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owcolor=#000,#FFFFFF> Q4 e-tron |
[clearfix]
1. 개요
독일 자동차 회사인 아우디의 중형 전기 SUV이다.별명은 유니콘이며 이유는 2021년 4월 25일 사전계약을 시작했으나 2022년 6월 23일 기준 출시일, 트림, 가격, 예약순번조차 알 수 없기 때문이다.
2. 역사
2.1. 1세대 (2021~현재)
<rowcolor=#000,#FFFFFF> Q4 e-트론 | |
<rowcolor=#000,#FFFFFF> Q4 e-트론 스포트백 |
2021년 4월 16일, 월드 프리미어 행사를 통해 처음으로 선보였다. Q8, Q8 e-트론처럼 일반적으로 전기차의 바탕이 되는 내연기관 모델(Q4)은 없고 전기차인 Q4 e-트론만 출시됐으며 폭스바겐 그룹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MEB 플랫폼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때문에 폭스바겐 ID.4, ID.5, 스코다 엔야크와 형제차이다.
55kWh 및 82kWh 배터리 등 총 2가지 배터리와 트림에 따라 3가지 구동 버전으로 구성된다. 35 e-트론에 탑재된 배터리의 용량은 55kWh이며, 40 e-트론과 50 e-트론 콰트로에 장착된 배터리의 용량은 82kWh이다.
35 e-트론과 40 e-트론의 경우, 전기 모터 1대가 후륜을 구동하며 각각 125kW(170PS)와 150kW(204PS)의 출력을 낸다. 40 e-트론은 한 번의 충전으로 WLTP 기준 최대 520km를 이동할 수 있으며, 10분의 충전으로 WLTP 기준 약 130km 주행이 가능하다.
최상위 트림인 50 e-트론 콰트로는 35, 40 트림과 달리 전기 모터 2대가 탑재돼 콰트로 시스템까지 지원한다. 최대 출력은 220kW(299PS)이며, 제로백은 6.2초, 최고 속도 180km/h이다.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전방 액슬의 모터는 높은 출력이나 강력한 그립이 필요할 때만 작동한다고 한다.
현재 Q4 e-트론은 폭스바겐의 ID.3, 세아트의 쿠프라 등과 함께 MEB 플랫폼에 맞춰 독일 츠비카우에서 생산되고 있다.
3. 논란
3.1. 드럼 브레이크 원가 절감 논란
경쟁 차량들은 전부 디스크 브레이크를 채용하고 있지만 Q4 e-트론의 후륜 브레이크에 드럼 브레이크를 적용해 지나친 원가절감이 아니냐는 논란이 있다. 모기업인 폭스바겐 그룹은 전기차는 회생제동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후륜에 가해지는 제동 부하가 크지 않으며 순간 제동력 자체는 드럼 브레이크가 더 강하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드럼 브레이크는 전기차를 위한 완벽한 솔루션"이라고 주장해 전문가들의 비판과 소비자들의 비야냥을 듣고 있다. 실제로 국내 수입되는 동급 전기차 중 드럼 브레이크를 적용한 사례는 형제차인 폭스바겐 ID.4와 함께 둘뿐이며 실제로 어느 점에서 디스크 브레이크보다 우수한 지 명확한 데이터나 연구결과가 전무하다. 일각에선 ID.4를 현대자동차그룹의 전기차보다 어떻게든 싸게 만들어 떨어지는 성능을 가리려는 꼼수라고 보기도 한다.
아우디 Q4 e-트론의 경우 트림에 따라 아이오닉 5나 EV6보다 비싸 더 큰 논란이 되고 있다. # 대중차 브랜드라 원가절감을 위해 드럼 브레이크를 넣었다는 변명이라도 가능한 ID.4와 달리 Q4 e-트론은 프리미엄 브랜드라 변명할 여지도 없다.
3.2. 기본 모델의 전기차 보조금 인증 실패 (해결)
Q4 e-트론의 기본 가격은 6천만원대로 원래라면 보조금을 50% 받을 수 있어야 하지만, 환경부 인증에서 전비와 저온/상온 주행가능거리 차이의 문제로 인해서 Q4 e-트론은 보조금을 아예 받지 못하게 되었다. 대신 기본 모델과 거의 유사하지만 후면의 디자인만 살짝 다른 Q4 e-트론 스포트백 모델은 인증을 통과해 보조금을 50% 받을 수 있다.이 문제로, 원래 Q4 e-트론 모델을 예약한 구매자들이 스포트백 모델로 대거 이동하는 일이 발생했다.
그러나, 2024년식으로 연식이 변경되면서 Q4 e-트론 모델도 보조금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3.3. 트렁크 전동 테일게이트 끼임방지 미동작 논란
형제차인 ID.4와 함께 전동 트렁크에 손끼임 방지장치가 전혀 작동하지 않는다. 위의 드럼 브레이크의 경우 '단순 원가절감이다.'라는 식의 찬반 논란이 있지만 이 경우는 명백한 안전문제이기 때문에 단순 원가절감으로 치부할 수 없는 상황.
센서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인지, 단순히 센서가 오류로 작동하지 않는 것인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4. 경쟁 차종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00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0000>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 차급 |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colbgcolor=#000000> 소형 | A1 | 50 | |
준중형 | A3 | - | |
중형 | A4 · A5 | 80 · 쿠페 · 콰트로(S2 · RS2 아반트) | |
준대형 | A6 · A6 e-트론예정 · A7 · e-트론 GT | 100 | |
대형 | A8 · A8 L 호르히[C] | V8 | |
그랜드 투어러 | - | 100 쿠페 S | |
스포츠카 | - | TT | |
슈퍼카 | - | R8 | |
소형 SUV | Q2 · Q2L · Q2L e-트론[C] | - | |
준중형 SUV | Q3 · Q4 e-트론 | - | |
중형 SUV | Q5 · Q5 e-트론[C] · Q6 e-트론 · Q6L e-트론[C] | - | |
준대형 SUV | Q6[C] · Q7 · Q8 · Q8 e-트론 | - | |
MPV | - | A2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fff,#0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000> |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0; min-width: 25%" {{{#!folding [ 폭스바겐 ] {{{#!wiki style="margin: 2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184F><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184F> | }}} | |||
차급 | 판매 차량 | 단종 차량 | ||||
소형차 | <colbgcolor=#fff,#000> - | <colbgcolor=#fff,#000> 비틀, 폴로 | ||||
준중형차 | 골프, 제타 | 시로코, 이오스 | ||||
중형차 | 아테온 | 파사트, CC | ||||
대형차 | - | 페이톤 | ||||
소형 SUV | - | 티록 | ||||
준중형 SUV | 티구안, ID.4, ID.5출시 예정 | - | ||||
준대형 SUV | 투아렉, 아틀라스출시 예정 | - |
- [ 아우디 ]
- ||<-3><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height=70><width=600> ||
차급 판매 차량 단종 차량 소형차 <colbgcolor=#fff,#000> - <colbgcolor=#fff,#000> A1 준중형차 A3, A4 - 중형차 A5 - 준대형차 A6, A7, e-트론 GT 100 대형차 A8 - 스포츠카 - TT 슈퍼카 - R8 소형 SUV Q2 - 준중형 SUV Q3, Q4 e-트론 - 중형 SUV Q5 - 준대형 SUV Q7, Q8, Q8 e-트론 -
- [ 벤틀리 ]
- [ 람보르기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