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든 링| 제스처 · 도전 과제 · 평가 · 패치 내역 · 코믹스 출시 전 정보 · 육성 관련 정보 · 전작 관련 정보 DLC · 황금 나무의 그림자 | 스핀오프 · 밤의 통치자 |
1. 개요
엘든 링에 등장하는 쌍날검 무기군을 서술한 문서.2. 특징
- 소형 무기지만 무게는 대형 무기급이다.
- 한 손 잡기가 아닐 때 제 성능을 발휘한다. 한 손 잡기 시 모션은 평범한 베기 위주지만, 양손 잡기 시 모션 하나에 다단히트 판정이 붙으며 강공격 차지시 4타 공격이다. 도끼 탈리스만 착용시 맹금 갑옷+손톱 탈리스만 착용한 쌍수 점공과 비슷하거나 미세하게 높은 대미지를 주고 강인도 감쇄력이 조금 더 높다. 키가 작거나 엎드린 적에겐 제대로 공격이 들어가지 않고 모션이 긴 단점이 있어 빠른 대응이 필요할 때나 PVP시에는 한 손 잡기가 더 나을 수도 있다. 쌍수로 잡을 경우도 빠른 속도로 다단히트를 먹일 수 있고, 특히 점프 공격 모션이 곡검과 동일하게 순식간에 4타를 먹이는 모션이라 아주 우수하다.[1] 상태이상치 축적에 유리하기 때문에 웬만하면 한 손으로 쓰기 보다는 양손이나 쌍수로 쓰는 것이 추천된다.
- 쌍수 곡검과 마찬가지로, 쌍수 점공 출혈 세팅으로 사용 시 첫 타 타점이 상당히 높아 작은 적 상대로는 빗나가기 쉽기 때문에, 소형의 몬스터에게는 점프 후 바로 공격하지 말고 착지 직전에 공격 버튼을 누르는 것이 좋다. 착지 전에만 쓴다면 착지후에도 지상에서 정상적으로 4타가 다 들어가기 때문. 쌍수 곡검보다 공격속도가 살짝 느려서 후딜 때문에 누적 대미지와 연타력에서는 살짝 밀린다. 하지만 쌍수 곡검에 비해 단일 공격의 대미지, 출혈치 면에서는 우위를 가진다.
- 강인도 감쇄력은 다른 소형 도검류들과 비슷하다.
- 도검류면서 동시에 긴 자루 무기이기 때문에 장착 가능한 전회의 종류가 사자 베기부터 얼음창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다만 밸런스 때문에 기본 무브셋과는 달리 전회의 경우 회전하는 동작이 포함된 전기라도 두개의 날 중 하나만 타격판정이 생긴다. 예를 들어 회전베기 같은 전회를 쌍날검으로 쓴다고 해서 딜이 더 잘 나오지는 않는다.
- 마상 전투 성능이 좋다. 약공격은 넓은 범위를 커버하며, 강공격은 차지중 무기를 빙글빙글 돌리는 모션에 다단히트 타격 판정이 있어서 차징하며 지나가기만 해도 대미지를 넣을 수 있다. 특히 영묘 다리에 붙은 해골을 떼어내는 데 굉장히 효과적이다.
- 모든 쌍날검 위치
- 모든 쌍날검 위치 영상
3. 목록
3.1. 트윈 블레이드 (Twinblade) ●
<colcolor=#fff> 무기 상세 정보 | |||
<colbgcolor=#999> 속성 | 표준 / 관통 | <colbgcolor=#999><colcolor=#fff> 무기 유형 | 쌍날검 |
중량 | 7.0 | 소모 FP | 6 ( - / 12 ) |
전투 기술 | 회전 베기 |
<colcolor=#fff> 전투 능력치 [ 최대 강화 기준 ] | |||
공격력 | <colcolor=#fff> 가드 시 감소율 | ||
<colbgcolor=#999> 물리 | 291 | <colbgcolor=#999> 물리 | 45.0 |
마력 | - | 마력 | 30.0 |
화염 | - | 화염 | 30.0 |
벼락 | - | 벼락 | 30.0 |
신성 | - | 신성 | 30.0 |
치명 | 100 | 가드 강도 | 36 |
부가 효과 [ 최대 강화 기준 ] | |||
<rowcolor=#fff> 붉은 부패 | 동상 | 출혈 | 독 |
- | - | - | - |
<colcolor=#fff> 능력 보정 [ 최대 강화 기준 ] | |||||
<rowcolor=#fff> 변질 | 근력 | 기량 | 지력 | 신앙 | 신비 |
<colbgcolor=#999> 표준 | D | C | - | - | - |
중후 | B | - | - | - | - |
예리 | E | B | - | - | - |
상질 | B | B | - | - | - |
화염 | C | E | - | - | - |
화염술 | E | E | - | C | - |
벼락 | E | C | - | - | - |
신성 | E | E | - | C | - |
마력 | E | E | C | - | - |
냉기 | D | C | C | - | - |
독 | D | C | - | - | D |
피 | D | C | - | - | D |
신비 | E | D | - | - | B |
필요 능력치 | ||||
<rowcolor=#fff> 근력 | 기량 | 지력 | 신앙 | 신비 |
10 | 18 | - | - | - |
자루 양 끝에 검신이 달린 쌍날검.
