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bordercolor=#321a88><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 안산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color=#fff> 직행좌석 | ||
좌석 | |||
일반 | |||
똑버스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urrentcolor" | |||
| |
60A번 | 60B번 |
1. 개요
써클라인에서 운행하는 안산 순환 노선.2.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중앙역2번출구)[유의] | 종점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중앙역2번출구) |
첫차[2] | 05:30 | 막차 | 22:50 |
평일배차 | 25~40분[3] | 주말배차 | 40~60분[4] |
운수사명 | 써클라인 | 인가대수 | 7대[5] |
노선 | (A노선 →) 중앙역 - 안산터미널 - 성포주공10단지 - 선경A - 월피한양/현대A - 성포중학교 - 시낭운동장 - 부곡고등학교 - 부곡초등학교 - 부곡중학교 - 이익선생묘 - 호동초교 - 일동우체국 - 상록수역 - 신안코아 - 감골운동장 - 상록구선거관리위원회 - 석호공원 - 한양대입구 - 보네르빌리지 - 고잔고 - 네오빌6차 - 중앙역 (← B노선) | ||
*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순환방향] |
2.1. 심야노선
| |||
| |||
기점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중앙역2번출구)[유의] | 종점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중앙역2번출구) |
첫차[8] | 00:10 | 막차 | 01:20 |
배차간격 | 70분(일 2회)[9] | ||
운수사명 | 써클라인 | 인가대수 | 각 1대 |
노선 | (A노선 →) 중앙역 - 안산터미널 - 성포주공10단지 - 선경A - 월피한양/현대A - 성포중학교 - 시낭운동장 - 부곡고등학교 - 부곡초등학교 - 부곡중학교 - 이익선생묘 - 호동초교 - 일동우체국 - 상록수역 - 신안코아 - 감골운동장 - 상록구선거관리위원회 - 석호공원 - 한양대입구 - 보네르빌리지 - 고잔고 - 네오빌6차 - 중앙역 (← B노선) | ||
*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순환방향] |
3. 역사
- 2022년 3월 21일에 개통식이 진행되었으며 25일에 운행을 시작할 예정이였지만 모종의 사유로 개통을 하루 앞두고 31일로 개통이 연기되었다. #
- 2022년 3월 31일에 개통되었다. 경원여객 공지사항
- 2022년 10월 21일부터 금,토요일에 운행하는 심야노선인 N60A/B번이 운행된다. 경원여객 공지사항
4. 특징
- 안산시에서 운행 보조금을 지급하는 준공영제로 운행되며, 경기도 일반시내버스 도색 대신 자체 도색으로 운행한다.
- 중앙역 2번출구 정류장에 A노선은 2번, B노선은 3번 정차한다.
- 부곡동에서는 21번, 99-1번과 다르게 부곡프라자 구간[14]을 경유하지 않고 301번처럼 점섬체육관에서 직진하여 부곡중학교 후문, 부곡제2종합시장, 부곡초등학교 후문을 경유하여 부곡고등학교로 간다.
- 순환버스 3종류중 가장 늦게 개통했으며, 안산시의 순환버스 개통 안내와 실제 개통까지는 약 1년 5개월이 걸렸다.
- 기점이자 종점인 중앙역 2번출구에서는 각각의 버스가 엔진을 끄고
두 기사님들이 커피나 맞담배를 하고있는 상황이 종종 있다. 이때 사전에 해당 버스를 타겠다고 안하면 시동을 걸고 바로 중앙역 1번출구로 간다. 그리고 사전에 말해도 다음부터는 중앙역 1번출구로 가달라고 안내하니 속편하게 중앙역1번출구에서 기다리자.
- 가끔 중앙역 1번출구에서 버스를 놓쳐도 곧 버스가 온다며 좋아해하는데, 그냥 대체 버스를 이용하자. 99% 운행종료 하고 엔진 끄는 버스다. 확실한 건 입구 쪽을 열지 않으면 이번 정류장에서 출발 후 2번출구에서 엔진 끄고 휴식한다는 말이니, 괜히 안 태워준다고 승차거부한다고 땡깡부리지 말자.
평균적으로 운행시작 버스가 운행종료 버스보다 20분 더 일찍 1번출구에 도착한다.
4.1. 시간표
2025년 1월 20일 기준5. 연계 철도역
수도권 전철 4호선: 중앙역, 상록수역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중앙역
5.1. 둘러보기
|
· · · · |
[유의] 일단 기점은 중앙역 2번 출구이나, 타겠다는 말이 없으면 그냥 엔진을 껐다가 킨 후 바로 중앙역 1번 출구로 간다. 즉 사실상 중앙역앞이 기점이다.[2] 실제로는 GBIS상에 종점행만 등록, 운행 중에 있지만 기점행 시간도 표시되어 있다.[3] 점심,저녁 사이 시간에는 90분까지 벌어진다.[4] 점심,저녁 사이 시간에는 120분까지 벌어진다.[5] 각 3대씩, 예비 1대[순환방향] A노선은 2번출구 → 1번출구 → 순환구간 → 1번출구 → 2번출구 순으로 운행
B노선은 2번출구 → 1번출구 → 2번출구 → 순환구간 → 2번출구 순으로 운행[유의] [8] 실제로는 GBIS상에 종점행만 등록, 운행 중에 있지만 기점행 시간도 표시되어 있다.[9] 토, 일요일에만 운행한다. (금->토요일로 넘어가는 자정, 토->일요일로 넘어가는 자정에만 운행한다.)[순환방향] [11] 125번 감차로 2대를 선 출고했으며 노선 견습, 개통식을 위해 미리 출고했던 것으로 보인다.[12] 중앙역 종점행 운행종료시 운행종료 팻말을 달고 들어온다.[13] 심지어 이 노선은 A,B 두 노선 동시에 출발하여 거의 동시에 중앙역앞에 도착하니, 혼동하지 말자.[14] 고려빌라, 부곡중학교 정문, 신라장, 부곡초등학교 정문, 부곡프라자, 부곡로5안길(성호로22길), 정채초등학교, 안산공고, 부곡공원[15] 안산대,안산병원,일동 회차구간
B노선은 2번출구 → 1번출구 → 2번출구 → 순환구간 → 2번출구 순으로 운행[유의] [8] 실제로는 GBIS상에 종점행만 등록, 운행 중에 있지만 기점행 시간도 표시되어 있다.[9] 토, 일요일에만 운행한다. (금->토요일로 넘어가는 자정, 토->일요일로 넘어가는 자정에만 운행한다.)[순환방향] [11] 125번 감차로 2대를 선 출고했으며 노선 견습, 개통식을 위해 미리 출고했던 것으로 보인다.[12] 중앙역 종점행 운행종료시 운행종료 팻말을 달고 들어온다.[13] 심지어 이 노선은 A,B 두 노선 동시에 출발하여 거의 동시에 중앙역앞에 도착하니, 혼동하지 말자.[14] 고려빌라, 부곡중학교 정문, 신라장, 부곡초등학교 정문, 부곡프라자, 부곡로5안길(성호로22길), 정채초등학교, 안산공고, 부곡공원[15] 안산대,안산병원,일동 회차구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