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46:03

완주군/정치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완주군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완주군·진안군·무주군
,
,
,
,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24694>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군산시 CI.svg
군산시
파일:김제시 CI.svg
김제시
파일:남원시 CI.svg
남원시
파일:익산시 CI.svg
익산시
파일:전주시 CI.svg
[[전북특별자치도청|
도청
]] 전주시
파일:정읍시 CI.svg
정읍시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파일:고창군 CI.svg
고창군
파일:무주군 CI.svg
무주군
파일:부안군 CI.svg
부안군
파일:순창군 CI.svg
순창군
파일:완주군 CI.svg
완주군
파일:임실군 CI.svg
임실군
파일:장수군 CI.svg
장수군
파일:진안군 CI.svg
진안군
}}}}}}}}}

1. 선거구 정보

파일:완주군 CI.svg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rowcolor=#ffffff> 구분 선거구명 지역
<colbgcolor=#009933><colcolor=#ffffff> 국회의원 완주군·진안군·무주군 완주군 전역 + 무주군, 장수군 전역
도의원 완주군1 삼례읍, 상관면, 이서면, 소양면, 구이면
완주군2 봉동읍, 용진읍, 고산면, 비봉면, 운주면, 화산면, 동상면, 경천면

2. 개요

김태식 전 의원이 5선을 하면서 국회부의장을 역임한 지역이다. 2000년대 후반부터는 봉동읍의 개발로 인해 인구가 저점을 찍고 다시 증가하는 중이지만 자체적으로 단독 선거구를 조성하기엔 다소 모자라며,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부터는 무주군, 장수군, 진안군과 함께 무려 4개 지역과 엮여 선거구를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로 지역구 의원이었던 최규성이 전주시와의 통합에 소극적이라는 비판도 존재했다.

전주시의 영향을 가장 강하게 받는 지역이라서 오래 전부터 전주시의 민심을 따라가는 지역이었다. 1963년 제5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가 50.73%, 신민당 윤보선 후보 39.17%로 박정희가 승리했으나, 1967년 제6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윤보선 후보 52.12%, 박정희 후보 38.28%로 앞 결과가 뒤집혔다. 둘 모두 전라북도의 결과와 일치했다. 제6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신민당이 집권 여당을 앞섰지만, 동시기에 치러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 최영두 후보가 41.3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대통령 선거는 야당, 국회의원 선거는 여당을 지지하는 구도는 4년 뒤에도 이어져, 1971년 제7대 대통령 선거에서 40대 기수론을 들고 나온 김대중 후보 60.16%, 박정희 전 대통령 36.43%으로 큰 차이가 났지만, 동시기에 치러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 류범수 후보가 53.68%를 얻어 과반수로 당선되었다. 이처럼 당시에는 여야 중 한쪽의 편에 일방적으로 서지 않는 캐스팅보트 지역이었다.

이후 1987년 6.10 민주 항쟁으로 민주화가 이뤄지면서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가 83.76%,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평화민주당 김태식 후보가 64.15%를 받은 것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민주당에 대한 압도적인 지지가 꾸준히 이어져 오고 있다. 그 와중에 민주당계 정당이 둘로 갈라진 시기에는 당시 전라북도 민심이 가지고 있던 평균적인 대세를 그대로 따라가는 경향을 보였다. 노무현 대통령 탄핵소추 및 심판의 역풍이 불었던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최규성 후보 54.71%, 새천년민주당 오홍근 후보 10.22%로 여당이 압승을 했고, 비례에서는 무려 66.31% : 10.19%로 더 큰 격차가 벌어졌다. 그러나 열린우리당 지지율이 크게 떨어진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와서는 그 격차가 현격히 줄어들었는데, 당시 여당이 유일하게 이긴 지역이 전라북도이었던 만큼 전라북도지사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김완주 후보가 46.95%를 얻어 민주당 정균환 후보(38.00%)를 8.95% 차로 꺾었지만, 완주군수 선거에서는 민주당 임정엽 후보가 52.32%를 얻어 열린우리당 최충일 후보(47.67%)에게 신승했다.