높은 기량을 요구하는, 다루기 어려운 무기.
한 손으로 휘두를 수도 있지만
양손으로 들고 회전을 이용한 공격에서
그 진가를 발휘한다.
전투 기술 「회전 베기」
기량이 뛰어난 검사들의 전투 기술.
크게 몸을 회전시켜 적을 벤다.
또한 그 기세를 강 공격으로 이을 수 있다.
림그레이브의 용이 불태운 폐허 지하의 보물상자에서 루팅 가능하다. 전송 함정 상자가 있는 곳 말고 근처를 조금 둘러보면 토렌트 2단 점프로 넘어야 하는 벽으로 둘러싸인 숨겨진 장소의 지하에 있다.높은 기량을 요구하는, 다루기 어려운 무기.
한 손으로 휘두를 수도 있지만
양손으로 들고 회전을 이용한 공격에서
그 진가를 발휘한다.
전투 기술 「회전 베기」
기량이 뛰어난 검사들의 전투 기술.
크게 몸을 회전시켜 적을 벤다.
또한 그 기세를 강 공격으로 이을 수 있다.
가장 빠르게 얻을 수 있고 전회 장착이 가능한 쌍날검 중에서 가장 가볍다는 것이 장점인 쌍날검. 하지만 어떤 변질을 하든 다른 쌍날검보다 공격력이 약하다. 그나마 상질 변질이 다른 쌍날검들과 큰 차이가 나지 않기 때문에 쓰고자 한다면 상질 변질을 하는 것이 좋다.
3.2. 트윈 나이트소드 (Twinned Knight Swords) ●
<colcolor=#fff> 무기 상세 정보 | |||
<colbgcolor=#999> 속성 | 표준 / 관통 | <colbgcolor=#999><colcolor=#fff> 무기 유형 | 쌍날검 |
중량 | 8.0 | 소모 FP | 6 ( - / 12 ) |
전투 기술 | 회전 베기 |
<colcolor=#fff> 전투 능력치 [ 최대 강화 기준 ] | |||
공격력 | <colcolor=#fff> 가드 시 감소율 | ||
<colbgcolor=#999> 물리 | 298 | <colbgcolor=#999> 물리 | 47.0 |
마력 | - | 마력 | 31.0 |
화염 | - | 화염 | 31.0 |
벼락 | - | 벼락 | 31.0 |
신성 | - | 신성 | 31.0 |
치명 | 100 | 가드 강도 | 37 |
부가 효과 [ 최대 강화 기준 ] | |||
<rowcolor=#fff> 붉은 부패 | 동상 | 출혈 | 독 |
- | - | - | - |
<colcolor=#fff> 능력 보정 [ 최대 강화 기준 ] | |||||
<rowcolor=#fff> 변질 | 근력 | 기량 | 지력 | 신앙 | 신비 |
<colbgcolor=#999> 표준 | C | D | - | - | - |
중후 | B | - | - | - | - |
예리 | E | B | - | - | - |
상질 | B | B | - | - | - |
화염 | C | E | - | - | - |
화염술 | D | E | - | C | - |
벼락 | E | C | - | - | - |
신성 | D | E | - | C | - |
마력 | E | E | C | - | - |
냉기 | B | D | D | - | - |
독 | B | D | - | - | D |
피 | B | D | - | - | D |
신비 | D | E | - | - | B |
필요 능력치 | ||||
<rowcolor=#fff> 근력 | 기량 | 지력 | 신앙 | 신비 |
16 | 18 | - | - | - |
기사의 형식을 중시한 쌍날검.
아름답고 질 좋은 무기.
한 손으로 휘두를 수도 있지만
양손으로 들고 회전해 구사하는 공격에서
그 진가를 발휘한다.
전투 기술 「회전 베기」
기량이 뛰어난 검사들의 전투 기술.
크게 몸을 회전시켜 적을 벤다.
