줄여 부르는 편이다. 사실 부산 내에는 광안역, 해운대역, 송정역, 일광역처럼 해수욕장 인근의 역들은 해수욕장을 뺀 역명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더욱 더 튀는 측면이 있다. 차라리 병기역명인 몰운대하고 서로 바꾸는 것이 나을 것 같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종착 열차 도착 직후 승강장 스피커에서 다음의 안내방송이 송출된다.
다대포해수욕장, 낙조분수, 몰운대 방면으로 가시는 분은 4번 출구로 나가시기 바랍니다.

2. 역 정보

파일:다대포해수욕장역 1호선.jpg
대합실
대우건설이 대안입찰을 받아 이 역을 건설하였다.[3]

파일:external/news.hankyung.com/AA.10803087.1.jpg
당시 공사가 완료되지 않았지만 다대포해수욕장역의 복합역사 공사계획이 수립되었다. 복합역사화되는 다른 역은 같은 노선의 부산대역이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승강장의 행선방송과 열차내부 종착 안내방송이 다르다. 승강장의 행선 안내방송은 영어를 제외한 나머지 2개 외국어를 한국식 독음으로 읽어주는데, 정작 열차 내부의 종착 안내방송은 중국 일본의 각자국가의 독음으로 읽어준다. 특이한 것은 홈페이지에 올라와 있는 안내방송에는 또 일본어를 한국식 독음으로 읽어주고 있다.뭔짓이냐 2019년 현재 안내방송이 개정되어 중국어는 중국어 독음으로 읽고, 일본어는 역명은 한국어독음, 안내방송은 일본어 독음으로 방송하고 있다. 승강장 행선방송 역시 2019년 연말에 개정되어 중국어는 중국어 독음으로 읽고, 일본어는 일본어 독음으로 방송한다.

승강장은 지하 2층에 있으며 깊이는 바다 가까이 있는 역 치고는 그다지 깊지 않은 편이다.

부산교통공사의 상대식 승강장인 종착역 중 유일하게 대합실에서 반대편 승강장으로 건너갈 수 있고, 부산 뿐만 아니라 전국의 도시철도역 중 해수욕장과 가장 가까이 위치한 도시철도역이다. 한반도 도시철도역 중 최남단에 위치한 역이다.

23:11경 노포행 막차가 떠나고 난 이후 다대포행 열차는 계속 들어오는데 휴일 기준 23:05, 15, 25, 35, 46, 57, 00:12, 23, 34 / 평일 기준 23:17, 32, 47, 59, 00:12, 23, 34경에 다대포해수욕장역 도착 열차가 계속 들어오는데 모두 운행을 종료하고 신평차량사업소공차회송하는 열차다.[4] 1호선에는 다대포발 신평행 노선이 없기 때문이다. 이는 2호선 양산발 호포행 열차가 없는 것과 동일하다.

다대포행 막차와 막전차 2편성은 다대포해수욕장역에 그대로 주박한다. 막전차는 회차하여 노포행 승강장으로 들어와 주박하며 막차는 당역종착 승강장에 그대로 주박한다.

3. 역 주변 정보

역명처럼 역 바로 남단에 다대포해수욕장이 펼쳐지며 나름 명물인 '다대포 꿈의낙조분수'가 있다. 서쪽에는 동원여객 다대영업소와 동진여객 본사, 무지개공단[5], 동쪽에는 다대포생선회먹거리타운, 남쪽에는 과거에 이었으나 낙동강으로부터 퇴적되어 모래가 쌓이면서 육지와 붙어버린 몰운대가 있으며 북쪽에는 대우아파트, 성원아파트 등 아파트단지가 있다.

해운대역, 동백역[A], 금련산역[A], 광안역, 송정역, 일광역에 이어 부산의 해수욕장에 직접 연결되는 또 하나의 역이 되었다.

