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Oyster ・ Travelcard | |
궤도와 삭도 | ||
| 워털루 ・ 빅토리아 ・ 런던 브리지 ・ 리버풀 스트리트 스트랫포드 ・ 패딩턴 ・ 유스턴 ・ 킹스 크로스 세인트 판크라스 ・ 하이버리 & 이즐링턴 ・ 클래펌 정션 ・ 채링 크로스 | |
기타 대중교통 | ||
공항 | 히스로 ・ 개트윅 ・ 스탠스테드 ・ 루턴 ・ 시티 ・ 사우스엔드 | |
공항철도 | ||
관련 기업 | 런던교통공사 ・ 스테이지코치 ・ 퍼스트그룹 | |
1:헤이들리 우드(Hadley Wood), 크루즈 힐(Crews Hill) 까지 Oyster 사용가능 | }}}}}}}}} |
| |||
베이컬루선 | 센트럴선 | 서클선 | 디스트릭트선 |
해머스미스 앤 시티선 | 주빌리선 | 메트로폴리탄선 | 노던선 |
피카딜리선 | 빅토리아선 | 워털루 앤 시티선 | |
크로스레일 | DLR | 오버그라운드 | 트램 |
| ||
런던 오버그라운드 London Overground (런던 지상철도) | ||
<colbgcolor=white> 개통년도 | <colbgcolor=white> 2007년 11월 11일 | |
영업 거리 | 123.6km | |
노선 수 | 8개 | |
운행계통 수 | 6개 | |
역 수 | 112개 | |
운임제도 | 고정구간제 | |
연간 수송인원[1] | 13억 5천 7백만명 | |
궤간 | 1435mm 표준궤 | |
전기방식 | 교류 25,000V & 직류 630V | |
집전방식 | 가공전차선 & 제3궤조 | |
통행방향 | 좌측통행 |
[clearfix]
1. 개요
영국 런던 근교에서 운행하는 광역 통근열차 시스템. 런던교통공사가 운영하며, 내셔널 레일 시스템의 일부이다.노선도. 지리적 위치가 그대로 반영된 노선도는 여기서 볼 수 있는데, 런던시내는 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오버그라운드 운행 구간 중 런던 중심가라고 할 수 있는 요금구역 1에 속하는 역은 유스턴, 리버풀 스트리트, 쇼디치 하이 스트리트 역[2], 혹스턴[3] 뿐이다.
런던 근교의 통근통학난이 생각보다 심각했던지 런던교통공사는 꾸준히 내셔널 레일, 즉 일반철도 운영에 손을 대고자 노력했다. 처음엔 런던교통공사 주도로 여러 업체가 운영하던 런던권역의 간선 통근열차 노선을 모두 묶어 오버그라운드 네트워크라는 단일 브랜드명으로 홍보하다가, 실버링크 메트로의 운영권한을 가져와서[4] 간선열차 운행에 직접 손을 댄 것이 바로 런던 오버그라운드다.
TfL이 직접 열차를 굴리지는 않고, 위탁 형식으로 민간 기업인 LOROL에 하청을 주어 열차를 굴리고 있다. 도클랜즈 경전철과 같은 방식. LOROL은 홍콩의 MTR과 영국의 Arriva[5]의 합작 기업이다. 현재는 후자인 Arriva Rail London에서 운영권을 완전히 넘겨받았다.
운임 체계는 런던 지하철, 도클랜즈 경전철과 동일하게 고정구간제를 실시한다. 내셔널 레일과의 통합발권 및 연락운송도 실시중.
내셔널 레일의 일부이기에 Britrail Pass로도 탑승 가능하나(사이트에도 명시되어 있음) 못 탄다고 생각하는 것이 낫다. 많은 역무원들이 오버그라운드가 내셔널 레일과 무관한 런던교통공사 노선이라고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장기적으로 추가로 런던 교외 노선으로 확대할 계획을 갖고 있다. 특히 런던 지하철 노선망이 부실한 런던 남부 지역 노선을 대상으로 기존 운영사 계약이 만료되는 2020년 전후로 예상하고 있다.