또한 추가 입력으로 추가 공격도 가능하다.
알터 고원 북쪽 - '동쪽 풍차 목장'에는 불타는 시체를 둘러싸고 춤추고 있는 무희들이 있다. 그 불타는 시체에서 얻는다.아름답고 질 좋은 무기.
한 손으로 휘두를 수도 있지만
양손으로 들고 회전해 구사하는 공격에서
그 진가를 발휘한다.
전투 기술 「회전 베기」
기량이 뛰어난 검사들의 전투 기술.
크게 몸을 회전시켜 적을 벤다.
또한 추가 입력으로 추가 공격도 가능하다.
피 변질시에도 근력 보정이 B인 쌍날검이라 양손잡기로 근력 1.5배 보정을 받기 좋은 무기. 양손 잡기로 평타 타수를 살린 전투를 원한다면 빠르게 획득하는 걸 추천하며, 다른 쌍날검과 함께 쌍수에 하나씩 들고 출혈 세팅 점공 4연타로 갈아버리기 좋다. 고스탯 풀강 기준 상질 변질 시 가고일의 쌍날검 이상으로 강해져 소형 도검류[2]중 가장 높은 공격력을 가지기 때문에 인챈트를 하고 활용하기 좋다.
3.3. 흑철 쌍날검 (Black Steel Twinblade) ● ◇
가시공 메스메르를 섬기는 흑기사들의 무기.
흑철에 황금 의장을 더한 쌍날검.
미리 황금 나무의 기도를 담았으며
어떠한 방법으로 신성 공격력을 부여할 시
상승 효과로 크게 위력이 높아진다.
전투 기술 「회전 베기」
기량이 뛰어난 검사들의 전투 기술.
크게 몸을 회전시켜 적을 벤다.
또한 추가 입력으로 추가 공격도 가능하다.
흑철에 황금 의장을 더한 쌍날검.
미리 황금 나무의 기도를 담았으며
어떠한 방법으로 신성 공격력을 부여할 시
상승 효과로 크게 위력이 높아진다.
전투 기술 「회전 베기」
기량이 뛰어난 검사들의 전투 기술.
크게 몸을 회전시켜 적을 벤다.
또한 추가 입력으로 추가 공격도 가능하다.
그림자 알터 성전교회 북동쪽 언덕 꼭대기의 쌍날검 흑기사가 확정적으로 드롭한다.
무기에 자체적으로 달려있는 신성 속성은 어떤 변질을 하더라도 사라지지 않으며 신성을 제외한 깡딜도 높기 때문에 만렙 캐릭터에 한해서 모든 쌍날검 중에서 모든 변질이 가장 강한 무기가 된다(1회차 150렙 전후로는 신성변질을 제외하고는 신살갗 쌍날검이 더 강하다). 무브셋도 회차에서 가장 강력하다 평가받는 신의 살갗의 쌍날검이 베이스기 때문에 양잡으로서의 가치도 매우 높은편.
3.4. 신의 살갗 쌍날검 (Godskin Peeler) ●
<colcolor=#fff> 무기 상세 정보 | |||
<colbgcolor=#999> 속성 | 표준 / 관통 | <colbgcolor=#999><colcolor=#fff> 무기 유형 | 쌍날검 |
중량 | 8.0 | 소모 FP | 30 ( - / - ) |
전투 기술 | 흑염의 회오리 |
<colcolor=#fff> 전투 능력치 [ 최대 강화 기준 ] | |||
공격력 | <colcolor=#fff> 가드 시 감소율 | ||
<colbgcolor=#999> 물리 | 296 | <colbgcolor=#999> 물리 | 47.0 |
마력 | - | 마력 | 31.0 |
화염 | - | 화염 | 31.0 |
벼락 | - | 벼락 | 31.0 |
신성 | - | 신성 | 31.0 |
치명 | 100 | 가드 강도 | 37 |
부가 효과 [ 최대 강화 기준 ] | |||
<rowcolor=#fff> 붉은 부패 | 동상 | 출혈 | 독 |
- | - | - | - |
<colcolor=#fff> 능력 보정 [ 최대 강화 기준 ] | |||||
<rowcolor=#fff> 변질 | 근력 | 기량 | 지력 | 신앙 | 신비 |
<colbgcolor=#999> 표준 | D | B | - | - | - |
중후 | B | - | - | - | - |
예리 | E | A | - | - | - |
상질 | B | B | - | - | - |
화염 | C | E | - | - | - |
화염술 | E | D | - | C | - |
벼락 | E | C | - | - | - |
신성 | E | D | - | C | - |
마력 | E | E | C | - | - |
냉기 | D | B | D | - | - |
독 | D | B | - | - | D |
피 | D | B | - | - | D |
신비 | E | D | - | - | B |
필요 능력치 | ||||
<rowcolor=#fff> 근력 | 기량 | 지력 | 신앙 | 신비 |
17 | 22 | - | - | - |
베는 낫 칼날과 찌르는 나선 침을 가진
비색 쌍날검. 신의 살갗의 사도들의 무기.
