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18 10:11:16

탈춤

대한민국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종묘제례종묘제례악

판소리

강릉단오제

남사당놀이

처용무

영산재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

강강술래

가곡

매사냥1

대목장

한산모시짜기

택견

줄타기

아리랑, 한국의 서정민요

김장, 한국의 김치를 담그고 나누는 문화

농악

줄다리기2

제주해녀문화

씨름, 한국의 전통 레슬링3

연등회

한국의 탈춤
1 12개국과 공동등재, 2 베트남·캄보디아·필리핀과 공동등재, 3 북한과 공동등재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탈놀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표시는 시/도 지정 무형문화재
<rowcolor=#fff> 분류 탈춤명 지정번호 관련단체(보존회)
<colcolor=#fff><colbgcolor=#0047a0> 탈춤 봉산탈춤, 제17호 (사)봉산탈춤보존회
탈춤 은율탈춤, 제61호 은율탈춤보존회
탈춤 강령탈춤, 제34호 강령탈춤보존회/강령탈춤연구회
산대놀이 송파산대놀이, 제49호 (사)송파산대놀이 보존회
산대놀이 양주별산대놀이, 제2호 (사)양주별산대놀이보존회
산대놀이 +퇴계원산대놀이 퇴계원산대놀이보존회
오광대 가산오광대, 제73호 (사)가산오광대보존회
오광대 통영오광대, 제6호 통영오광대보존회
오광대 고성오광대, 제7호 (사)고성오광대보존회
오광대 +김해오광대 김해오광대보존회
오광대 +진주오광대 진주오광대보존회
야류 동래야류, 제18호 (사)동래야류보존회
야류 수영야류, 제43호 (사)수영야류보존회
사자놀음 북청사자놀음, 제15호 (사)북청사자놀음보존회
사자놀음 +속초사자놀이 속초사자놀이보존회
기타 강릉관노가면극, 13호 강릉단오제보존회/강릉관노가면극보존회
기타 하회별신굿탈놀이, 제69호 하회별신굿탈놀이보존회
기타 +예천청단놀음 예천청단놀음보존회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min-height: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탈춤 <colbgcolor=#FFF,#ffffff>탈춤 · 양주별산대놀이 · 봉산탈춤 · 하회별신굿탈놀이 · 송파산대놀이 · 사자놀음
· 하회탈 · 병산탈
미얄 · 말뚝이
틀:탈놀이 · 틀:탈놀이/유네스코 · 틀:탈놀이관련문서
분류 야류(분류), 탈춤(분류), 오광대(분류),
산대놀이(분류)
기타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 ||

파일:external/www.k-heritage.tv/top_0824_10.jpg
봉산탈춤 中, 이미지 출처
파일: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로고.svg 인류무형문화유산
한국의 탈춤
Talchum, mask dance drama in the Republic of Korea
Le talchum, danse théâtrale masquée en République de Corée
{{{#!wiki style="margin:0 -10px -5px; color: #1DA3B2"
{{{#!folding [ 세부 정보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colbgcolor=#1DA3B2><colcolor=#ffffff> 국가・위치 <colbgcolor=#fff,#1f2023><colcolor=#000,#FFF>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등재 연도 2022년
목록구분 대표목록
지정번호 1742 }}}}}}}}}


1. 개요2. 역사(유래)3. 특징4.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목록5. 가면극과의 관계6. 탈춤의 분류7. 여담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가면을 쓰고 춤추며 연기하는 전통적인 한국의 공연 예술. 조선시대에 성행했던 을 쓰고 하는 연극. 사회 모순이나 당시의 정치적, 사회적 문제(양반의 부조리 등)를 풍자적으로 비판하는 성격이 강하다.

대부분의 경우 12개의 탈(말뚝이탈, 양반탈 등) 중 필요한 탈을 선택해서 쓰고 연기했으며 과장이 바뀌면서 하나의 탈로 여러 개의 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으며 극중 상황에 직접 개입하는 악공이나 승려 역과 같은 특정 역은 탈을 쓰지 않기도 한다.