2024년 가을부터 각각의 계통에 노선명이 부여될 예정이다.한국어 해석 노스&웨스트 런던선은 마일드메이 선, 왓포드DC선은 라이어네스[6] 선, 가스펠 오크~바킹선은 서프러제트 선, 이스트&사우스 런던선은 윈드러시 선, 리 밸리선은 위버 선, 롬퍼드~업민스터선은 리버티 선이 될 예정이다. 리버티 선을 제외하고는 모두 사회적 소수자를 상징하는 유래를 갖고 있다. 보수주의 성향의 데일리 메일에서는 PC에 물들일 돈으로 서비스 개선에나 신경써라라며 사디크 칸 런던 시장을 비판하기도 했다. 다만 보수측 비판과 무관하게 계획대로 2024년 11월부터 새 노선색과 노선명이 적용되었다.
새 개별노선별 색상이 적용되면서 기존 사용하던 주황색은 오버그라운드 전체를 상징하는 색상으로 사용된다. 새로 선정된 색상이 기본 런던 지하철 노선 색상과 비슷한 색상[7]이다보니, 예전 주황색 시절과 마찬가지로 오버그라운드는 노선도에 가운데 흰색이 들어간 이중선으로 그려 구분한다.
2. 차량
내셔널 레일에서 굴려왔던 열차들을 오버그라운드로 재도색하여 노선에 투입시킨다. 가공전차선 혹은 제3궤조 노선이다. 한때 유일한 비전철 구간이었던 가스펠 오크 - 바킹 선은 현재 전철화에 들어가서 가공전차선이 설치될 예정이다.- 영국철도 172형 (Turbostar)[8]
가스펠 오크 - 바킹 선에 투입되며 유일한 디젤 차량이다. 그러나 전철화가 완료되어 영국철도 710형 열차가 운행을 시작하면 교체되어 운행하지 않는다.
- 영국철도 378형 (Capitalstar)
노스 런던 선, 웨스트 런던 선, 왓포드 런던 선, 이스트 런던 선에서 운행한다. 제3궤조를 사용한다. 디자인 차이는 있지만 런던 지하철 S형 전동차와 같은 봄바르디어제로, 기술적 사양[9]이 거의 동일하여 이론적으로는 서페이스 타입의 지하철 노선에도 입선이 가능하다.
- 영국철도 710형 (Aventra)
3. 노선
개통순으로 작성하였다.3.1. 마일드메이선
구 노스 & 웨스트 런던선. 노선명은 80년대 AIDS 위기 당시 모두가 거부하던 AIDS 환자들을 앞장서서 치료하던 NHS 마일드메이(Mildmay) 병원[10]에서 유래했다. 다만 해당 병원은 윈드러시선(구 이스트 런던선) 쇼디치 하이 스트리트 역 인근에 있었던지라 동 노선과 연관이 다소 떨어지는 점에서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다.노선 운행은 스트랫포드-윌스덴 정션 구간을 중심으로 아래 2개 계통으로 나뉜다.
- 노스 런던선 계통 : 스트랫포드 - 윌스덴 정션 - 리치몬드
이전의 노스 런던 선은 실버링크에서 운행한 노선으로 노스 울리치 역까지 운행했으나 노선 개편과 함께 스트랫포드 - 노스 울리치 구간은 폐선되었고 현재의 노스 런던 선이 되었다. 폐선 후 남은 노반은 현재 도클랜즈 경전철이나 크로스레일 공사에 재사용중. 거너스버리 - 리치몬드 구간은 디스트릭트 선과 공유한다. - 웨스트 런던선 계통 : (스트랫포드 -) 윌스덴 정션 - 클래펌 정션
이 노선에서 디스트릭트 선이 휴일 한정 운행하는 켄징턴 역을 이용할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열차는 위의 노스 런던 선과 직결해서 스트랫포드 역에서 클래펌 정션까지 운행한다.