대칭성이 없는 이형의 쌍날검이며
사용하려면 숙련되어야 한다.
전투 기술 「흑염의 회오리」
무기를 회전시키고 땅에 찔러
회오리치는 흑염을 불러내는 전투 기술.
길게 누르면 회전 시에도 회오리가 발생한다.
풍차마을 꼭대기에 있는 신의 살갗의 사도에게서 흭득 가능. 한국어판은 평범한 명칭으로 번역되어 있지만 일본어 원문은 神肌剥ぎ로 신의 살갗 벗기개 정도로 번역된다. 실제로 형태가 치과 스케일링 도구와 매우 비슷하다.비색 쌍날검. 신의 살갗의 사도들의 무기.
대칭성이 없는 이형의 쌍날검이며
사용하려면 숙련되어야 한다.
전투 기술 「흑염의 회오리」
무기를 회전시키고 땅에 찔러
회오리치는 흑염을 불러내는 전투 기술.
길게 누르면 회전 시에도 회오리가 발생한다.
특이사항으로 보스급의 적인 신의 살갗의 사도를 잡아서 얻는 무기이며 화염 피해를 입히는 전투 기술을 가진 무기인데도 일반 단석으로 강화하며 전회를 통해 전투 기술을 변경할 수 있다. 긴이빨의 엄니찌르기처럼 전회로 장착된 게 아니라 기본 전투기술이 흑염의 회오리이다. 흑염의 회오리 전회는 게임 극후반인 파름 아즈라에서 얻을 수 있어 획득 직후에는 흑염의 회오리를 유지하면서 속성 변질이 불가능한 것이 약간 아쉬운 점이다.
어떤 유저가 데이터 마이닝으로 분석한 바에 따르면 보기와는 다르게 트윈나이트소드보다 리치가 짧다고 한다. 물론 쌍날검들이 죄다 거기서 거긴데 신 살갗 쌍날검이 기량 보정을 많이 받기 때문에 기량+신비 유저라면 피변질용으로는 경쟁력이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무기 설명처럼 한 쪽은 낫, 한 쪽은 침으로 된 비대칭 형태를 가져 다른 쌍날검들과는 달리 독특한 양손잡기 강공 무브셋을 보유하고 있기도 하다. 지상 강공은 일반적인 쌍날검들의 회전력을 살린 다단히트 베기 중심의 무브셋과 달리 나선침으로 강하게 한번 찌르는 형태[3]이고, 대시 강공은 회전하며 3회 베고 마지막에 찌르는, 빠른 4연격의 무브셋을 가지고 있다. 이 공격은 경직도가 상당히 높기 때문에 1.07 패치로 쌍수 무기의 상태이상 축적치가 역보정을 크게 받은 이후로 출혈 빌드들이 이 무기를 들고 대시 강공을 점공처럼 쓰는 운영을 하기도 한다.
DLC 출시 이후 양잡 운영이 더욱 강해졌다. 양손검 탈리스만의 데미지 15% 증가를 상시 받는 것만으로도 상당한 상향인데, 레다의 갑옷과 교차수 탈리스만이 대시공격까지 강화해주므로 양잡 대시강공 한번이 웬만한 전회 딜을 압도한다. 양손검의 탈리스만, 꿰뚫는 교차수, 부패익검의 휘장, 밀리센트의 의수 풀세팅을 맞춰주고 전회로 도읍 기사의 결의 [4] 까지 쓰면 대시강공 한 번에 어이없는 딜이 나온다.
