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국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ece5b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 초대 국군 소강공 | 1대 국군 연후 극 | 2대 국군 연후 지 | 3대 국군 연후 무 | 4대 국군 연후 헌 |
5대 국군 연후 화 | 실전 | 7대 국군 연후 성 | 실전 | 9대 국군 혜후 | |
10대 국군 희후 | 11대 국군 경후 | 12대 국군 애후 | 13대 국군 정후 | 14대 국군 목후 | |
15대 국군 선후 | 16대 국군 환후 | 17대 국군 장공 | 18대 국군 양공 | 19대 국군 환공 | |
20대 국군 선공 | 21대 국군 소공 | 22대 국군 무공 | 23대 국군 문공 | 24대 국군 의공 | |
25대 국군 혜공 | 26대 국군 도공 | 27대 국군 공공 | 28대 국군 평공 | 29대 국군 간공 | |
30대 국군 헌공 | 31대 국군 효공 | 32대 국군 성공 | 33대 국군 민공 | 34대 국군 희공 | |
35대 국군 후환공 | 36대 국군 후문공 | 초대 왕 역왕 | 2대 왕 연왕 쾌 | 비정통 연왕 자지 | |
3대 왕 소양왕 | 4대 왕 혜왕 | 5대 왕 무성왕 | 6대 왕 효왕 | 말대 왕 연왕 희 | |
초한쟁패기 연왕 한광 | 연왕 장도 | 연왕 노관 | |||||
삼황오제 · 하 · 상 · 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진(秦) · 한 삼국시대 · 진(晉) · 오호십육국 · 북조 · 남조 · 수 · 당 오대십국 · 송 · 서하 · 요 · 금 · 원 · 명 · 청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 }}}}}}}}}}}}}}} |
'''연나라 초대 왕''' | ||
성 | 희(姬) | |
휘 | 퇴(脮) | |
아버지 | 연후문공(燕後文公) | |
생몰 기간 | 음력 | 기원전 ???년 ~ 기원전 321년 |
재위 기간 | 음력 | 기원전 332년 ~ 기원전 321년 |
[clearfix]
1. 개요
연(燕)나라의 제37대 군주이자, 초대 왕. 연후문공의 아들이자, 연왕 쾌의 아버지이다. 이때부터 연나라도 '왕'을 칭했다. 시호는 역왕(易王)이었다.[1]2. 생애
역왕 원년(기원전 332년), 제(齊)나라의 선왕(宣王)이 연문후의 국상 중에 연나라의 영토를 쳐서 10개 성을 빼앗자, 연역왕은 소진(蘇秦)을 불러 문책했다.[2] 그러자 소진은 역왕에게 제나라에 유세할 것을 진언했고, 제선왕을 찾아가 유세하니 결국 선왕은 빼앗은 성을 다시 연나라에 돌려주었다.[3]이후 소진은 제나라 신하들의 참소를 받아 서둘러 연나라로 돌아왔고,[4] 이전의 공로를 인정받아 중용될 것임을 기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왕 역시 신하들의 말을 듣고 소진을 복직시키지 않았다. 당시 소진은 6국의 재상을 역임하며 합종책을 유지시키기 위해 여기저기 이해관계에 따라 물타기도 하고, 속이는 짓도 하다보니 6국의 신하들 중에 비판하는 자가 많았다.
이에 소진은 자신이 벼슬을 거부하고 산으로 들어간 백이, 숙제처럼 개인의 충심만이 아닌 나라를 위해 진취한 활동을 했다고 여러 고사를 들어 항변하여 역왕을 설득하는데 성공하고, 연나라의 상국으로 복직했다.
역왕 9년(기원전 324년), 소진은 역왕의 모후와 사통한 사실을 들킬까 두려워[5] 제나라를 약화시킨다는 이유로 제나라로 가겠다고 자청하니 역왕이 허락했다. 그리하여 제선왕이 소진을 객경으로 임명했다.
역왕 10년(기원전 323년), 역왕이 왕을 칭했다. 이것을 전해 들은 고조선의 조선후(侯)도 대외적으로 왕을 칭했다.
역왕 12년(기원전 321년), 역왕이 죽었다. 그 아들인 희쾌(姬噲)가 즉위하니 그가 바로 연나라 역사상 최악의 암군이었던 연왕 쾌(燕王噲)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