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ae1932> | }}}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555555; 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자치구|{{{#ffffff 자치구}}}]] | |||||||||||||||||||||||||||||
종로구 | 중구 | 용산구 | 성동구 | 광진구 | ||||||||||||||||||||||||||
동대문구 | 중랑구 | 성북구 | 강북구 | 도봉구 | ||||||||||||||||||||||||||
노원구 | 은평구 | 서대문구 | 마포구 | 양천구 | ||||||||||||||||||||||||||
강서구 | 구로구 | 금천구 | 영등포구 | 동작구 | ||||||||||||||||||||||||||
관악구 | 서초구 | 강남구 | 송파구 | 강동구 | }}}}}}}}} |
<colbgcolor=#16418e>{{{#!wiki style="margin: -12px 0" | <tablebordercolor=#16418e> | }}} | ||
{{{#!wiki style="color: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000000; 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letter-spacing: -1px" | 구역은 지구단위계획 기준 | |||
<colbgcolor=#16418e> 1구역 | 미성 1ㆍ2차 | |||
2구역 | 현대 9ㆍ11ㆍ12차[1] | |||
3구역 | 현대 1~7차, 현대 10ㆍ13ㆍ14차[2], 대림빌라트, 현대빌라트, 대림아크로빌[3] | |||
4구역 | 현대 8차, 한양 3ㆍ4ㆍ6차 | |||
5구역 | 한양 1ㆍ2차 | |||
6구역 | 한양 5ㆍ7ㆍ8차 | |||
관련문서 | 압구정동/재건축 과정 |
}}}}}}}}}}}} ||
<colcolor=#fff> |
단지 초입부. 좌측 기둥에는 '라이프주택', 우측 기둥에는 '美星아파트'라고 표기되어 있다. |
<colbgcolor=#16418e><colcolor=#fff> 명칭 | <colbgcolor=#fff> 압구정 미성아파트 |
영문 명칭 | Apgujeong Misung Apt |
종류 | 아파트 |
주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로 113 (압구정동) |
최초 입주 | 1982년[1], 1987년[2] |
동수 | 1차 3개동, 2차 9개동 |
층수 | 14층, 15층, 17층[3] |
세대수 | 1차 322세대, 2차 911세대 |
면적 | 95㎡ ~ 193㎡[4] |
시공사 | 라이프주택개발 |
1. 개요
<colcolor=#fff> 상공에서 바라본 단지. 북측 청록색 옥상 3개동이 미성 1차, 서남쪽 연두색 지붕 9개동이 미성 2차이다. |
단지 구성은 미성1차 322세대(3개동), 미성2차 911세대(9개동)로 총 1,233세대(12개동)이며, 28평, 33평, 41평, 49평, 58평으로 구성되어 있고, 30평대 이상의 평수가 많은 중대형 위주 단지이다. 1987년 준공되어 압구정 단지들 가운데에서는 가장 신축이고, 미성2차에는 지하주차장과 잠원한강공원쪽 이면도로가 있어 압구정동 내에서는 주차여건이 가장 좋다. 미성1차의 경우도 낮은 용적율과 넓은 부지면적 덕분에 옥외주차장 자리가 많이 남는 편이다.
2. 특징
<nopad> |
<nopad> |
<colcolor=#fff> 3동 복도에서 바라본 한남대교와 잠원한강공원 |
또한, 압구정동의 주요 유행특구가 압구정로데오역, 압구정역 부근에서 미성아파트 도보 5분거리인 가로수길로 넘어오면서 젊은 세대의 선호도가 특히 높다. 특히 신분당선, 위례신사선 등이 개통되면 신사역이 크게 확장되고 중요도가 높아질 예정이다.
도보 5분거리에 잠원한강공원 입구가 위치해 있어 잠원한강공원을 뒷뜰처럼 활용 가능하다. 남쪽 도보 5분에 가로수길, 북쪽 도보 5분에 잠원한강공원이 있으며 강남에서도 한남대교를 통한 강북접근성이 가장 좋아서 종로나 광화문에 근무하는 고소득층도 다수 거주한다.
