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5 18:55:24

엘든 링/무기/대형 무기/낫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엘든 링/무기/대형 무기


[[엘든 링|
파일:Elden Ring Logo_small.png
파일:EldenRingdeco2(RGB)(noise_scale)(Level3)(tta)(x1.500000).png]]


제스처 · 도전 과제 · 평가 · 패치 내역 · 코믹스
출시 전 정보 · 육성 관련 정보 · 전작 관련 정보
DLC · 황금 나무의 그림자 | 스핀오프 · 밤의 통치자


1. 개요2. 특징3. 목록
3.1. 대낫 (Scythe) ●3.2. 묘지의 대낫 (Grave Scythe) ●3.3. 광륜의 대낫 (Halo Scythe) ○3.4. 날개낫 (Winged Scythe) ○3.5. 흑요의 라미나 (Obsidian Lamina) ○ ◇

1. 개요

엘든 링에 등장하는 낫 무기군을 서술한 문서.

2. 특징

공격 범위가 넓고 대미지 보정과 공격 속도도 나쁘지 않은데다가, 기본적으로 출혈을 유발하는 무기. 다만 다소 기묘한 베기 궤적 때문에 사각이 많이 생긴다는 단점이 있다.

다크 소울 1, 다크 소울 3에선 치명공격(앞잡, 뒤잡)시에 낫의 막대기로 창 마냥 찌르는 어이없는 모션을 보여줘 쓴소리를 들었지만, 본작에서는 휘어진 칼날을 수직으로 찔러넣고 낫을 당기는 동시에 적을 발로 밀어내며 베는 멋진 모션으로 변경됐다. 주인공과 체격이 비슷한 인간형 적을 상대로 사용하면 이전작의 몇몇 보스들처럼 낫을 목에 걸어서 몸통째 잘라내듯이 베는 동작을 보여줘 꽤나 강렬한 편.

다크 소울 3의 가벼운 느낌과는 다르게 대형 무기로서의 아이덴티티를 살려 전체적으로 모션이 느려지고 묵직해졌다. 그에 따라 공격력도 직검을 겨우 이기던 시절보다 크게 높아져, 대검과 비슷한 정도가 되었다.

쌍수로 사용 시 다크 소울 3 DLC의 프리데의 대형 낫과 비슷한 느낌으로 플레이 할 수 있다. 강인도 감쇄력과 출혈 상태이상 축적이 나쁘지 않아서, 앞잡과 출혈로 한번에 큰 대미지를 넣기 좋다. 게다가 신앙 보정을 받는 고유 무기가 두 개나 있어서, 의외로 신앙캐가 사용하기 좋은 무기군이다.

낫 특유의 모양을 반영해 기본적으로 적의 가드를 관통하며, 대미지의 40%가 들어가게 된다.

참고사항으로 전회 적용 기준이 상당히 애매한 무기군이다. 적용 기준에 해당되어도 적용이 안 되는 경우가 있으며, 그걸 배제하더라도 전회의 선택 폭이 타 무기군에 비해서 적다.

모든 낫 위치

3. 목록

3.1. 대낫 (Scythe) ●

파일:엘든링 대낫.jpg
길고 가는 칼날을 지닌 큰 낫.
수확하는 듯한 참격은 출혈을 유발하고
그 공격은 가드의 틈을 파고든다.

높은 기량을 가진 자가 휘두르면
상대에게 공포를 새길 것이다.
전투 기술 「회전 베기」

기량이 뛰어난 검사들의 전투 기술.
크게 몸을 회전시켜 적을 벤다.
또한 추가 입력으로 추가 공격도 가능하다.

호수의 리에니에 지역, 절벽 아래 지하 묘지 던전에서 얻을 수 있다.

전회 장착이 가능한 다른 낫인 묘지의 대낫과 비교해 무게가 2 가볍고 기량 보정치가 높은 낫. 그러나 예리 변질을 제외한 대부분의 변질이 묘지의 대낫에 밀리는 단점이 있다. 신비 변질의 경우는 최종 딜 수치는 묘지의 대낫보다 낮으나, 신비 보정이 높아 출혈수치는 오히려 높으니 일장일단이 있다.

낫 무기군에서 유일하게 독자적인 강공격 모션을 가지고 있다. 노차지 강공격은 평범하게 한 번씩 휘두르지만 풀차지 강공격은 1,2타 모두 두 번씩 크게 베어내는 모션이 나온다.

