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4 19:24:07

아낙사/여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아낙사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붕괴 스타레일 로고.png
[[붕괴: 스타레일/등장인물|
캐릭터별 여담
]]
{{{#!wiki style="margin: 0 -0px -10px"
{{{#!wiki style="margin: 0px; min-width: 100px; display:inline-block"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color=#ffffff,#e0e0e0>
## 구분선
[[개척자(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파멸척자 남.png

카일루스
파일:호요랩_파멸척자 여.png

스텔레
]][[히메코(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히메코.png

히메코
]][[웰트(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웰트.png

웰트
]][[Mar. 7th/여담|
파일:호요랩_Mar. 7th.png

Mar. 7th
]][[단항/여담|
파일:호요랩_단항.png

단항
]]
## 구분선
[[은랑/여담|
파일:호요랩_은랑.png

은랑
]][[블레이드(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블레이드.png

블레이드
]][[카프카(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카프카.png

카프카
]][[반디(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반디.png

반디
]]
## 구분선
[[아를란/여담|
파일:호요랩_아를란.png

아를란
]][[아스타(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아스타.png

아스타
]][[헤르타(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헤르타.png

헤르타
]][[완·매/여담|
파일:호요랩_완매.png

완·매
]][[더 헤르타/여담|
파일:호요랩_더 헤르타.png

더 헤르타
]]
## 구분선
[[브로냐(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브로냐.png

브로냐
]][[게파드(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게파드.png

게파드
]][[클라라(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클라라.png

클라라
]][[서벌(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서벌.png

서벌
]][[나타샤(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나타샤.png

나타샤
]][[페라/여담|
파일:호요랩_페라.png

페라
]][[삼포(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삼포.png

삼포
]][[후크(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후크.png

후크
]][[제레(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제레.png

제레
]][[루카(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루카.png

루카
]][[링스(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링스.png

링스
]]
## 구분선
[[연경(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연경.png

연경
]][[백로(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백로.png

백로
]][[청작/여담|
파일:호요랩_청작.png

청작
]][[정운(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정운.png

정운
]][[소상(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소상.png

소상
]][[경원(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경원.png

경원
]][[나찰(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나찰.png

나찰
]][[어공/여담|
파일:호요랩_어공.png

어공
]][[단항·음월/여담|
파일:호요랩_음월.png

단항·음월
]][[부현(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부현.png

부현
]][[경류/여담|
파일:호요랩_경류.png

경류
]][[계네빈/여담|
파일:호요랩_계네빈.png

계네빈
]][[곽향/여담|
파일:호요랩_곽향.png

곽향
]][[한아/여담|
파일:호요랩_한아.png

한아
]][[설의/여담|
파일:호요랩_설의.png

설의
]][[운리/여담|
파일:호요랩_운리.png

운리
]][[초구(붕괴: 스타레일)/여담|]][[비소(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비소.png

비소
]][[맥택/여담|
파일:호요랩_맥택.png

맥택
]][[영사(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영사.png

영사
]][[망귀인/여담|
파일:호요랩_망귀인.png

망귀인
]]
## 구분선
[[토파즈&복순이/여담|
파일:호요랩_토파즈.png

토파즈&복순이
]][[어벤츄린/여담|
파일:호요랩_어벤츄린.png

어벤츄린
]][[제이드(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제이드.png

제이드
]]
## 구분선
[[미샤(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미샤.png

미샤
]][[갤러거(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갤러거.png

갤러거
]][[로빈(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로빈.png

로빈
]]
## 구분선
[[아글라이아(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아글라이아.png

아글라이아
]][[트리비/여담|
파일:호요랩_트리비.png

트리비
]][[마이데이(붕괴: 스타레일)/여담|]][[카스토리스/여담|
파일:호요랩_빈 이미지.png

카스토리스
]][[아낙사/여담|
파일:호요랩_빈 이미지.png

아낙사
]]
파일:스타레일_은하.png | 은하
## 구분선
[[아젠티/여담|
파일:호요랩_아젠티.png

아젠티
]][[Dr. 레이시오/여담|
파일:호요랩_레이시오.png

Dr. 레이시오
]][[블랙 스완(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블랙 스완.png

블랙 스완
]][[스파클(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스파클.png

스파클
]][[아케론(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아케론.png

아케론
]][[부트힐/여담|
파일:호요랩_부트힐.png

부트힐
]][[라파(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 라파.png

라파
]][[선데이(붕괴: 스타레일)/여담|
파일:호요랩_선데이.png

선데이
]]
}}}}}}}}}}}}}}} ||
{{{#!wiki style="margin: 0px 5px; background-color: #3c4150;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5px; width:50px; text-align: center"

1. 개요2. 목록
2.1. 게임 내
2.1.1. 모티브 캐릭터 관련
2.2. 게임 외2.3. 성우 참여 공식 콘텐츠

1. 개요

아낙사에 대한 여담을 정리한 문서.