3.5. 가고일의 쌍날검 (Gargoyle's Twinblade) ●
<colcolor=#fff> 무기 상세 정보 | |||
<colbgcolor=#999> 속성 | 표준 / 관통 | <colbgcolor=#999><colcolor=#fff> 무기 유형 | 쌍날검 |
중량 | 8.5 | 소모 FP | 6 ( - / 12 ) |
전투 기술 | 회전 베기 |
<colcolor=#fff> 전투 능력치 [ 최대 강화 기준 ] | |||
공격력 | <colcolor=#fff> 가드 시 감소율 | ||
<colbgcolor=#999> 물리 | 301 | <colbgcolor=#999> 물리 | 48.0 |
마력 | - | 마력 | 32.0 |
화염 | - | 화염 | 32.0 |
벼락 | - | 벼락 | 32.0 |
신성 | - | 신성 | 32.0 |
치명 | 100 | 가드 강도 | 38 |
부가 효과 [ 최대 강화 기준 ] | |||
<rowcolor=#fff> 붉은 부패 | 동상 | 출혈 | 독 |
- | - | - | - |
<colcolor=#fff> 능력 보정 [ 최대 강화 기준 ] | |||||
<rowcolor=#fff> 변질 | 근력 | 기량 | 지력 | 신앙 | 신비 |
<colbgcolor=#999> 표준 | B | E | - | - | - |
중후 | A | - | - | - | - |
예리 | D | B | - | - | - |
상질 | B | B | - | - | - |
화염 | C | E | - | - | - |
화염술 | D | E | - | C | - |
벼락 | E | C | - | - | - |
신성 | D | E | - | C | - |
마력 | D | E | C | - | - |
냉기 | B | E | C | - | - |
독 | B | E | - | - | D |
피 | B | E | - | - | D |
신비 | D | E | - | - | B |
필요 능력치 | ||||
<rowcolor=#fff> 근력 | 기량 | 지력 | 신앙 | 신비 |
18 | 15 | - | - | - |
영웅의 가고일이 드는 청동 쌍날검.
가고일 본체가 그렇듯이
빠진 부분을 시랍으로 메꾼
영웅들의 누더기이다.
전투 기술 「회전 베기」
기량이 뛰어난 검사들의 전투 기술.
크게 몸을 회전시켜 적을 벤다.
또한 추가 입력으로 추가 공격도 가능하다.
시프라 수도교의 보스 영웅의 가고일 2마리를 처치하면 가고일의 대검과 함께 얻을 수 있다.가고일 본체가 그렇듯이
빠진 부분을 시랍으로 메꾼
영웅들의 누더기이다.
전투 기술 「회전 베기」
기량이 뛰어난 검사들의 전투 기술.
크게 몸을 회전시켜 적을 벤다.
또한 추가 입력으로 추가 공격도 가능하다.
기량 보정에 치우쳐진 다른 쌍날검과 달리 근력 보정이 높은 쌍날검. 근력+신앙 캐릭터일 경우 속성 변질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오는 무기다.
초고렙 피변질 기준 가장 높은 표기 대미지를 자랑한다. 상질 변질 대미지도 트윈 나이트소드 다음으로 높다. 다만 근력에 치중된 보정치 탓에 기량 무기 위주인 출혈빌드에서 유연성이 좀 떨어지고[5], 특유의 투박한 룩과 쌍날검 중에서는 특히나 짧은 리치가 호불호가 갈려 위의 신살갗 쌍날검에 비하면 인기는 떨어지는 편.
3.6. 가고일의 흑쌍날검 (Gargoyle's Black Blades) ○
<colcolor=#fff> 무기 상세 정보 | |||
<colbgcolor=#999> 속성 | 표준 / 관통 | <colbgcolor=#999><colcolor=#fff> 무기 유형 | 쌍날검 |
중량 | 8.5 | 소모 FP | 6 ( - / 12 ) |
전투 기술 | 회전 베기 |
<colcolor=#fff> 전투 능력치 [ 최대 강화 기준 ] | |||
공격력 | <colcolor=#fff> 가드 시 감소율 | ||
<colbgcolor=#999> 물리 | 198 | <colbgcolor=#999> 물리 | 32.0 |
마력 | - | 마력 | 26.0 |
화염 | - | 화염 | 26.0 |
벼락 | - | 벼락 | 26.0 |
신성 | 237 | 신성 | 59.0 |
치명 | 100 | 가드 강도 | 32 |
부가 효과 [ 최대 강화 기준 ] | |||
<rowcolor=#fff> 붉은 부패 | 동상 | 출혈 | 독 |
- | - | - | - |
능력 보정 [ 기본 수치 - 최대 강화 ] | ||||
<rowcolor=#fff> 근력 | 기량 | 지력 | 신앙 | 신비 |
C - B | E | - | D | - |
필요 능력치 | ||||
<rowcolor=#fff> 근력 | 기량 | 지력 | 신앙 | 신비 |
18 | 15 | - | 22 | - |
영웅의 가고일이 드는 청동 쌍날검을
메꾸는 시랍이 검은색인 것.
신성 속성 공격력을 지닌다.
흑검 말리케스를 섬겼다는 표시이다.
전투 기술 「회전 베기」
기량이 뛰어난 검사들의 전투 기술.