구역 | 역명 | 운행계통 | 공유구간 | 환승노선[OSI] | |||
리치몬드 | 클래펌 정션 | 디스트릭트 | 서던 | 윈드러시 | |||
4 | 리치몬드 역 Richmond | O | D | ||||
3/4 | 큐 가든 역 Kew Gardens | O | D | ||||
3 | 거너스버리 역 Gunnersbury | O | D | ||||
사우스 액턴 역 South Acton | O | ||||||
액턴 센트럴 역 Acton Central | O | ||||||
2 | 클래펌 정션 역 Clapham Junction | O | S | ||||
임페리얼 워프 역 Imperial Wharf | O | S | |||||
웨스트 브럼턴 역 West Brompton | O | S | |||||
켄싱턴(올림피아) 역 Kensington(Olympia) | O | S | |||||
셰퍼즈 부시 역 Shepherd’s Bush | O | S | |||||
2/3 | 윌스덴 정션 역 Willesden Junction | O | O | ||||
2 | 켄절 라이즈 역 Kensal Rise | O | O | ||||
브론데스버리 파크 역 Brondesbury Park | O | O | |||||
브론데스버리 역 Brondesbury | O | O | |||||
웨스트 햄스테드 역 West Hampstead | O | O | |||||
핀칠리 로드 & 프로그널 역 Finchley Road & Frognal | O | O | |||||
헴스테드 히스 역 Hampstead Heath | O | O | |||||
가스펠 오크 역 Gospel Oak | O | O | |||||
켄티시 타운 웨스트 역 Kentish Town West | O | O | |||||
캠든 로드 역 Camden Road | O | O | |||||
칼레도니안 로드 & 반즈버리 역 Caledonian Road & Barnsbury | O | O | |||||
하이버리 & 이슬링턴 역 Highbury & Islington | O | O | Wr | ||||
캐논버리 역 Canonbury | O | O | Wr | ||||
달스턴 킹스랜드 역 Dalston Kingsland | O | O | |||||
해크니 센트럴 역 Hackney Central | O | O | |||||
호멀턴 역 Homerton | O | O | |||||
해크니 윅 역 Hackney Wick | O | O | |||||
2/3 | 스트랫포드 역 Stratford | O | O |
3.2. 라이어네스선
구 왓포드DC선. 유스턴 - 왓포드 정션 구간 단일 계통으로 운행한다. 노선명은 UEFA 여자 유로 2022에서 우승한 잉글랜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별명인 The Lionesses(암사자들)과 노선이 이들의 홈구장인 웸블리 스타디움을 지나는 점에서 선정되었다.퀸즈 파크 - 해로우 & 월드스톤 구간은 베이컬루 선과 공유하고 있으며, 이전에는 왓포드 정션 역까지도 베이컬루 선이 운행했으나 개편으로 인해 해로우 & 월드스톤 역까지만 운행하고 있다. 추후 왓포드 정션 - 왓포드 하이 스트리트 구간은 메트로폴리탄 선의 크록슬리 레일 링크 연장으로 이 역시 노선을 공유할 예정이다. 런던 여행객들이 많이 찾는 관광지중 하나인 해리포터 스튜디오를 가기 위한 셔틀버스가 이 라인의 북쪽 종착역인 왓포드 정션역에서 운행중이다. 평일 낮에 이 역을 이용하는 대부분의 승객들이 해리포터 스튜디오를 가기 위한 관광객일 정도.
