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5 15:55:56

양한별

국가유공자 공상군경7급
양한별
梁한별
파일:제22대 국회의원 선거 강남구 병 선거구 양한별 프로필 (중앙선거관리위원회).jpg
<colbgcolor=#AD469F> 출생 1956년 7월 20일 ([age(1956-07-20)]세)
경상북도 문경시
거주지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운로
학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법학 / 학사)
소속 정당
파일:내일로미래로 공식로고 투명.png
현직 국가유공자 공상군경7급
경력 국가유공자 공상군경7급
2020 강남구 병선거구 국회의원 후보
새누리당 사무총장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

1. 개요2. 생애3. 선거 이력4. 소속정당

1. 개요

대한민국의 정당인.

2. 생애

1956년에 태어났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를 졸업하였다.

2008년, 국민실향안보당 소속으로 서초구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적은 득표율로 낙선하였다.
2012년, 다시 한번 이번에는 국민행복당 소속으로 서초구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저번 선거보다 훨씬 낮은 0.48%의 득표를 받고 낙선하였다.

2016년, 이번에는 고용복지연금선진화연대 소속으로 신생 선거구인 강남구 병 선거구에 출마해서[1], 저번 선거보다 훨씬 높은 1,379표를 받고 낙선하였다.

2020년, 새누리당에 입당하여, 저번과 같은 선거구인 강남구 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저번보다 완전 낮은 0.24%의 득표율을 받고 낙선하였다.[2] 이후, 이전과는 달리 새누리당에 머무르며, 사무총장직과 비상대책위원직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몇개월 뒤에 새누리당을 탈당하였다.

시간이 흘러, 2024년, 내일로미래로에 입당하여 또 강남구 병 선거구에 출마하였다. 그래도 저번보단 높은 960표를 받고 낙선하였다.

3. 선거 이력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D469F><tablebgcolor=#fff,#1c1d1f><rowcolor=#fff><rowbgcolor=#AD469F><tablewidth=100%>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2008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서초 갑
파일:국민실향안보당.png
537 (0.82%) 낙선 (4위)
2012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국민행복당(2011년)|
파일:국민행복당(2011년) 흰색 로고타입.svg
]]
467 (0.48%)
2016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강남 병
[[고용복지연금선진화연대|
파일:고용복지연금선진화연대 흰색 로고타입.svg
]]
1,379 (1.62%) 낙선 (3위)
2020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새누리당(2017년)|
파일:새누리당(2017년) 흰색 로고타입.svg
]]
269 (0.24%) 낙선 (5위)
2024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파일:내일로미래로 공식로고 투명.png
960 (0.95%) 낙선 (3위)
역대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18대 총선 양한별 벽보.png 파일:제19대 총선 양한별 벽보.png
18대 총선 (서울 서초구 갑) 19대 총선 (서울 서초구 갑)
파일:제20대 총선 양한별 벽보.png 파일:21대 총선 양한별 벽보.png
20대 총선 (서울 강남구 병) 21대 총선 (서울 강남구 병)
파일:22대 총선 양한별 벽보.jpg
22대 총선 (서울 강남구 병) }}}}}}}}}

4. 소속정당

소속 기간 비고

파일:국민실향안보당.png
2008 창당
정계 입문


[[무소속(정치)|
무소속
]]
2008 - 2012 정당 해산[3]


[[국민행복당(2011년)|
파일:국민행복당(2011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12 입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2012 - 2016 정당 해산[4]

[[고용복지연금선진화연대|
파일:고용복지연금선진화연대 흰색 로고타입.svg
]]
2016 - 2017 입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2017 - 2021 정당 해산[5]


[[새누리당(2017년)|
파일:새누리당(2017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20 - 2022 입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2022 - 2024 탈당[6]

파일:내일로미래로 공식로고 투명.png
2024 - 현재 입당


[1] 보수세가 강한 선거구이다.[2] 이는 해당 선거구의 네오 새누리당과 같은 가치를 가지고 있는 친박 정당 난립(우리공화당, 친박신당)으로 인했던것으로 추측된다.[3] 총선 득표율 미달로 인한 해산.[4] 총선 득표율 미달로 인한 해산.[5] 시민 단체로 전환으로 인한 해산.[6]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