크게 몸을 회전시켜 적을 벤다.
또한 추가 입력으로 추가 공격도 가능하다.
로르드 대승강기 앞에서 등장하는 흑검의 권속을 처치하면 얻을 수 있다. 메꾸는 시랍이 검은색인 것.
신성 속성 공격력을 지닌다.
흑검 말리케스를 섬겼다는 표시이다.
전투 기술 「회전 베기」
기량이 뛰어난 검사들의 전투 기술.
크게 몸을 회전시켜 적을 벤다.
또한 추가 입력으로 추가 공격도 가능하다.
흑가고일 무기가 모두 그렇듯이 신성 속성의 메리트가 애매하고 전기를 바꿀 수조차 없어서 보통은 버려지는 무기들이다.
3.7. 엘레오노라의 쌍치도 (Eleonora's Poleblade) ○
<colcolor=#fff> 무기 상세 정보 | |||
<colbgcolor=#999> 속성 | 표준 / 관통 | <colbgcolor=#999><colcolor=#fff> 무기 유형 | 쌍날검 |
중량 | 6.0 | 소모 FP | 11 ( - / 6 ) |
전투 기술 | 혈인난무 |
<colcolor=#fff> 전투 능력치 [ 최대 강화 기준 ] | |||
공격력 | <colcolor=#fff> 가드 시 감소율 | ||
<colbgcolor=#999> 물리 | 176 | <colbgcolor=#999> 물리 | 33.0 |
마력 | - | 마력 | 23.0 |
화염 | 176 | 화염 | 47.0 |
벼락 | - | 벼락 | 23.0 |
신성 | - | 신성 | 23.0 |
치명 | 100 | 가드 강도 | 28 |
부가 효과 [ 최대 강화 기준 ] | |||
<rowcolor=#fff> 붉은 부패 | 동상 | 출혈 | 독 |
- | - | 33 | - |
능력 보정 [ 기본 수치 - 최대 강화 ] | ||||
<rowcolor=#fff> 근력 | 기량 | 지력 | 신앙 | 신비 |
E | D - C | - | - | D |
필요 능력치 | ||||
<rowcolor=#fff> 근력 | 기량 | 지력 | 신앙 | 신비 |
12 | 21 | - | - | 19 |
갈대의 땅에서 만들어진 쌍치도.
보라색 피 손가락 엘레오노라의 무기.
한바탕 부는 선풍 같은 탁월한 전투 기술은
지금은 저주받은 피에 더럽혀졌다.
전용 전투 기술 「혈인난무」
도약한 후 선풍처럼 연속 공격을 하는
전투 기술. 추가 입력으로
추가 공격 후 물러나 거리를 둔다.
알터 고원 '제2 마리카 교회'에서 암령으로 등장하는 '보라색 피 손가락 엘레오노라'를 처치하면 획득할 수 있다. 엘레오노라는 피 묻은 손가락 사냥꾼 유라의 퀘스트 라인을 완료하거나, 유라를 살해하거나, 스토리를 진행하여 월드맵에서 유라가 아이템을 남기고 사라지면[6] 제2 마리카 교회에 침입한다.보라색 피 손가락 엘레오노라의 무기.
한바탕 부는 선풍 같은 탁월한 전투 기술은
지금은 저주받은 피에 더럽혀졌다.
전용 전투 기술 「혈인난무」
도약한 후 선풍처럼 연속 공격을 하는
전투 기술. 추가 입력으로
추가 공격 후 물러나 거리를 둔다.
전투 기술 혈인난무는 비슷한 난무 형식인 시산혈하의 시체더미와 비교했을 때 위력은 모자라지만 경직치와 강인도 감쇄력이 높아서 중형 몹도 연속으로 경직시키며 추가 입력 전 첫 번째 연속 공격으로도 많은 적들을 그로기 상태로 만들어버린다. 중형몹인 흉조의 아이나 중갑을 입은 기사몹도 전기에 경직만 먹다가 그로기가 터지는 등 모든 무기군을 통틀어 봐도 상위권[7]의 강인도 감쇄력을 가지고 있다. 다만 뛰어난 강인도 감쇄력이 장점인 만큼 적들의 강인도가 크게 오르는 다회차 상황에선 힘이 빠지는 편이다. 전기 막타 사용 시 일정거리를 뒤로 이동하기에 추가적인 앞잡을 넣기 위에선 앞으로 이동하거나 한 번 굴러서 접근해야 한다.
“난무”라는 명칭대로 사방팔방 날아다니니 벼랑 근처에서 사용할 때는 낙사하지 않게 주의하자.