2. 역사(유래)

탈춤의 발전 양상은 조동일 교수의 논의를 비롯하여 학계에서도 아래와 같이 크게 세 가지의 흐름으로 설명하고 있다.

첫 번째 흐름은 농촌탈춤으로 농촌 자체에서 오랫동안 이어온 행사이다. 농촌탈춤은 향촌 사회의 동제나 농악대굿 등에서 마을신을 즐겁게 하여 역병을 몰아내고 마을의 안녕과 평화를 기원하기 위해 행해졌다. 대표적인 농촌탈춤은 고려시대부터 행해진 안동시 하회 별신굿 탈놀이다. 지배 계층에 대해 노골적이고 통렬한 풍자를 담고 있는 이 탈놀이는 향촌 양반의 묵인과 지원까지 받아가며 행해진 것이 주목할 만한데 백성들이 가진 양반에 대한 반감을 일정부분 해소시켜줌으로써 궁극적으로 향촌 사회의 안정을 꾀하기 위함이었다고 한다. 이 하회 별신굿 탈놀이는 1930년대 일제의 탄압으로 중단되었다가 1970년대 복원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두 번째 흐름은 떠돌이탈춤(본산대놀이)로 농촌탈춤에서 파생되었다. 조선 후기 경제의 발전으로 도시가 형성되면서 농촌에서 살 수 없어 떠돌이놀이패로 나선 가난한 유랑민 무리들과 궁중 산대희나 나례희와 같은 국중 대회에서 공연했던 놀이패들이 탈춤을 흥밋거리로 만들어 서울 근교의 여러 도시를 떠돌아다니며 상업적으로 행한 탈춤이다.

세 번째 흐름은 도시탈춤(별산대놀이)이다. 위에서 언급했듯 조선 후기 경제의 발전으로 도시가 형성되어 떠돌이놀이패들이 도시를 전전하며 탈놀이를 행했는데 도시의 유지와 상인들은 이들을 초청하여 사람들이 많이 모이게 하려고 했다. 하지만 떠돌이놀이패들이 약속을 어기는 일이 잦아지자 도시의 유지와 상인들은 자체적으로 놀이패들을 만들고 이들을 경제적으로 후원하게 되었는데 본산대놀이와 다르다고 하여 별산대놀이라고 칭하게 되었다. 도시에서는 농촌과 달리 양반에게 직접적으로 예속되지 않아 훨씬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발달하였기 때문에 양반을 풍자하는 데 거리낌이 없었으며 대사의 분량과 내용이 풍부해졌다. 대표적인 도시 탈춤은 봉산탈춤, 양주 별산대놀이, 송파 산대놀이, 동래야류, 통영오광대 등이 있다.

이러한 탈춤들은 일제강점기와 6.25 전쟁, 산업화 등을 거치면서 상당부분 사라졌지만, 그래도 일부 사람들이 꾸준히 유지하면서 버티고 있으며, 상당수 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 보호받고 있으면서 전승되고 있다.

3. 특징

탈춤의 등장인물로는 지역별로 다르지만 대체로 주동인물과 반동인물이 대립하는 이인 대립극이다. 양반으로 대표되는 반동인물은 나사가 하나 빠진듯한 비정상적 인물로 등장하는 반면 주동인물은 평범하지만 활발하고 기력이 왕성하다. 이러한 주동인물들이 자유분방한 말과 몸짓으로 반동인물을 공격하며 이 과정에서 반동인물은 스스로의 무식함을 드러내는데 여기에서 웃음을 유발하고 풍자의 효과가 극대화된다.