구역 | 역명 | 공유구간 | 환승노선[OSI] |
베이컬루 | |||
1 | 유스턴 역 Euston | ||
2 | 사우스 햄스테드 역 South Hampstead | ||
킬번 하이 로드 역 Kilburn High Road | |||
퀸즈 파크 역 Queen's Park | B | ||
켄절 그린 역 Kensal Green | B | ||
2/3 | 윌즈던 정션 역 Willesden Junction | B | |
3 | 할즈덴 역 Harlesden | B | |
스톤브릿지 파크 역 Stonebridge Park | B | ||
4 | 웸블리 센트럴 역 Wembley Central | B | |
노스 웸블리 역 North Wembley | B | ||
사우스 켄턴 역 South Kenton | B | ||
켄턴 역 Kenton | B | ||
5 | 해로우 & 윌드스턴 역 Harrow & Wealdstone | B | |
헤드스톤 레인 역 Headstone Lane | |||
6 | 해치 앤드 역 Hatch End | ||
7 | 카펜더스 파크 역 Carpenders Park | ||
8 | 부쉬 역 Bushey | ||
왓포드 하이 스트리트 역 Watford High Street | |||
별도구역 | 왓포드 정션 역 Watford Junction |
3.3. 서프러제트선
구 가스펠 오크 ~ 바킹선. 가스펠 오크 - 바킹 리버사이드 구간 단일 계통으로 운행한다. 노선명은 여성 참정권 운동을 이끈 서프러제트에서 유래했다.
유일한 비전철 구간이었으나, 2015년 9월 전 구간 25,000V 50hz 가공전차선 전철화 계약 체결 후 2018년 1월 15일 완공했다. 2016년 6월 4일부터 9월 23일까지 일부 평일/주말 운행계통 폐쇄 후, 9월 24일부터 2017년 2월까지는 이 노선을 이용할 수 없었고, 대신에 임시로 이 노선을 대체하는 버스가 운행 중이였다. 이후 전철화가 끝나 운행을 재개했다. 전철화 이후로는 바킹역에서 바킹 리버사이드역까지 2020년 연장 예정이었으나, 지연 끝에 드디어 2022년 7월 18일 개통되었다.
구역 | 역명 | 환승노선[OSI] |
2 | 가스펠 오크역 Gospel Oak | |
어퍼 홀로웨이역 Upper Holloway | ||
3 | 크라우치 힐역 Crouch Hill | |
해링게이 그린 레인즈 역 Harringay Green Lanes | ||
사우스 토트넘역 South Tottenham | ||
블랙호스 로드역 Blackhorse Road | ||
월섬스토 퀸즈 로드역 Walthamstow Queen’s Road | ||
레이턴 미들랜드 로드역 Leyton Midland Road | ||
레이턴스톤 하이 로드역 Leytonstone High Road | ||
완스테드 파크역 Wanstead Park | ||
3/4 | 우드그랜지 파크역 Woodgrange Park | |
4 | 바킹역 Barking | |
4 | 바킹 리버사이드역 Barking Riverside |
3.4. 윈드러시선
구 이스트 & 사우스 런던선. 2차 세계대전 이후 영국으로 이주한 카리브 구 식민지 출신 이민자를 일컽는 윈드러시 세대에서 유래했다. 크게 아래 두 계통으로 운행한다.- 이스트 런던선 : 하이버리 & 이즐링턴/달스턴 정션 - 뉴 크로스/크리스탈 팰리스/웨스트 크로이든
런던 지하철의 이스트 런던 선을 그대로 이관받아 확장시킨 노선이다. - 사우스 런던선 : (달스턴 정션 -) 서리 키 - 클래펌 정션
이스트 런던 선의 연장으로 직결하여 운행하는 노선이다. 여담으로 배터지 파크 역 - 하이버리 & 이즐링턴 / 달스턴 정션 운행 계통이 하루에 1,2회 운행되고 있다. - O: 평시운행
- M: 월~토요일 한정운행
