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471b><tablebgcolor=#00471b> | 밀워키 벅스 2025-26 시즌 선수단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000,#ddd | <colbgcolor=#00471b><colcolor=#fff> 감독 | 닥 리버스 | |
코치 | 빈 베이커 · 패트릭 무톰보 · DJ 바커 · 트레버 글렌슨 · 피트 도밍게스 · 조시 오펜하이머 · 데이비드 예거 · 시드니 도브너 · 렉스 칼라미언 | ||
가드 | 7 케빈 포터 Jr. · 11 게리 해리스 · 13 라이언 롤린스 · 15 자마리 부예TW · 19 마크 시어스TW · 20 AJ 그린 · 44 안드레 잭슨 Jr. · 50 콜 앤서니 | ||
가드-포워드 | 5 게리 트렌트 Jr. · 17 아미르 커피 | ||
포워드 | 0 카일 쿠즈마 · 12 타우린 프린스 · 21 타일러 스미스 · 24 크리스 리빙스턴 · 34 야니스 아데토쿤보 · 35 피트 낸스TW · 43 타나시스 아데토쿤보 | ||
포워드-센터 | 9 바비 포르티스 | ||
센터 | 00 제리코 심즈 · 3 마일스 터너 | ||
* TW : 투웨이 계약 | |||
다른 NBA 팀 선수단 보기 |
| |
<colbgcolor=#00471B> 밀워키 벅스 No. 44 | |
<colcolor=#fff> 안드레 잭슨 주니어 Andre Jackson Jr. | |
본명 | 안드레 테럴 잭슨 주니어 Andre Terrell Jackson Jr. |
출생 | 2001년 11월 13일 ([age(2001-11-13)]세) |
뉴욕주 암스테르담 | |
국적 |
|
학력 | 코네티컷 대학교 |
신장 | 198cm (6' 6") |
체중 | 95kg (209 lbs) |
포지션 | 슈팅 가드 |
드래프트 | 2023 NBA 드래프트 2라운드 36순위 올랜도 매직 지명 |
소속 구단 | 밀워키 벅스 (2023~) |
등번호 | 44번 - 밀워키 |
계약 | 2023-24 ~ 2026-27 / $7,639,302 |
연봉 | 2023-24 / $1,119,563 |
링크 |
1. 개요
미국 국적의 NBA 밀워키 벅스 소속 농구선수. 포지션은 가드, 포워드.2. 선수 경력
2.1. NBA 입성 이전
고등학교 시절 뉴욕 주 앨버니 아카데미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치며 RSCI Top 50 리크루트로 평가받았으며, 4학년 때 평균 20득점 이상을 기록하며 팀을 이끌었다. 고등학교에서의 활약을 바탕으로 졸업 후 코네티컷 대학교에 입학하여 2021년부터 2023까지 두 시즌 동안 대학 농구 무대에서 활약했다.코네티컷 대학교에서의 첫 시즌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경기 일정이 제한적이었지만, 벤치 멤버로 출전하며 에너지와 수비력을 발휘했다. 평균 6.8득점, 3.0리바운드, 2.7어시스트를 기록하며 팀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2021-22 시즌에는 주전으로 도약해 평균 6.8득점, 6.8리바운드, 3.1어시스트를 올리며 빅 이스트 컨퍼런스에서 팀의 성적 향상에 기여했다. 그의 긴 윙스팬과 운동능력을 활용한 리바운딩과 패스 능력이 특히 돋보였으며, 빅 이스트 올-아카데믹 팀에 선정될 정도로 학업에서도 두각을 나타냈다. 초기에는 윙 포지션에서 공격 조율을 주로 했으나, 대학 커리어 후반으로 갈수록 포인트 가드 역할을 맡아 팀의 공격을 이끌었다.
2022-23 시즌은 잭슨의 대학 커리어 정점으로, 코네티컷 대학교의 NCAA 토너먼트 우승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정규 시즌 평균 6.7득점, 4.7리바운드, 4.7어시스트를 기록하며 팀의 공격 조율자로 활약했고, 토너먼트 기간에는 평균 6.8어시스트를 올리며 오펜스 흐름을 주도했다. 특히 결승전을 포함한 주요 경기에서 클러치 수비와 정확한 패스로 팀을 이끌며 NBA 스카우트들의 주목을 받았다.
NCAA 토너먼트에서 잭슨은 빠른 스피드와 패스 감각을 활용해 트랜지션 공격을 주도했으며, 수비 리바운드를 확보한 뒤 슈터들에게 정확한 패스를 연결해 팀의 공격 효율성을 높였다. 특정 경기에서는 강렬한 에너지로 팀의 분위기를 끌어올렸으며, 상대의 거친 플레이에 맞서 강하게 대응하며 팀의 기세를 유지하는 역할을 했다.
코네티컷 대학교의 댄 헐리 감독은 잭슨을 22년 코칭 경력 중 처음으로 팀 주장을 맡긴 선수로 선임하며, 그를 '책임감을 진심으로 받아들이는 전통적인 리더'라고 극찬했다. 주장으로서 잭슨은 팀의 중심 역할을 맡아 연습 세션과 팀 모임을 주도하며 동료들 간 결속력을 다졌다. 동료 조던 호킨스는 그를 '승리를 위해 모든 것을 바치는 팀 플레이어'라고 평가했고, 도노반 클링언은 '내가 만난 가장 헌신적인 선수'라며 그의 리더십이 팀 우승에 필수적이었다고 밝혔다.