아쉬운 점은 지하철 접근성으로, 압구정역이나 신사역 모두 도보 10분 정도가 걸린다. 이 때문에 입주민 대부분이 자가용을 선호한다. 다만 추후 신사역이 현재 3호선에서 신분당선, 위례신사선이 지나는 트리플 역세권으로 크게 확장될 예정인데 이 경우 신사역 출구를 미성에 가깝게 남북으로 증설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신분당선은 테크노밸리가 위치한 판교신도시, 강북의 중심지인 용산구, 서울역 지역과, 위례신사선은 강남업무지구의 중심이 될 글로벌비즈니스콤플렉스 지역과 압구정 일대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할 예정임을 감안할 때, 기존 황금노선인 서울 지하철 3호선과의 트리플 역세권으로 신사역의 중요성이 부각될 것으로 보이는데 압구정 단지들 가운데 미성아파트가 신사역 접근성이 가장 좋다.
현대백화점에 대한 접근성도 도보로는 부담스러운 편이어서 단지 내 2동의 상가를 이용하거나[7] 자가용 또는 10분마다 오는 현대백화점 압구정본점 셔틀버스를 타고 현대백화점으로 간다.
3. 재건축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재건축}}}에 대한 내용은 [[압구정동/재건축 과정]]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압구정동/재건축 과정#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압구정동/재건축 과정#|]]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재건축: }}}[[압구정동/재건축 과정]]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압구정동/재건축 과정#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압구정동/재건축 과정#|]]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4. 보유 및 거주자
- 미성 1차
- 남궁훈 카카오게임즈 대표이사
- 윤세웅 오버추어코리아 대표이사 및 사장
- 미성 2차
- 정치근 검찰총장 및 법무부장관
- 윤원중 국회사무총장, 국회의원
- 여상규 국회 법제사법위원장 : 배우자가 소유주이다.
- 현경자 국회의원
- 장수만 조달청장, 방위사업청장, 국방부차관
- 유상식 해양경찰청장
- 이종규 국세심판원장
- 문태영 주 독일대사
- 정기옥 주 싱가포르대사
- 김정원 포스코 대표이사, 사장
- 송평근 법무법인 광장 대표변호사
- 최승철 두산인프라코어 대표이사, 사장
- 최영재 LG홈쇼핑 대표이사, 사장
- 전만길 대한매일 대표이사, 사장
- 정영종 CJ인터넷 대표이사, 사장
- 정천용 (주) 삼표 대표이사, 사장
- 임영호 코오롱제약 대표이사, 사장
- 황도환 하이트주조 대표이사, 사장
- 김현기 중앙일보 편집국장
- 강성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수석부사장
- 강원기 삼성서울병원 암센터장
- 하종원 서울대학교병원 장기이식센터장
그 외 코메디언 심형래, 가수 겸 연기자 성유리, 농구선수 정재근, 축구감독 이장수 등 유명인들이 거주하거나 거주하였던 단지이며 위 인물을 포함한 다수의 유명인들이 거주하거나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관련 문서
[1] 1차 기준[2] 2차 기준[3] 1차는 14층이고 2차는 15, 17층이다. 17층은 압구정동 전체 최고 층수이다[4] 전용면적 기준[5] 토지거래허가제는 법정동 기준이며 압구정동이 허가제이므로 미성아파트 전 세대는 허가제 적용대상이다.[6] 법정동은 역사적 연혁상 법률로 정해진 행정구역으로 변동이 어렵고, 행정동은 인구 등을 고려하여 수시로 신설 변경되는 행정구역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법정동은 우편번호, 공문서 상 주소 등에 기재되는 지역명이고, 행정동은 동사무소 관할구역이다. 그 결과 특정 법정동의 주민센터 행정수요가 너무 많거나 거리상 먼 경우에는 행정동을 법정동과 달리 정할 수 있다. 압구정주민센터에서 법정동 압구정동의 신현대와 미성 주민까지 관리하기에 버거워 행정 여력이 있는 신사주민센터 관할로 보내기 위하여 행정실무상 신사동에 편입시킨 것이다[7] 적지 않은 규모여서 마트, 편의점, 문방구, 인테리어점, 미용실, 각종 식당, 반찬가게, 헬스장, 요가/필라테스 강습소, 학원 등 다양한 편의시설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