- S: 일요일 한정운행
- V: 달스턴 정션 방향 1일 2회 운행, 배터지 파크 1일 1회 운행
- W: 일요일 한정 하이버리 & 이슬링턴 방향만 1회 운행
구역 | 역명 | 운행계통 | 공유구간 | 환승노선[OSI] | |||||||
웨스트 크로이든 | 크리스탈 팰리스 | 뉴 크로스 | 클래펌 정션 | 배터지 파크 | 마일드메이 | 서던 | 사우스이스트 | 템즈링크 | |||
2 | 하이버리 & 이즐링턴 역 Highbury & Islington | M | O | S | W | M | |||||
캐논버리 역 Canonbury | M | O | S | W | M | ||||||
달스턴 정션 역 Dalston Junction | O | O | O | O | V | ||||||
해거스턴 역 Haggerston | O | O | O | O | V | ||||||
1/2 | 혹스턴 역 Hoxton | O | O | O | O | V | |||||
1 | 쇼디치 하이 스트리트 역 Shoreditch High Street | O | O | O | O | V | |||||
2 | 화이트채플 역 Whitechapel | O | O | O | O | V | |||||
새드웰 역 Shadwell | O | O | O | O | V | ||||||
와핑 역 Wapping | O | O | O | O | V | ||||||
로서하이트 역 Rotherhithe | O | O | O | O | V | ||||||
캐나다 워터 역 Canada Water | O | O | O | O | V | ||||||
서리 키즈 역 Surrey Quays | O | O | O | O | V | ||||||
뉴 크로스 역 New Cross | O | ||||||||||
퀸즈 로드 페컴 역 Queen’s Road Peckham | O | V | S | ||||||||
페컴 라이 역 Peckham Rye | O | V | S | T | S | ||||||
덴마크 힐 역 Denmark Hill | O | V | T | S | |||||||
클래펌 하이 스트리트 역 Clapham High Street | O | V | |||||||||
완스월츠 로드 역 Wandsworth Road | O | V | |||||||||
배터지 파크 역 Battersea Park | V | ||||||||||
클래펌 정션 역 Clapham Junction | O | ||||||||||
뉴 크로스 게이트 역 New Cross Gate | O | O | S | ||||||||
브록리 역 Brockley | O | O | S | ||||||||
3 | 아너 오크 파크 역 Honor Oak Park | O | O | S | |||||||
포레스트 힐 역 Forest Hill | O | O | S | ||||||||
시드넘 역 Sydenham | O | O | S | ||||||||
3/4 | 크리스탈 팰리스 역 Crystal Palace | O | S | ||||||||
4 | 펜지 웨스트 역 Penge West | O | S | ||||||||
애널리 역 Anerley | O | S | |||||||||
놀우드 정션 역 Norwood Junction | O | S | |||||||||
5 | 웨스트 크로이든 역 West Croydon | O | S |
3.5. 위버선
구 리 밸리선. 리버풀가 - 엔필드 타운/체스넛/칭포드 구간을 운행한다. 칭포드 착발 열차는 중간의 케임브리지 히스, 런던 필즈 역에 무정차 통과한다.
노선명은 동 노선이 지나가는 지역에 많이 거주하는 남아시아 출신 이민자들이 섬유산업에 주로 종사한 점을 기억하는 의미에서 직공을 뜻하는 영어단어 위버(weaver)에서 유래했다.