2007년 두 당이 대통합민주신당으로 합당한 이후에는 민심 이탈이 두드러지게 나타나 무소속 돌풍이 거세게 불어 민주당 : 무소속 1:1 경합이 벌어졌다. 특히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그러한 경향이 두드러졌는데, 당시 무소속이었던 박성일 후보가 21,740표(50.21%)를 얻어 새정치민주연합 국영석 후보의 21,551표(49.78%)를 불과 189표차로 꺾고 당선되는 이변을 일으켰다. 이 선거에서 전라북도의 시장/군수 결과는 새정치민주연합 7:7 무소속이 나와 언론에서도 완주군의 반 민주당 정서를 주목할 정도였다. 결국 이듬해 민주당계 정당은 다시 분열되었고,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에게 참패했다. 더불어민주당 안호영 후보(21,590표, 43.50%)가 국민의당 임정엽 후보(25,094표, 50.56%)에게 밀렸다. 그러나 무진장 지역에서 안호영 후보가 임정협 후보에게 승리하여 최종적으로는 안호영 후보가 국회에 입성했다.

이듬해인 2017년박근혜 대통령 탄핵으로 인해 재보궐선거로 치러진 19대 대선에서는 결과가 뒤집혔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 41.057표(65.97%), 안철수 후보 13,897표(22.33%)로 더블 스코어로 더불어민주당이 압승했다. 안철수 후보는 텃밭으로 여겨진 이곳보다 이웃한 충청남도 논산시, 부여군, 금산군에서 득표율이 높았을 만큼 표를 받지 못했다. 특히 젊은 유권자가 많은 봉동읍에서는 20%조차 넘지 못했다. 문재인 후보는 최북단 운주면(57.42%)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60%를 돌파했고, 비봉면에서는 무려 69.79%, 봉동읍에서는 47.87%로 최대치의 격차를 보였다.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는 이곳에서 3.38% 득표율로 4위를 기록했지만, 고산권의 운주면과 동상면에서 8% 이상의 득표율을 얻어 충청남도와 인접한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3. 역대 선거 결과

파일:완주군 CI.svg 완주군 국회의원 선거 결과
완주군
13대

[[평화민주당|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
김태식 재선
14대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3선
15대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4선
완주군·임실군
16대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김태식 5선
김제시·완주군
17대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최규성 초선
18대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재선
19대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3선
완주군·진안군·무주군·장수군
20대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안호영 초선
21대 재선
완주군·진안군·무주군
22대
파일:zsdkl3gasdg.svg
안호영 3선

||<-5><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9933><tablebg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color=#000000,#dddddd> 파일:완주군 CI.svg 역대 완주군수 선거 결과 ||
1995 1998 2002 2006 2010
민주당 새정치국민회의 새천년민주당 민주당 민주당
임명환 최충일 임정엽
2014 2018 2022
무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성일 유희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주요 후보 득표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구분 주요 후보 득표율
1995년 1위: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임명환 64.07%

2위: 최충일 35.92%
1998년 1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임명환 58.81%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이돈승 41.18%
2002년 1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최충일 40.90%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이돈승 32.20%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임명환 26.89%
2006년 1위:

[[민주당(2005년)|
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 임정엽 52.32%

2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최충일 47.67%
2010년 1위: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임정엽 60.57%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이길용 16.75%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김배옥 16.49%
2014년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박성일 50.21%

2위: 국영석 49.78%
2018년 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성일 76.83%

2위: 박재완 23.16%
2022년 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유희태 40.89%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국영석 35.82%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송지용 23.28%
}}}}}}}}}

3.1. 지선

8회 지선 완주군 개표 결과
전라북도지사 선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 투표율
후보 김관영 조배숙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32,573
(82.01%)
7,144
(17.98%)
+ 25,429
(△64.03)
52.54%
완주군수 선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무소속(정치)|
무소속
]]
격차 투표율
후보 유희태 국영석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6,329
(40.89%)
14,306
(35.82%)
+ 2,023
(△5.07)
52.54%