탈춤의 대사에는 말과 노래가 섞여있는데 양반 다수가 향유했던 판소리와는 달리 관용적인 한문투가 비교적 적으며 이는 평민 문화의 발랄함을 보여주고 있다. 양반을 풍자하는 과정에서 비속어와 재담, 언어유희, 음담패설 등을 거리낌없이 구사하기도 한다. 조선시대 음담패설이라서 당황할 수도 있는데, 탈춤 공연은 일반적으로 낮의 지신밟기에 가까운 행사와, 저녁의 춤판에 이어져서 야밤에 불피워놓고했다. 그래서 공연자와 관람자도 이걸 버틸 수 있는 체력을 갖춘 성인 남자들이 대부분이고, 이 판에 관심없는 양반들이 혹시라도 올 일도 없었다. 위에 양반들이 알면서도 모른척 할 수 있는 이유 가운데 하나가 바로 이 공연시간이다.

탈춤에 삽입되는 춤과 음악은 흥을 돋우고 인물 간의 갈등을 해소함과 동시에 새로운 갈등 국면으로 접어들게 하는 효과가 있다.

흔한 착각과 달리 탈춤은 그냥 농민 A가 했던 것이 아니라, 저 탈춤만 계속 했던 전문적인 공연자가 있다. 본산대 놀이가 아니라도, 해당 내용의 대사를 외우고, 동작을 외우고, 복장을 준비하는 등의 행위는 모내기 하면서 노동요 부르는 것과는 격이 다른 문제이다. 안동 하회 별신굿이나 봉산탈춤만 해도 성문화되었건 아니건 대본이 존재하고, 그 대본에는 양반 비판하기 위해서라도 한자표현이 적다 뿐이지 아주 없는 것도 아니고,[1] 막춤이 아니라 꽤 정해져 있는 형태의 춤을 춘다. 결국 이 내용을 모두 외우고 전수하는 다수의 사람이 필요한 것이다. 이 주체들은 꽤 많은 경우에는 향리이고, 가끔은 양반들중에서 한량들[2]이다. 이 사람들은 농민보다는 지배층이지만 그렇다고 진짜 주류 양반은 아니라서, 농민들의 불만도 풀어주고, 자기들 불평불만도 탈춤을 통해서 했다. 양반과장에서 등장하는 말뚝이만 해도, 일반적인 농민으로 보기 보다는 향리나 한량, 몰락 양반, 적어도 유력 부농으로 이해해야 납득 가능한 경우가 많다. 일부 탈춤에서는 말뚝이가 양반 여성들과 성관계를 맺었다고 하거나, 양반재산을 말뚝이가 물려 받거나, 심지어 양반들의 말을 수차례 무시하는 것은 당연하고 말뚝이고 양반들을 채찍으로 위협하기까지 하는데, 아무리 양반들의 권위가 급락했다고 해도 이걸 일반 농민으로 이해하기는 어렵다.

또한 탈춤은 서양극과 비교해서 그 특징을 설명하는 경우가 많은데 서양극이 특정한 무대 장치를 필요로 하며 관객석과 무대가 엄격히 구분되어 관객의 극중 개입이 불가능한 반면에 탈춤은 그렇지 않기 때문에 관객이 능동적으로 참여가 가능하다(공연자 뿐만 아니라 관객도 함께 참여하는 집단적인 놀이 문화의 형태). 관객과의 상호작용은 공연의 생동감을 더하고,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그렇다고 관객이 막 서사의 흐름을 차단할 정도로 개입하는 것은 아니고 관객과 등장인물 간의 다양한 대화와 추임새를 넣어주는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서양극은 극중 시공간과 공연 현장의 시공간이 구분되는데 탈춤에서는 그것이 구별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등장인물들도 탈춤 구경하러 여기에 왔다는 상황이 설정되기도 한다.

4.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목록

2022년 11월 30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으로 정식 등재 되었다.# 등재된 탈춤은 국가무형문화재와 시도무형문화재를 합쳐 총 18종목이다.