또한 강공격의 연타수가 많은 것도 특징. 강공격의 경우 한 손으로 들어도 여러 대 때리는 모션을 가지고 있다.
발매 초기에는 신비 보정 무기들에 보정이 적용되지 않아 저열한 대미지로 전기 이외에는 사용할 구석이 없는 무기였지만, 1.03 버전 패치로 버그가 수정되어 드디어 쓸만한 무기가 되었다.
같은 갈대의 땅 출신 무기인 시산혈하와 마찬가지로 설정상 혈염 효과[8]를 가지고 있다.[9] 시산혈하를 쓰는 노인과 엘레오노라 둘 다 모그를 따르는 자들이고, 모그는 혈염을 쓰는 걸 보면 정황상 모그에게 받은 힘 때문에 무기가 혈염 효과를 가지게 된 듯하다. 특히, 이 무기의 원 주인인 엘레오노라는 처치 시 모그의 기믹 패턴인 셈하는 저주[10]를 3번 막아낼 수 있는 영약의 재료를 드랍하는 걸 보면 모그의 오른팔에 해당하는 위치인 모양이다.
무기의 디자인은 프롬의 전작 세키로의 검은 불사베기 개문과 상당히 흡사하고 모션 대부분도 선봉사의 삿갓 승려들과 비슷하다.
3.8. 에우포리에 (Euporia) ○ ◇
풍양의 상징으로 여겨진 쌍날검.
탑의 비보.
황금의 싹인 그 칼날은 반쯤 검게 시들었으나 적에게 상처를 입힐 때마다 반짝임을 되찾는다.
단, 죽음에 사는 자들만은 상처입혀도 반짝임이 돌아오지 않는다.
전용 전투 기술 「에우포리에의 소용돌이」
소용돌이의 힘으로 무기 전체를 격렬히 회전시켜 그대로 전방을 연속으로 베는 전투 기술.
반짝임을 되찾을수록 위력이 높아진다.
전투 기술을 사용하면 반짝임을 잃는다.
탑의 비보.
황금의 싹인 그 칼날은 반쯤 검게 시들었으나 적에게 상처를 입힐 때마다 반짝임을 되찾는다.
단, 죽음에 사는 자들만은 상처입혀도 반짝임이 돌아오지 않는다.
전용 전투 기술 「에우포리에의 소용돌이」
소용돌이의 힘으로 무기 전체를 격렬히 회전시켜 그대로 전방을 연속으로 베는 전투 기술.
반짝임을 되찾을수록 위력이 높아진다.
전투 기술을 사용하면 반짝임을 잃는다.
아이템이 있는 장소는 탑의 도시 벨라트지만 에니르 일림에서부터 접근해서 내려와야 한다. 길이 위험하고 복잡한데, 일단 '나선탑' 축복에서 아래 계단으로 내려가면 중간에 뿔인간 사제가 있는 곳 왼쪽에 내려갈 수 있는 계단이 있다. 계단을 따라 아래로 내려가 방 반대편 밑을 보면 또 떨어져서 내려갈 수 있는 계단이 있는데 그런 식으로 난간과 발판을 타고 계속 내려가다 보면 탑의 도시 벨라트 독늪 위 성벽으로 이어지고 그곳의 방 안에서 얻을 수 있다. 지나가는 길에 가장 큰 사이즈의 거미전갈, 고문관 다수와 막강한 신수전사를 뚫고 가야 해서 길이 매우 험난하기도 하고 무기 설명에서도 보이듯이 대놓고 히든 전설 무기로 설계되었다.
무기의 설명대로, 언데드가 아닌 적에게 공격을 일정 횟수[11] 적중시키면 2단계에 걸쳐서 무기의 빛이 강해지면서 30초 동안 무기의 신성 공격력이 (풀강 기준으로) 1단계는 95, 2단계는 120 증가한다. 이 버프의 지속시간은 적을 때릴때마다 갱신되므로 이론상으로는 레거시 던전을 도는 내내 발동시킨채로 있을 수도 있다. 이 강화는 다른 무기들의 무기 강화 방식과는 달리, 무기를 바꾸거나 장착 해제했다가 다시 착용해도 유지된다. 설명에 나온 대로 죽음에 사는 자, 그러니까 언데드들을 상대로는 반짝임 단계가 상승하지 않는다. 다만, 이 무기 자체가 신성 피해 기반이라 그렇지 않아도 피해가 잘 들어가긴 한다.