그래서 다른 종착역 안내방송과 다르게 부산교통공사 로고송이 아닌 갈매기 울음소리와 파도소리가 나온다.[8][9]사족이지만 같은 논리로 인천 도시철도 1호선계양역도 종착역이지만, 환승역이라는 이유로 주로 종착역에서 송출되는 국악풍 음악이 아닌, 인천교통공사 사가가 송출된다.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06a00><bgcolor=#f06a00> 연도 || 파일:Busan1.svg ||<bgcolor=#f06a00> 비고 ||
2017년 11,170명 [10]
2018년 9,012명
2019년 9,281명
2020년 7,332명
2021년 7,761명
2022년 8,717명
2023년 9,357명
출처
부산교통공사 자료실
2020년 기준 일평균 7,332명으로 1만명을 넘기지 못하고 있다. 반대편 종착역인 노포역과 크게 대조되는데 부산 1호선 전체에서 하위권에 머무르고 있다.[11] 역이 위치한 곳이 다대로 연선이지만 거의 상업지역만 있으며 정작 주거지역인 다대주공아파트 인근은 역사와는 멀리 떨어진 고지대에 위치해 있어서 역사를 나와서 한참을 걸어올라가야하기 때문에 다대주공을 직접 이어주는 시내버스인 부산 버스 2, 부산 버스 11과 마을버스인 부산 버스 사하15를 이용하는 추세다.[12] 사실 다대포해수욕장을 찾기 위한 외지인 및 관광객들이 본 역을 더 많이 이용하며 현지인들의 경우 역 인근에 있는 다대성원아파트와 대우아파트 주민들을 제외하면 이 역을 잘 이용하지 않는다. 때문에 종착역치고는 수요가 그렇게 많은 편은 아니다.[13] 굳이 몰운대나 해수욕장 방문 목적이 아니더라도 역 주변으로 상업지구가 형성되어있지만 바로 앞이 바다라 반쪽짜리 지구인데다 다대주공 연선 주민들을 위한 소규모의 상업지구라 외부에서 굳이 이 역까지 찾아와서 상권을 이용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14]

대규모 아파트단지인 다대롯데캐슬 부근의 경우 역과 거리가 매우 멀리 떨어져있어서(약 1.1km 정도 떨어져 있다), 도보로는 접근하기 매우 힘들며 부산 버스 96-1, 부산 버스 338과 마을버스인 부산 버스 사하3-1, 부산 버스 사하5 부산 버스 사하15 노선이 이어주는데 다섯 노선 모두 다대포해수욕장역을 직접적으로 이어주기는 하나 96-1번은 배차간격이 길고 사하3-1번과 사하5번은 반대편 무지개공단으로 향하는 선형 특성상 굴곡 구간이며[15] 그나마 이용을 많이 하는 338번의 경우 하단과 사상으로 빠르게 이어주기에 다대포해수욕장역에서 굳이 환승하지 않고 하단이나 서부터미널까지 계속 타고가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다. 또한 1호선 공사가 완료되어 다대로를 확장시키면서 출, 퇴근 시간대에도 더 이상 예전처럼 잘 안 막히는 구간이라 버스의 경쟁력이 충분하기 때문이다. 즉 현지 주민들의 수요보다는 외지인들의 수요가 더욱 많다고 할 수 있다.[16]

5. 승강장

파일:20241130 095다대포해수욕장 승강장.jpg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승강장
파일:20241130 095다대포해수욕장 역명판.jpg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역명판
파일:다대포해수욕장역 안내도.jpg
역 안내도
종착역
다대포항
파일:Busan1.svg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당역종착
신평·남포·서면·연산·동래·노포 방면

