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09 20:02:05

압구정 한양아파트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ae193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555555; 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구|{{{#ffffff 자치구}}}]]
종로구 중구 용산구 성동구 광진구
동대문구 중랑구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은평구 서대문구 마포구 양천구
강서구 구로구 금천구 영등포구 동작구
관악구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 }}}}}}}}}


<colbgcolor=#16418e>{{{#!wiki style="margin: -12px 0"<tablebordercolor=#16418e>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파일:강남구 CI_White.svg
압구정
주거 단지
}}}
{{{#!wiki style="color: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000000; 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letter-spacing: -1px"
구역은 지구단위계획 기준
<colbgcolor=#16418e> 1구역 미성 1ㆍ2차
2구역 현대 9ㆍ11ㆍ12차[1]
3구역 현대 1~7차, 현대 10ㆍ13ㆍ14차[2], 대림빌라트, 현대빌라트, 대림아크로빌[3]
4구역 현대 8차, 한양 3ㆍ4ㆍ6차
5구역 한양 1ㆍ2차
6구역 한양 5ㆍ7ㆍ8차
관련문서 압구정동/재건축 과정

[1] 신현대아파트라고 불리는 아파트들이다.[2] 8차를 제외한 구현대아파트 전체라고 보면 된다.[3] 현대 65동
}}}}}}}}}}}} ||
<colcolor=#fff> 파일:ouyiouyiouyouyoyuoyuyouyuoyuoyu.png
단지 내부
<colbgcolor=#16418e><colcolor=#ffffff> 명칭 압구정 한양아파트[1]
영문 명칭 Apgujeong Hanyang Apt
종류 아파트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로 321 (압구정동)
입주 1977년 12월1차 ~ 1984년 6월8차
동수 33개동
층수 지상 15층
세대수 2,729세대
면적 66㎡ ~ 286㎡[2]
시공사 한양
1. 개요2. 연혁3. 특징4. 재건축5. 보유 및 거주자6. 상업 시설7. 교통

1. 개요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에 위치한 대단지 아파트이다.

바로 옆의 압구정 현대아파트와 함께 고급 아파트 문화에 크게 기여한 아파트라고 봐도 되며 고급 민영아파트의 스타트를 끊은 아파트이며, 이 낡은 아파트가 2025년 4월 기준 31평이 60억으로 평당가 2억 근처에 거래가 되고있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옆동네 압구정 현대아파트와 더불어 '강남 8학군'으로 대표되는 부촌의 대명사였다.[3]

탁월한 위치와 주상복합에 비해 더 나은 거주 환경 덕분에 주변의 고급 아파트 거주민들과 비교했을 시 생활 수준이 밀리지 않는다.[4] 다만 주차장은 최악의 상황으로, 1차, 2차 같은 경우 주차공간이 워낙 없다보니 그냥 갤러리아 명품관 주차장에 돈내고 주차하는 사람들도 있다.

압구정 한양아파트는 1977년부터 1984년까지 총 8년에 걸쳐 8차까지 입주가 이뤄졌으며 총 2,729가구의 대단지를 형성하고 있다.

2. 연혁

압구정동은 개발 이전에는 주변이 대부분 과수원과 채소밭이었다. 아파트 단지로 지정됐던 압구정동도 한강변 모래밭으로 현대건설이 경부고속도로를 공사하면서 외국에서 수입한 장비를 보관하기 위해 확보해 두었던 땅이었다. 하지만 한남대교가 놓이면서 압구정 일대는 강남의 노른자위 땅으로 부상했다.

1976년 압구정 현대아파트가 들어설 초기에는 아파트에 대한 인기가 높지 않았지만, 압구정 현대아파트가 3차~4차가 들어서고, 주변여건이 개선되었다. 한양아파트 분양 신청 시 35:1이라는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여 부동산경기의 과열이 얼마나 심했는지를 보여준다. 1977년 후반 아파트의 인기가 폭발적으로 상승했고, 이에 압구정동 주변에는 라이프주택, 우성, 삼익주택, 한양, 삼호 등 민간업체들의 아파트건설이 붐처럼 일어났다.

3. 특징

현대에는 인기가 없는 중앙난방방식으로 도시가스를 원료로 하고 있다. 다만 이 당시 중앙난방방식은 당시 수요자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 중앙난방 역시 아파트에 따라 난방비 차이가 심한데, 이 아파트는 로열층 기준으로 난방비가 적은 편에 속한다.

4. 재건축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재건축}}}에 대한 내용은 [[압구정동/재건축 과정]]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압구정동/재건축 과정#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압구정동/재건축 과정#|]]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재건축: }}}[[압구정동/재건축 과정]]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압구정동/재건축 과정#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압구정동/재건축 과정#|]]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5. 보유 및 거주자

과거 김종인보건사회부장관이 거주했으며 현재 이상민행정안전부장관서명옥 국회의원이 거주중이다.

6. 상업 시설

단지 내에 갤러리아 명품관[5]이 있으며, 인근에 현대백화점 압구정본점이 위치해있다. 또한 길 건너편에 압구정로데오 상권 및 청담동 명품 거리가 있다.

7. 교통

압구정동 항목 참조.

[1] 과거에는 영동 한양아파트라고 불렀다.[2] 한양2차아파트 21동의 단 2세대가 47평형 2채 면적을 점유하는 86평형으로 지어져 있다. 12층까지는 47평만 있으며, 13층에는 47평형 2채 면적을 점유하는 86평 2채만 동 가운데에 지어져 있다. 각종 등기문서나 부동산 앱에도 86평형으로 나오는 것으로 보아, 완공 이후 소유주가 따로 확장한 게 아니라 처음부터 86평으로 지어진 듯 한데, 건설 당시의 자세한 내막이나 해당 평형의 거주후기, 내부 등등이 알려진 바는 전혀 없다. 거래기록도 단 2건이다.[3] 평창동, 성북동, 한남동, 연희동 등 이들을 전혀 부러워하지 않을 정도로 서울특별시 시내 대저택에 거주하는 이들도 있었으나, 세대수로만 따지면 비교가 되지 않았기에 인지도면에서 차이가 있었다.[4] 개별적으로 리모델링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어서 겉은 낡았어도 속에 들어가보면 굉장한 집이 많다.[5] 원래 갤러리아백화점은 한양아파트를 지은 (주)한양이 1979년 개장한 '한양쇼핑센터'였는데 이후 1985년에 한화그룹이 통째로 인수해서 갤러리아백화점이 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