2.2. NBA 커리어
2.2.1. 밀워키 벅스
2023 NBA 드래프트에 참가해 2라운드 36순위로 올랜도 매직에 지명되었으나, 곧바로 밀워키 벅스로 트레이드되었다. 데뷔 시즌은 주로 벤치 멤버로 출전하며 적응기를 거쳤으며, 57경기에 출전해 평균 2.2득점, 2.0리바운드, 0.9어시스트를 기록했다. 2024년 1월 13일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와의 경기에서 첫 커리어 더블더블을 달성하며 인상적인 활약을 펼치기도 했다. 시즌 전반적으로 그의 수비력과 에너지가 돋보였으나, 대학 시절부터 약점으로 꼽히던 슈팅 정확도 개선이 과제로 지적되었다.2024-25 시즌 들어 잭슨은 한층 성숙한 모습을 보였다. 시즌 초반 벅스는 동부 컨퍼런스 하위권에 머물렀으나, 게리 트렌트 주니어가 수비 균형을 위한 로테이션 조정으로 선발에서 제외된 후 잭슨이 그 자리를 메우며 팀의 반등을 이끌었다. 잭슨의 선발 합류 후 벅스는 동부 컨퍼런스 중상위권으로 도약했으며, 그의 수비와 트랜지션 플레이가 팀의 리듬을 되찾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특히 2024-25 NBA 인시즌 토너먼트 결승전에서 오클라호마시티 썬더의 셰이 길저스알렉산더를 상대로 뛰어난 수비를 선보이며 그의 공격을 효과적으로 차단, 벅스의 우승에 기여했다. 이 경기에서 잭슨은 25분 38초 출전해 2득점, 3리바운드, 1어시스트를 기록하며 스탯상으로는 정말 미미한 활약을 한 듯 보이나, 수비에서 강렬한 존재감을 드러냈다. 상대팀 에이스인 SGA를 전담 마크하는 역할을 맡았으며, 잭슨이 직접 매치업된 약 6분 30초 동안 셰이는 1-6의 야투와 1턴오버를 기록하며 고전했다. 잭슨의 긴 윙스팬과 빠른 힙턴을 통한 방향 전환 능력이 그의 풀업 점퍼와 드라이브를 차단했으며, 풀코트 프레스를 통해 공격 리듬을 완전히 깨뜨렸다.
그러나 2025년 올스타 브레이크 이후, 벅스가 카일 쿠즈마와 케빈 포터 주니어를 영입하며 로스터를 정비하면서 갑작스럽게 로테이션에서 제외되었다. 올스타 브레이크 이후 3경기에서 단 4분 40초만 출전하였고, 특히 공격에서의 한계[1]로 인해 카일 쿠즈마와 게리 트렌트 주니어 같은 선수들에게 밀렸다. 감독 닥 리버스는 잭슨의 공격 생산성이 야니스와의 조합에서 부족하다고 평가하며, 그의 기용을 줄인 이유를 밝혔다.
3. 플레이 스타일
좋은 운동능력과 준수한 수비 BQ를 갖춘 스윙맨.
BQ가 상당히 좋다. 질 좋은 오프 볼 스크린을 서주기도 하고 루키답지 않은 화려한 어시스트를 선사하기도 한다. 데미안 릴라드의 합류로 앞선 수비가 불안해진 밀워키에서 다재다능한 즉전 수비요원으로 거듭나 꾸준히 출전 시간을 부여받는 중이다. 벌크업으로 몸을 완성하고 전술에 충분히 녹아든다면 훌륭한 수비형 스윙맨으로 성장할 가능성도 적지 않다.
단점은 아쉬운 공격력. 운동 능력이 좋아 받아먹기 덩크는 좋으나 유일한 무기라고 할 수 있는 3점 슛은 불안하며, 기타 주도적인 득점 능력은 없다고 봐야 한다. 3점 슈터가 활약하기 좋은 환경인 밀워키에서 평균 수준의 외곽슛 능력부터 빠르게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4. 여담
- 강렬한 경쟁심을 보이지만, 멘탈적으로 다소 불안정한 모습을 드러낼 때가 있다. 대학 시절 NCAA 토너먼트에서 상대의 거친 플레이에 맞서 강한 파울로 대응하며 팀의 기세를 지키려 했고, 상대 벤치에 트래시 토크를 던져 테크니컬 파울을 받은 적도 있다. NBA에서도 이러한 성향이 이어졌다. 2024년 12월 17일 오클라호마시티 썬더와의 경기에서 하텐슈타인과 신경전을 벌여 더블 테크니컬 파울을 받았으며, 2025년 1월 2일 브루클린 네츠전에서 클랙스턴을 가격해 퇴장당했다. 또한, 2025년 1월 27일 유타 재즈전에서 섹스턴과 충돌로 퇴장당하는 등, 경기 중 상대와의 다툼이 종종 목격된다. 이러한 사건들은 그의 강한 승부욕을 보여주지만, 감정 조절 능력을 키워야 한다는 평가로 이어진다.
- 2025년 NBA 올스타의 슬램덩크 콘테스트에 참가하여 기대에 못 미치는 퍼포먼스를 보여주어 큰 주목을 받았다. 첫 번째 덩크 시도에서 공중에서 공을 놓치는 실수를 범하고, 두 번째 시도에서도 낮은 난이도의 덩크로 낮은 점수를 받아 예선 탈락의 굴욕을 겪었다. 팬들은 그의 폭발적인 운동능력을 기대했으나, 준비 부족과 긴장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5. 둘러보기
안드레 잭슨 주니어 관련 틀 | ||||
{{{#!folding ▼ | 안드레 잭슨 주니어의 수상 이력 | |||
{{{#!folding ▼ | | |||
2024 |
}}} ||
[1] 평균 3.7득점, 3점슛 성공률 39.5%지만 시도 횟수 1.3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