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15deg, #623E91 56.2px, transparent 33.5px), linear-gradient(315deg, #00A366 67.6px, transparent 45px), linear-gradient(315deg, #E8306D 77.6px, transparent 55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00;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안숙현 | 박수정 | 한민정 | 박경수 |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
강은미 | 조선기 | 박대용 | (공석) |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
신현자 | 윤민섭 | 이병주 | 이지훈 |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
오현숙 | 박명기 | 진태영 | 배기수 | |
제주 | ||||
강순아 | ||||
◀ 중앙당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15deg, #623E91 56.2px, transparent 33.5px), linear-gradient(315deg, #00A366 67.6px, transparent 45px), linear-gradient(315deg, #E8306D 77.6px, transparent 55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00;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도당위원장 | |||
신현자 | ||||
수원 | 성남 | 의정부 | 안양 | |
강석희 | 김성선 | 최승환 | 최정웅 | |
부천 | 광명 | 안산 | 의왕·과천 | |
신현자 | 고석근 | 이재용 | 김태진 | |
오산 | 시흥 | 군포 | 파주 | |
한도희 | 이승건 | 차준우 | 김찬우 | |
용인 | 광주 | |||
조귀제 | 김영미 | |||
<colbgcolor=#FFED00><colcolor=#000> 정의당 경기도당 위원장 신현자 申鉉子 | Shin Hyun-ja | |||
<nopad> | |||
출생 | 1971년 6월 19일 ([age(1971-06-19)]세) | ||
현직 | 정의당 경기도당 위원장 정의당 부천시 지역위원회 위원장 | ||
링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ed00><colcolor=#000> 학력 | 중앙여자고등학교 (졸업) 경희대학교 (영문학/학사) | |
소속 정당 | [[정의당| | ||
주요 경력 | 참여와개혁실천 부천시민사회단체협의회 대표간사 부천새시대여성회 회장 부천송일초등학교 운영위원장 부천민중연대 집행위원장 세월호 참사 부천대책위원회 집행위원장 부천송일초등학교 학부모회장 평화와 자치를 열어가는 부천연대 정책위원장 제19대 대통령선거 정의당 심상정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부천공동선대본부장 정의당 경기도당 부천시소사구위원회 위원장 정의당 청년일자리추진단 공동추진단장 정의당 민생본부 부본부장 정의당 심상정 당대표 노동특보 | }}}}}}}}} |
1. 개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현재 정의당의 부천지역위원장이다.2. 생애
경희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했다. 기사대학생 시절부터 학생운동을 해왔고, 졸업 후 부천 갑을플라스틱 공장에 취직한 후 노동운동을 시작했다. 기사 기사
2013년 진보정의당 동시당직선거에서 부천시 소사구 지역위원장으로 출마해 당선되었다. #
2015년 정의당 동시당직선거에서 부천 소사 지역위원장과 전국위원으로 출마해 당선되었다. # # 부천소사지역위원장 출마의 변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부천시 소사구 지역구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2017년 정의당 동시당직선거에서 부천 소사 지역위원장과 전국위원으로 출마해 당선되었다. # # 전국위원 출마의 변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경기도 부천시의회 바선거구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시의원 후보 출마의 변
2019년 정의당 동시당직선거에서 부천 소사 지역위원장과 전국위원으로 출마해 당선되었다. # #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부천시 병 지역구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2024년 제22대 총선에서는 녹색정의당 비례대표에 도전했다. 김윤기, 권영국, 이보라미와의 경선을 치렀고, 금속노조과 함께서울의 지지를 받았으나 경선에서 1위를 하지 못해 비례 명부 앞순위에 오르지 못했다.
2025년 전국당원포럼 <또다른플랜>의 공동제안자 중 제일 앞머리에 섰다. 공동제안자는 안숙현, 김옥임, 김종민이다.
3. 선거 이력
<rowcolor=#373a3c>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경기 부천 소사 | [[정의당| | 2,545 (2.38%) | 낙선 (4위) | |
2018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경기 부천 바[1] | 3,331 (8.34%) | 낙선 (5위) | ||
2020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경기 부천 병 | 7,763 (6.05%) | 낙선 (3위) | ||
2024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비례대표 | | 609,313 (2.14%) | 낙선 (9번) |
[1] 심곡본동, 심곡본1동, 송내1동, 송내2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