전기인 「에우포리에의 소용돌이」는 그냥 사용하면 그냥 황금색 버전 「돌아라 돌아라」지만, 상술한 반짝임 단계가 있는 상황에서 사용하면 회전 중심에 황금파가 추가된다. 반짝임 단계에 따라서 황금파의 굵기가 굵어지며, 이에 따라서 위력도 같이 증가한다. 공격 시간이 길긴 하지만 사거리가 꽤 긴 편에 빠른 속도로 다단 히트하며, 반짝임 2단계 기준으로 한방 한방이 별똥별 수준으로 강하다. 다시 말해서 신성 속성 아줄. 심지어 이쪽은 공격 도중에 방향 전환도 가능하고, 사용 중에 느리게 이동이 가능한 상위호환이다.
발매 초기에는 버프 스택을 2단계까지 쌓으려면 엄청나게 많은 연속 공격이 필요해 보스전에서 2단계 버프 자체를 달성하기가 상당히 힘들었으며, 스킬의 시전시간도 길기 때문에 보스전에선 쓰기가 사실상 불가능했다. 그러나 이후 패치로 버프를 받아 시전시간 감소, 버프 스택 축적속도 증가, 스택 유지시간 증가, 버프 대미지 증가라는 폭풍 상향을 받았다. 스택을 쌓기만 하면 꼭 전기를 시전하지 않더라도 무기의 깡뎀 자체가 무시무시해지고, 딜각을 잘 잡아 스킬 시전시 정신나간 대미지를 뽑아낼 수 있으므로 보스전에서도 쓸만해졌다는 평. 신성 저항력이 40% 이상 되는 보스들 상대로도 모든 세팅을 갖추고 전타를 맞출경우 1만이 넘는 데미지가 뽑히니 그야말로 신성 아줄이라는 평이 정확하다.
전기는 원거리 공격임에도 연속 공격 판정이 있으므로 연속공격 탈리스만 및 영약이 추천되며, 황금 빔의 경우는 순수 신성 데미지이므로 신성 전갈과 신성 영약과도 궁합이 좋다. 원거리에서 빔만 맞춰도 대미지가 상당하지만, 최대한의 폭딜을 뽑아내려면 근거리에서 시전해 돌아가는 무기까지 맞출것을 추천한다.
참고로 쌍수로 에우포리에를 드는 것은 그다지 추천되지 않는데, 쌍수로 공격시 히트마다 쌓이는 버프 스택이 양잡으로 공격할때보다 낮기도 하고, 한손에서 전기를 시전시 그 손 무기의 버프뿐만아니라 다른쪽 손 무기의 반짝임 버프까지 같이 사라져버리기 때문.
에우포리에(Euporie 또는 Euporia)는 그리스 신화 속 풍요의 여신의 이름이다.
[1] 대미지도 곡검보다 높으며 피 변질시 출혈 수치도 더 높다. 다만 대시 공격과 평타 모션은 쌍수 곡검보다 다소 밀리는 편이다.[2] 직검, 자검, 곡검, 도, 쌍날검 등.[3] 차지를 할 경우 다단히트 베기 후 찌르기로 변화한다.[4] 공격이 연타일경우 연타를 전부 강화해준다[5] 티어권에 있는 고유전기 출혈 무기중 근력 무기는 모그윈의 성창이 있는데, 이쪽은 파리떼 기도와 조합한 법사플레이로 근력은 딱 장비 요구치 만큼 찍어두고 캐스팅 속도를 위한 기량에 일부 투자 후 신비에 몰빵하는 구조라 지향점이 전혀 다르다.[6] 유라 퀘스트를 완수하지 않고 로르드 대승강기 앞에 도착하면 유라가 아이템만 남긴 채 사라진다.[7] 혈인난무처럼 단 1번의 시전으로 중형몹에게 그로기를 유발할 수 있는 전투 기술은 용왕의 바위검의 뇌운의 모습 정도뿐이다.[8] 이펙트만 혈염일 뿐 진짜 혈염처럼 출혈 도트를 유발하지는 않는다.[9] 시산혈하와 엘레오노라의 쌍치도 모두 저주받은 피에 물들었다는 표현이 있고 엘레오노라는 흉혈에 더럽혀졌다고 하며 피격당한 적에게 일반적인 화염 이펙트가 아니라 혈염 특유의 시뻘건 불꽃이 일렁인다.[10] "트레스, 두오, 우노스"라는 영창과 함께 플레이어 주위에 생겨나는 고리 3 중첩과 2페이즈 진입 시의 니힐 패턴.[11] 패치 전엔 대략 7번의 약공격을 적중시켜야 1단계 상승했지만 지금은 약공격 3번 또는 차지강공격 1번이면 되도록 버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