3.2. 묘지의 대낫 (Grave Scythe) ●

파일:엘든링 묘지의 대낫.jpg
무기 상세 정보
속성 참격 무기 유형
중량 9.5 소모 FP 6 ( - / 12 )
전투 기술 회전 베기
전투 능력치 [ 최대 강화 기준 ]
공격력 가드 시 감소율
물리 352 <colbgcolor=#999> 물리 49.0
마력 - 마력 33.0
화염 - 화염 33.0
벼락 - 벼락 33.0
신성 - 신성 33.0
치명 100 가드 강도 39
부가 효과 [ 최대 강화 기준 ]
붉은 부패 동상 출혈
- - 55 -
능력 보정 [ 최대 강화 기준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변질 근력 기량 지력 신앙 신비
표준 C D - - -
중후 B - - - -
예리 E B - - -
상질 B B - - -
화염 D E - - -
화염술 E E - C -
벼락 E D - - -
신성 E E - C -
마력 E E C - -
냉기 C D D - -
C D - - D
C D - - D
신비 E E - - B }}}}}}}}}
필요 능력치
근력 기량 지력 신앙 신비
17 13 - - -
휜 가지에 큰 칼날을 붙인 대낫.
틈새의 땅 각지에 있는 버려진 묘지의 늙은 묘지기가 쓰는 무기.

과거에는 악귀를 쫓는 의미도 있었다고 한다.
전투 기술 「회전 베기」

기량이 뒤어난 검사들의 전투 기술.
크게 몸을 회전시켜 적을 벤다.
또한 추가 입력으로 추가 공격도 가능하다.
각지의 묘지 등에서 찾을 수 있는 낫을 들고 있는 스켈레톤에게서 랜덤하게 드랍된다.
  • 호수의 리에니에 - '호수를 향한 절벽' 축복의 서쪽 묘지에서 파밍하기 편하다. 가까운 묘지에 낫 3마리가 있고, 그걸 다 잡은 후 토렌트에 타 바위를 넘어 먼 묘지에 가면 또 2마리 + 요참의 나대를 든 스켈레톤이 있다.
  • 호수의 리에니에 - '맺음의 교회'에서도 파밍하기 좋다. 낫을 든 스켈레톤이 2기 출몰하는 데 거리가 꽤 가깝기 때문.
어디서 파밍하든 본격적으로 파밍한다면 전회 신성한 칼날이나 성률계 기도가 있는 게 좋다.

대낫과 더불어 전회 적용이 가능한 유이한 낫인데 예리, 신비 변질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변질에서 앞서기에 보통 이 낫을 사용하게 된다.

여담으로 장착 시 죽음 내성이 35 오른다. 단, 쌍수 장착을 한다고 두 배로 오르진 않는다.

3.3. 광륜의 대낫 (Halo Scythe) ○

파일:광륜의 대낫.jpg
무기 상세 정보
속성 참격 무기 유형
중량 8.5 소모 FP 11 ( - / 11 )
전투 기술 미켈라의 빛고리
전투 능력치 [ 최대 강화 기준 ]
공격력 가드 시 감소율
물리 289 <colbgcolor=#999> 물리 42.0
마력 - 마력 29.0
화염 - 화염 29.0
벼락 - 벼락 29.0
신성 186 신성 42.0
치명 100 가드 강도 34
부가 효과 [ 최대 강화 기준 ]
붉은 부패 동상 출혈
- - 55 -
능력 보정 [ 최대 강화 기준 ]
근력 기량 지력 신앙 신비
D C - D -
필요 능력치
근력 기량 지력 신앙 신비
13 16 - 15 -
미켈라의 칼날 말레니아와 함께 싸운
귀부기사들의 전투 낫.

기사들의 지휘관이 사용한 무기이며
반쪽짜리 빛고리의 칼날은 신성 속성 공격력을
지닌다.
전용 전투 기술 「미켈라의 빛고리」

미켈라의 빛나는 빛고리를 만들어
전방에 쏘는 전투 기술.
연속으로 쏠 수 있다.
낫을 든 지휘관 귀부기사에게서 낮은 확률로 드랍된다. 케일리드 지역 에오니아 늪에서 다수의 개체가 등장한다. 성수 버팀목 에브레펠에서도 소수 개체가 등장하지만 파밍을 목표로 한다면 몬스터 접근성이나 개체수 등을 봤을 때 케일리드 지역쪽을 추천.

