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을 확인하세요.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47a0><colcolor=#fff> 수도권 | <colbgcolor=#fff,#1c1d1f>서울세계불꽃축제 · 롯데월드타워 불꽃축제 · 영등포 여의도 봄꽃축제 · 서울거리예술축제 · 이태원 지구촌 축제 · 서울 빛초롱 축제 · 안산국제거리극축제 · 가평 자라섬 국제 재즈 페스티벌 · 서리풀 페스티벌 · 강남 페스티벌 · 의정부 부대찌개 축제 |
강원권 | 춘천마임축제 · 강릉단오제 · 화천산천어축제 · 평창송어축제 | |
충청권 | 대전빵축제 · 천안빵축제 · 대전국제와인EXPO · 대전0시축제 · 보령머드축제 · 지상군 페스티벌 · 천안흥타령춤축제 | |
경상권 | 진해 군항제 · 부산불꽃축제 · 영덕 대게 축제 · 대구 치맥 페스티벌 · 청도 소싸움 축제 · 포항거리예술축제 · 포항국제불빛축제 · 진주남강유등축제 · 부산국제영화제 · 구미라면 축제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 김천김밥축제ㆍ경남고성공룡세계엑스포ㆍ피란수도 부산야행 | |
전라권 | 남원춘향제 · 전주국제영화제 · 전주세계소리축제 · 추억의 충장축제 · 무주산골영화제 | |
제주권 | 제주들불축제 · 성산일출축제 | |
전체 목록은 이곳 참조. | }}}}}}}}} |
<colbgcolor=#005bab><colcolor=#fff>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Andong International Mask Dance Festival | |
| |
설립 | 1997년 (27주년) |
주최 |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재청, 경상북도, 안동시 |
주관 | 한국정신문화재단 |
장소 | 경상북도 안동시 운흥동 탈춤공원 일대 |
공식 홈페이지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공식 홈페이지] |
아카이브 시스템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아카이브] |
[clearfix]
1. 개요
경상북도 안동시에서 매년 9~10월경 개최되는 탈춤 축제이다. 8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하회마을 별신굿놀이를 현대적인 축제로 발전시켜, 전통문화 보존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이루고 있다.2024년 기준으로 누적 약 21,386,429명이 방문했으며###, 매년 수십만 명이 찾아오는 대한민국 대표 축제 중 하나이다.
1997년부터 매년 개최되며, 기본적으로 9월 마지막 주 금요일부터 10월 첫째 주 일요일까지 10일간 진행된다. 단, 10월이 5주 있는 해에는 둘째 주 일요일까지 연장될 수도 있다.
역대 행사 중 2009년 신종플루, 2020년과 2021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축제가 중단된 적이 있으며, 2022년에는 방역 지침 완화로 재개되었다.
2022년에는 탈춤공원 공사로 인해 구 안동역 부근에서 개최되었으며, 2023년부터 다시 본래의 탈춤공원에서 열리고 있다.
2. 축제 방문객 및 공연단 통계
2.1. 방문객 수
연도 | 방문객 수 |
1997년 | 85,000 |
1998년 | 105,000 |
1999년 | 506,000 |
2000년 | 607,000 |
2010년 | 1,123,000 |
2019년 | 1,021,000 |
2023년 | 880,000 |
2024년 | 1,480,000 |
총 누적 방문객 수 (2024년 기준) | 21,386,429명 |
2.2. 공연단 통계
총 공연팀: 1,057팀- 국내 참가 공연팀: 510팀
- 해외 공연팀: 89개국 319팀
주요 해외 공연팀- 해외 공연팀: 89개국 319팀
- 태국 방락 (Assumption College)
- 터키 야로바 바흐체세히르 학교
- 필리핀 바콜로드 마스카라
- 인도네시아 발리 전통무용단
- 터키 야로바 바흐체세히르 학교
- 필리핀 바콜로드 마스카라
- 인도네시아 발리 전통무용단
3. 축제의 의미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은 단순한 지역 축제가 아닌 전 세계 탈춤 문화의 교류 허브로 성장했다. 단순한 전통 춤의 재현을 넘어 탈춤을 통한 풍자, 해학, 공동체 정신을 현대적으로 계승하는 것이 핵심이다.1. 전통문화 계승과 현대적 재해석
- 800년 전통의 하회별신굿탈놀이를 축제 형식으로 변형하여 누구나 즐길 수 있도록 함
- 전통을 유지하면서도 현대적인 무대, 조명, 음악과 결합하여 새로운 형태의 공연 창출
- 전통을 유지하면서도 현대적인 무대, 조명, 음악과 결합하여 새로운 형태의 공연 창출
2. 세계 문화 교류의 장
- 해외 89개국 319개 공연팀이 참여하여 각국의 탈춤과 전통 공연을 교류하는 장이 됨
- 한국 탈춤을 세계에 알리는 동시에, 다른 나라의 전통 무용과 문화도 국내에 소개
- 한국 탈춤을 세계에 알리는 동시에, 다른 나라의 전통 무용과 문화도 국내에 소개
3. 지역 경제 활성화 및 관광산업 발전
- 축제 기간 동안 안동 지역 숙박업, 음식업, 관광업 매출이 급증
- 2024년 기준 1,480,000명의 관광객 유치, 지역 경제 파급 효과 상당
- 2024년 기준 1,480,000명의 관광객 유치, 지역 경제 파급 효과 상당
4. 문화적 아이덴티티 확립
- 안동이 전통문화의 중심 도시로 자리 잡는 계기 마련
- 탈춤을 단순한 민속 춤이 아닌,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문화 자산으로 승격
- 탈춤을 단순한 민속 춤이 아닌,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문화 자산으로 승격
5. 관광객과 시민이 함께하는 축제
- 단순한 공연 관람에서 벗어나 관객이 직접 참여하는 탈 퍼레이드, 탈 만들기 체험 진행
- 지역 주민들이 축제 운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축제의 공동체적 의미 강화
- 지역 주민들이 축제 운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축제의 공동체적 의미 강화
4. 관련 문서/외부 링크
* 탈춤* 하회별신굿탈놀이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공식 홈페이지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아카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