5. 가면극과의 관계

탈춤은 (가면)을 쓰고 공연하기 때문에 가면극의 일종이다. 가면익명성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 특징으로 가면극은 풍자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탈춤도 포함된다.

6. 탈춤의 분류

탈춤은 크게 탈춤,오광대,사자놀이,산대놀이,야류 등으로 분류가 된다. 그러니 정확히 말하자면 탈춤이 아니라 탈놀이로 불러야 더 정확하다고 할 수 있다.
  • 탈춤
    • 해서지방의 탈놀이를 탈춤이라 부르며 한삼과 의상이 화려한 것이 특징이다.
    • 봉산탈춤,강령탈춤,은율탈춤 등이 이에 속한다.

7. 여담

  • 그룹 활주로의 노래 탈춤이 이것을 소재로 한 작품. 가사는 다음과 같다.
작사 : 김종태 작곡 : 지덕엽
마당엔 모닥불 하늘엔 둥근 달 목소리 높이하여 허공에 외쳐라

소매자락 휘날리며 덩실덩실 춤을 추자
한삼자락 휘감으며 비틀비틀 춤을 추자
탈춤을 추자 탈춤을 추자

소매자락 휘날리며 덩실덩실 춤을 추자
한삼자락 휘감으며 비틀비틀 춤을 추자
탈춤을 추자 탈춤을 추자

너는 총각탈 나는 처녀탈 너는 신랑탈 나는 각시탈

소매자락 휘날리며 덩실덩실 춤을 추자
한삼자락 휘감으며 비틀비틀 춤을 추자
탈춤을 추자 탈춤을 추자 ||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0deg, #fff 5%, #000 5%, #000 10%, #fff 10%, #fff 12%, #000 12%, #000 17%, #fff 17%, #fff 19%, #000 19%, #000 24%, #fff 24%, #fff 76%, #cd313a 76%, #cd313a 87%, #0047a0 87%)" [[대한민국|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강강술래 · 거북놀이 · 격구 · 고누 · 고싸움 · 골패 · 공기놀이 · 관등놀이 · 군사놀이 · 그네 · 까막잡기
낙화놀이 · 남생이놀이 · 남승도 · 낫치기 · 널뛰기 · 놋다리밟기
다리밟기 · 단풍놀이 · 달집태우기 · 대문놀이 · 딱지치기 · 뚜럼놀이
ㅁ~ㅂ 문지기 · 바둑 · 방실놀이 · 뱃놀이 · 비석치기
사방치기 · 상여놀이 · 석전 · 설경놀이 · 성불도 · 소싸움 · 소먹이놀이 · 술래잡기 · 수건돌리기 · 숨바꼭질 · 승경도 · 씨름 · 쌍륙
얼음땡 · 여행도 · 연날리기 · 용마놀이 · 용호놀이 · 육박 · 윷놀이
자치기 · 장기 · 전쟁놀이 · 제기차기 · 조조잡기놀이 · 주령구 · 줄다리기 · 줄타기 · 쥐불놀이 · 진놀이
차전놀이 · 초중종놀이 · 축국 · 춘향이놀이 · 칠교놀이
ㅌ~ㅎ 탁족놀이 · 탈놀이 · 투전 · 투호 · 팽이치기 · 풍등놀이 · 활쏘기 · 화류놀이 · 화전놀이 }}}}}}}}}



[1] 물론 원본을 잘모르면서 다른 지역으로 탈춤이 전수되는 경우에는 듣도보도 못한 한자성어나 관직명이 튀어나오기도 한다. 예를 들어서 전래가 이어지고 이어져서 가장 막바지라고 할 수 있는 동래야류에 등장하는 정체불명의 단어는, 그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수영야류 대본과 비교하면 그 정체를 알 수 있는 경우가 많다.[2] 이 사람들이 담당하면 탈춤 출 때 입는 옷 때깔부터가 달라지고 춤에 격식이 생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