2. 목록

2.1. 게임 내

  • 깨달음의 나무 정원 일곱 현인 중 한 명이자 누스페르마타 학파의 창시자이다.
    • NPC의 언급에 따르면 '누스페르마타 학파의 현인' 이라고 한다. 불경하고 심신 건강에 나쁜 말을 하니 멀리하라는 말까지 덧붙였다.
    • 누스페르마타는 누스 + 페르마타의 합성어로 누스(νους, nous)는 이성, 지성, 정신, 영혼을 의미하는 그리스어#이고, 페르마타(Fermata)는 이탈리어어로 멈춤, 정지, 머뭄의 뜻을 지니고 있다.
  • 플레이어블 캐릭터로서의 이름은 아낙사로 되어 있지만 본인은 아낙사라고 불리는 걸 싫어하며 아낙사고라스라고 부르라고 강요한다. 또 말을 끊는 것을 싫어하며 조용한 분위기를 좋아한다.
  • 망토 때문에 잘 안 보이지만, 실제로는 긴 소매가 아닌 민소매를 입고 팔토시를 착용하고 있다.
  • 최초의 바람 속성 지식 운명의 길 캐릭터이다. 이로써 공허, 파멸, 화합, 수렵에 이어 지식 운명의 길도 7가지 속성에 캐릭터가 존재하는 5번째 운명의 길이 되었다.

2.1.1. 모티브 캐릭터 관련

  • 나무 밑에 앉은 포즈와 나뭇잎 등, 모티브는 붕괴3rd로 추정된다. 수가 붕괴3rd에서 케빈과 절친한 소꿉친구였기 때문에 이쪽도 파이논, 키레네와 소꿉친구라서 같은 곳 출신이 아닌가 하는 추측이 있다.
  • 같은 학자 캐릭터이자 마찬가지로 수가 모티브로 추정되는 원신알하이탐과도 유사성이 있다. 스탠딩 일러스트의 포즈가 유사하고, 신앙심이 낮은 편이며[1], 독설가 기질이 있다는 점이 그러하다. 마침 일본어 성우의 경우 알하이탐의 악우인 카베를 맡고 있기도 하다.
  • 황금의 서사시 PV에서 앉아있는 나무의 밑이 물가였으며, 모티브로 추정되는 가 양자의 바다 속 거품 세계를 관찰하는 일을 맡은 것, 양자의 바다와 깊은 관련이 있는 것을 통해 아낙사 또한 양자의 바다나 천외세계의 존재에 대해 알고 있을 거라는 추측도 존재한다.

2.2. 게임 외

파일:아낙사.jpg
  • 2.7 버전 방송 중 공개된 황금의 서사시 PV에서 등장했다.
  • 이름의 어원은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아낙사고라스. 아낙사고라스는 지식의 에이언즈 누스의 어원이 되는 철학적 개념 누스를 강조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 원신심연 관련 설정이 포함된 것으로 유력하게 추정되는 인물이기도 하다. 가슴의 별 문양은 켄리아의 검은 태양 문양과 동일하며[2], 한쪽 눈을 가린 형태는 피에로 같은 켄리아 귀족 혹은 마물로 변형된 존재들이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디자인이다.
  • 캐릭터 카드의 상단에 있는 고대 문자를 해석하면 The seeds you’ve sown are already sprouting(당신이 뿌린 씨앗은 이미 싹을 틔우고 있습니다.)
===# 유출 콘텐츠 #===
  • 커뮤니티에서 도는 찌라시로는 실어증 증상이 있다고 한다. 다만 사실이여도 NPC 언급대로라면 대사가 없다기 보단 적을 것으로 추정된다.

2.3. 성우 참여 공식 콘텐츠


[1] 대놓고 신을 모독한다는 악명이 있는 아낙사와 달리 알하이탐은 신은 존중하되 그저 인간보다 강한 생명체로 여긴다.[2] 문양의 밤하늘처럼 보이는 안쪽은 단순 옷의 소재로 보기 어렵고, 데인슬레이프페이몬 같은 원신의 진실과 관련된 인물의 망토 또한 해당 밤하늘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