6. 연계 교통

7. 기타

파일:61c-10104.jpg
  • 북위 35도 2분 53초에 위치하는 대한민국 최남단 전철역이다.
  • 다대포해수욕장역 진입 직전 또는 출발 직후에는 서대신동 드리프트 못지 않은 드리프트가 존재해[17] 운행할 때 시속 45km/h로 운행한다. 때문에 이 구간은 버스를 타고 가는 것이 더 빠르다.
  • 매년 11월 말 부산을 대표하는 9개 어묵 업체가 참가하는 부산 어묵축제가 열린다.
  • 전 역인 다대포항역과 역간 거리가 충분히 있으나, 다대포해수욕장역의 종착 안내방송이 길어[18] 다대포항역에서 발차 직후에 안내방송이 나온다.
  • 전국 최초이자 유일하게 역명에 해수욕장이 붙은 지하철역이다. 또한 현재 부산 도시철도의 시종착역들 중 다른 역들은 모두 2글자인 가운데 유일하게 다대포해수욕장역이 7글자이다.
  • 최근 역 안에서부터 수영복을 입고 다니는 사람들이 많아져서 문제가 되고 있다.

8. 둘러보기

파일:Busan1.svg 부산 도시철도 1호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1] 하지만 지상역사는 건립되지 않았다.[2] 해저터널을 뚫어 가덕도 신공항 방면으로 연장하자는 주장이 있긴 하다. 그러나 부산 도시철도 5호선, 부산신항선과 역할이 겹쳐 가능성은 그렇게 높지 않다.[3] 역사내 준공표지판에 의하면 2010년 11월 7일 착공, 2017년 3월 17일에 완공됐다고 한다.[4] 때문에 차고지 입고 열차는 역에 도착하면 철도 사회복무요원이 승차하여 열차 내에 그대로 남아있는 승객이 있으면 모두 하차시킨다.[5] 다대포해수욕장을 지나 다대로를 따라 쭉 걸어가면 나온다.[A] 단, 이 역은 갈매기 울음소리, 파도소리가 나오지 않는다.[A] [8] 부산 1호선 종착역 안내방송으로 부산교통공사 로고송이 송출되는 역은 노포역, 막차 한정 신평역 뿐이다.[9] 부산 2호선의 광안역, 해운대역에서도 역 안내방송에서 갈매기 울음소리와 파도소리가 나온다.[10] 개통일인 4월 20일부터 12월 31일까지 256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11] 노포역의 경우 부산 최대의 버스터미널인 부산종합버스터미널이 역과 붙어 있어 이용객이 상당히 많다. 게다가 노포역은 부산종합버스터미널뿐인것과 달리 이 역 주변엔 아파트 단지가 꽤 많이 있다.[12] 특히 시내버스인 2번과 11번은 선형 특성상 다대포해수욕장역을 경유하지 못하며 마을버스인 사하15번만 이어주는데 그냥 편하게 괴정까지 가려는 사람들이 많다.[13] 부산도시철도의 종착역들중 타 노선으로 이용객이 모두 집계되는 3호선 수영역과 4호선 미남역을 제외한 나머지 종착역인 1호선 노포역, 2호선 장산역, 양산역, 3호선 대저역은 이용객이 많다. 그리고 수영역, 미남역도 환승객과 이용객수가 많은편이다. 다만 4호선 안평역은 이 역보다 이용객이 적지만 역 위치, 상황만 보면 적은편이 아니며 환승객 또한 꽤 있어서 어느정도 역할은 하고있다.[14] 대부분 하단이나 장림시장으로 가며 그나마 가까이 위치한 두송지구로 가는 경우가 많다.[15] 롯데캐슬 부근의 경우 그냥 얻어걸리면 타고 역까지 내려가는 수요가 전부이다.[16] 외지인들이 방문하는 부산역에서 단번에 이어주기 때문이다.[17] R=200[18] 사실 개통 초기에 비해 이것도 줄여서 방송하는 것으로, 당시에는 역명, 출입문, 하차 안내, 분실물, 감사인사를 4개 국어로 방송했다. 그리고 일본어 방송이 끝나기도 전에 역에 멈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