물리/신성 복합 속성에 긴 리치가 특징인 낫. 낫이 전부 그렇듯이 출혈 수치도 있다.

전투 기술이 인상적인데 전작의 게일이 던지던 광륜과 유사한 것을 날린다. 연속 발사가 가능하며, 원거리 공격에 반응하며 옆으로 피하는 적에게도 유도 공격이 되는 전투 기술이다. AI의 투사체 회피 매커니즘은 기술 발동 시 회피 모션을 취하지만, 광륜의 대낫의 전투기술은 적 적중 시까지 딜레이가 길고 유도 성능이 있기 때문에 측면으로 걸어 원거리 공격을 피하는 적이나 멀리서 답답하게 간보는 보스들을 적중시키고 선공격을 유도하기 쉽다.

대부분의 공격 기도에 비해 공격 계수가 높고 FP 소모가 낮아 공격 기도를 대체하는 유저도 있다. 빛고리 관련 기도들과 비교해도 시전 속도 측면이든 화력 측면이든 밀리긴커녕 더 우세한 모습을 보인다. 빛고리 기도가 돌아오는 것을 고려하면 화력이 더 높지만, 돌아오는 것을 맞힐 수 없는 패턴을 지닌 적이나 보스가 꽤 있기 때문. 풀강 기준으로 신성 전갈, 알렉산더의 파편 탈리스만에 황금 나무에 맹세코 등의 버프를 두른 뒤 사용하면 1천 내외의 대미지를 낼 수 있다. 연사 가능한 원거리 기술인데 이정도면 굉장히 높은 축에 속한다. 딜타임이 잘 안나오는 수렁의 기사나 타점이 높아서 근접 무기나 신성한 칼날이 의외로 잘 안닿는 죽음 의례의 새 상대로는 이만한 무기가 없다. 거리를 벌리고 대충 전기를 연타하면 거의 필중이라 안정적으로 딜을 넣을 수 있다.

낫 쌍수의 대쉬 공격 모션이 일품이라 이걸 쌍수로 쓰거나 마찬가지로 신앙 보정이 달린 날개낫과 병용해 봄 직하다. 혹은 사냥개의 스텝이 달린 낫과 스왑하는 식으로 보스전을 대비하는 것도 생각해 볼 만하다.

단점은 신성 속성 무기라는 것. 데미갓 등의 신성 내성이 높은 보스를 상대로는 큰 대미지를 입히기 어렵다.

세일러문을 연상시키는지 해외권 스트리머들이 이걸 쓰면 세일러문으로 채팅창이 도배되는 모습이 보이기도 한다.

3.4. 날개낫 (Winged Scythe) ○

파일:날개낫.jpg
무기 상세 정보
속성 참격 무기 유형
중량 7.5 소모 FP 17 ( - / - )
전투 기술 천사의 날개
전투 능력치 [ 최대 강화 기준 ]
공격력 가드 시 감소율
물리 213 <colbgcolor=#999> 물리 30.0
마력 - 마력 25.0
화염 - 화염 25.0
벼락 - 벼락 25.0
신성 254 신성 55.0
치명 100 가드 강도 33
부가 효과 [ 최대 강화 기준 ]
붉은 부패 동상 출혈
- - 55 -
능력 보정 [ 최대 강화 기준 ]
근력 기량 지력 신앙 신비
D C - C -
필요 능력치
근력 기량 지력 신앙 신비
16 16 - 24 -
흰 날개를 본뜬 성스러운 낫
신성 속성 공격력을 지녔다.

흰 날개를 지닌 소녀들
이교에서 그들은 친절한 죽음의 사자이다.
전용 전투 기술 「천사의 날개」

도약하면서 날개 칼날에 흰 빛을 품고
그대로 베는 전투 기술.
흰 날개는 성배병 회복을 방해한다.
흐느낌의 반도, 영묘 들판 폐허의 상자에서 획득한다. 폐허 입장 시 내부 매복한 시종 2인조를 조심하자.

극초반 신앙캐 부무장의 희망으로, 신앙 보정치가 있어 기량신앙캐의 무장으로 좋다. 빠른 입수시기에 비해 강력한 딜과 전투 기술 덕분에 필드를 풀어나갈 때 매우 편리하다. 하지만 신성 속성 특성상 후반부에 급격하게 힘이 빠지니 알터 고원 입성부턴 다른 부무장을 고려해야된다.