구역 | 역명 | 운행계통 | 환승노선[OSI] | ||
엔필드 타운 | 체스넛 | 칭포드 | |||
1 | 리버풀가 역 Liverpool Street | O | O | O | |
2 | 베스널 그린 역 Bethnal Green | O | O | O | |
케임브리지 히스 역 Cambridge Heath | O | O | |||
런던 필즈 역 London Fields | O | O | |||
해크니 다운즈 역 Hackney Downs | O | O | O | ||
레토리 로드 역 Rectory Road | O | O | |||
스토크 뉴잉턴 역 Stoke Newington | O | O | |||
3 | 스탬퍼드 힐 역 Stamford Hill | O | O | ||
세븐 시스터즈 역 Seven Sisters | O | O | |||
브루스 그로브 역 Bruce Grove | O | O | |||
화이트 하트 레인 역 White Hart Lane | O | O | |||
4 | 실버 가 역 Silver Street | O | O | ||
에드몬턴 그린 역 Edmonton Green | O | O | |||
5 | 부시 힐 파크 역 Bush Hill Park | O | |||
엔필드 타운 역 Enfield Town | O | ||||
사우스버리 역 Southbury | O | ||||
6 | 터키 가 역 Turkey Street | O | |||
7 | 시어볼즈 그로브 역 Theobalds Grove | O | |||
8 | 체스넛 역 Cheshnut | O | |||
2/3 | 클랩턴 역 Clapton | O | |||
3 | 세인트 제임스 가 역 St. James Street | O | |||
월섬스토 센트럴역 Walthamstow Central | O | ||||
4 | 우드 가 역 Wood Street | O | |||
하이앰즈 파크 역 Highams Park | O | ||||
5 | 칭포드 역 Chingford | O |
3.6. 리버티선
구 롬퍼드 ~ 업민스터선. 롬퍼드 - 업민스터 구간 단일 계통을 운행한다. 노선이 운행하는 헤이버링 지역 주민의 독자성과 런던 시민들의 자유에 대한 추구를 기념하고자 정했다고 설명하였는데, 좀 더 자세히 파고들어가면 과거 왕실 직속 장원(Royal Liberty of Havering)가 있었던 점에서 유래하였다.
크로스레일 롬퍼드 역과 디스트릭트선 업민스터 역(내셔널 레일은 공통)을 이어주는 노선이다. 중간에 끼인 에머슨 파크 역은 이용객 수가 하루 842명으로 오버그라운드 전체에서 가장 적다.
구역 | 역명 | 환승노선[OSI] |
6 | 롬퍼드 역 Romford | |
에머슨 파크 역 Emerson Park | ||
업민스터 역 Upminster |
[1] 2012년[2] 위치가 좀 다르긴 하지만 런던 지하철 이스트 런던 선 쇼디치 역 시절에는 2구역에 속했었다.[3] 1·2구역 중첩[4] North London line의 franchise를 다른 데 주지 않고 직접 TfL이 프랜차이즈를 주는 것이다. 영국의 철도 교통은 대처 정부의 철도 민영화 이후로 각 노선을 일정 주기별로 입찰에 부쳐 민간 업체에게 운영권을 주는 방식으로 굴러가고 있다.[5] 독일철도공사 도이치반의 100% 자회사로 영국 각지에서 철도와 버스 사업을 하고있다. 로고아래쪽에 "A DB Company"라고 써둠으로써 대놓고 독일철도공사의 자회사임을 드러내놓고 다니고 있다.[6] 여자 유로 2022에서 우승한 잉글랜드 여자 축구 대표팀의 명칭이다. 축구와 관련된 이름인 만큼 웸블리를 지나가는 구간에 이 이름이 붙었다.[7] 노선별로 리버티선(짙은 회색)-주빌리선(밝은 회색/은색), 라이어네스선(진노랑)-서클선(밝은 노랑), 마일드메이(진한 하늘색)-빅토리아선(밝은 하늘색), 서프러제트선(밝은 녹색)-디스트릭트선(짙은 녹색), 위버선(옅은 자주색)-메트로폴리탄선(짙은 자주색), 윈드러시선(선홍색)-센트럴선(밝은 붉은색)[8] 여담이지만, Terminal Railways에 오버그라운드 도색 차량이 있다.[9] 신호장비, 급전방식 등[10] 다이애나 비도 당시 이 병원을 방문해 의료진과 환자들을 격려하기도 했다.[OSI] 괄호 안에 있는 역명은 OSI제도를 통해 오이스터로 환승이 가능한 경우. 서울 지하철의 간접환승이랑 비슷한 제도이다.[OSI] [OSI] [OSI] [OSI] [OS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