전용전기인 천사의 날개의 경우 로레타의 참격과 모션을 공유하여 공중에 뜰 때 베고 내려찍기로 이어지는데 이 공격이 적중하면 전작의 불사자 사냥꾼의 부적처럼 성배병 회복을 방해한다. 상대가 성배병을 쓰려하면 전작처럼 동일한 모션으로 성배병을 흔드는 모습을 보여준다. 전기로 올려칠 때 판정이 나쁘지 않아 PVP시 회복방해 용도로도 괜찮은 편.

다만 성배병을 차단하는 기능을 제외한 부분은 로레타의 참격과 비교하면 미묘하게 하위호환이다. 특히 PVE에선 성배병 회복 방해 기능은 사실상 없는 거나 마찬가지고 신성 내성이 있는 적이 많아 제 성능을 못내며 대미지 자체도 로레타의 참격에 살짝 밀리는 모습을 보여준다. 다행히 경직도는 패치 이후의 로레타의 참격과 비슷한 수준이라 중형급 몬스터 상대로는 여전히 실전성이 있어 못 쓸 정도는 아니다.

3.5. 흑요의 라미나 (Obsidian Lamina) ○ ◇

파일:흑요의 라미나.jpg
무기 상세 정보
속성 참격 무기 유형
중량 6.5 소모 FP 5 ( - / 8 )
전투 기술 왕조 낫 기술
전투 능력치 [ 최대 강화 기준 ]
공격력 가드 시 감소율
물리 294 <colbgcolor=#999> 물리 42.0
마력 - 마력 28.0
화염 - 화염 28.0
벼락 - 벼락 28.0
신성 - 신성 28.0
치명 100 가드 강도 28
부가 효과 [ 최대 강화 기준 ]
붉은 부패 동상 출혈
- - 55 -
능력 보정 [ 최대 강화 기준 ]
근력 기량 지력 신앙 신비
E B - - D
필요 능력치
근력 기량 지력 신앙 신비
12 25 - - 17
순혈기사 안스바흐의 무기.
날카롭게 벼려진, 가는 전쟁 낫.

흑요석 칼날에 장치는 없으며
그저 탁월한 검 기술로 적수를 베어
피의 꽃을 피운다.
전용 전투 기술 「왕조 낫 기술」

화려하게 공격을 회피하고 적과 거리를 두는
전투 기술. 회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강 공격으로 전진 후 올려 베기로 이어지며
다시 강 공격으로 다시 화려하게 내려 벤다.

순혈기사 안스바흐 퀘스트라인을 완료하고 나서 DLC 최종보스 클리어 후 보스방 내 안스바흐 시체에게서 획득 가능.

전기인 왕조 낫 기술의 경우 출신 특성상 피의 헬리케가 가진 왕조 검술과 비교할 수밖에 없는데[1] 왕조 낫 기술은 회피에 좀 더 특화된 전기로 보면 된다. 회피시 방향 컨트롤이 가능해서 적 후방을 잡는데 더 유리하며 회피 후딜레이가 왕조 검술보다 짧아서 긴급하게 회피 컨트롤시 빈틈이 더 적다.

반면 뒤이은 강공 연계는 허점이 많은데, 1타의 경우는 강인도 감쇄율이 좋고 전진거리도 나쁘지 않아 써먹을 수 있으나 이어지는 2타의 두 번 베기가 상당히 애매하다. 심각한 것은 3타로, 적의 경직이 풀려있는 경우가 많고 시전 모션도 전진거리도 애매하기 짝이 없어 3타까지는 봉인하고 전기 사용 직후 강공 연계 1타로 그로기를 먹이는 것을 중점으로 플레이하는 것이 좋다.

벨라트 지하감옥같은 절벽이 많은데 좁은 맵에서는 전기를 봉인하는 게 차라리 좋다. 전기 쓰다가 떨어져 죽기 참 좋은 무장. 전회 강공 연계 2타시 마지막 크게 한번 베며 후퇴하는 모션에 절벽 보호판정이 없다.

버그인지는 모르겠으나 왼손의 낫에 전회 폭풍 부르기,전회 검무 를 사용한 뒤에 오른손 왕조 낫 기술을 사용할 경우 전회 모션이 바뀐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67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67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전기 시전 시 무적시간은 둘 다 똑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