3.2. 대선

3.2.1. 제19대 대통령 선거

완주군
완주군 일원[완주]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후보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유승민 심상정
득표수 41,057 2,107 13,897 1,515 3,306
득표율 65.97% 3.38% 22.33% 2.43% 5.31%
순위 1위 4위 2위 5위 3위
선거인 수 78,249
투표 수 62,470
무효표 수 240
투표율 79.83%
19대 대선 전북 완주군 개표 결과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 투표율
후보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유승민 심상정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41,057
(65.97%)
2,107
(3.38%)
13,897
(22.33%)
1,515
(2.43%)
3,306
(5.31%)
+27,160
(△43.64)
79.83%
삼례읍 65.10% 2.95% 25.10% 2.08% 4.39% △40.0 72.95
봉동읍 67.71% 3.0% 19.84% 2.50% 6.61% 47.87 79.11
용진읍 63.70% 2.81% 25.98% 2.01% 4.87% △37.72 76.09
상관면 63.47% 3.80% 25.13% 2.42% 4.45% △38.34 75.69
이서면 68.23% 2.84% 20.69% 2.61% 5.16% △47.54 79.75
소양면 67.49% 3.88% 21.81% 2.08% 3.83% △45.68 75.22
구이면 60.46% 3.08% 29.58% 1.67% 4.37% △30.88 77.57
고산면 67.62% 2.99% 23.14% 1.25% 4.18% △44.48 79.44
비봉면 69.29% 2.41% 22.05% 2.05% 3.04% △47.24 74.31
운주면 57.42% 8.89% 26.75% 2.04% 3.67% △30.67 74.50
화산면 68.35% 3.64% 22.57% 1.15% 3.26% △45.78 73.50
동상면 60.82% 8.05% 25.04% 0.54% 3.58% △35.78 73.68
경천면 65.54% 5.77% 23.63% 1.41% 3.09% △41.91 80.56
후보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유승민 심상정 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 61.45% 5.62% 23.69% 2.81% 2.41% △37.76
관외사전투표 65.46% 3.82% 19.40% 3.99% 7.03% △46.06
재외투표 72.18% 3.23% 9.27% 2.82% 12.10% 60.08

3.2.2. 제20대 대통령 선거

완주군
완주군 일원[완주]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후보 이재명 윤석열
득표수 52,862 8,443
득표율 83.89% 13.39%
순위 1위 2위
선거인 수 78,117
투표 수 63,481
무효표 수 472
투표율 81.26%
제20대 대통령 선거 전라북도 완주군 개표 결과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
후보 이재명 윤석열
득표수
(득표율)
52,862
(83.89%)
8,443
(13.39%)
42,419
(▲70.50)
삼례읍
85.66% 11.94% ▲73.72
봉동읍
84.49% 12.59% ▲71.90
용진읍
84.61% 13.06% ▲71.55
상관면
84.57% 12.57% ▲72.00
이서면
83.19% 13.88% ▲69.31
소양면
86.72% 11.09% ▲75.63
구이면
84.58% 13.32% ▲71.26
고산면
87.52% 9.93% ▲77.49
비봉면
86.38% 11.25% ▲75.13
운주면
74.34% 22.26% ▲52.08
화산면
83.69% 13.37% ▲70.32
동상면
83.57% 13.39% ▲70.18
경천면
80.16% 15.98% ▲65.18
후보 이재명 윤석열
거소·선상투표
78.80% 15.20% ▲63.60
관외사전투표
80.71% 16.42% ▲74.29
국외부재자투표
80.32% 15.96% ▲74.36
국회의원
선거구별
이재명 윤석열 격차
완주군·진안군·무주군·장수군[3][A][5] 83.54% 13.74% ▲69.80

3.3. 총선

3.3.1. 완주군

3.3.2. 완주군·임실군

3.3.3. 김제시·완주군

3.3.4. 완주군·진안군·무주군·장수군

21대 총선 완주군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완주군·진안군·무주군·장수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무소속(정치)|
무소속
]]
격차 투표율
후보 안호영 임정엽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8,573
(53.72%)
22,440
(42.18%)
+ 6,133
(△11.53)
54,010
(69.14%)
삼례읍 58.72% 37.28% △21.43 62.37%
봉동읍 48.45% 48.01% △0.44 65.08%
용진읍 44.09% 53.11% ▼9.02 67.41%
상관면 55.27% 40.22% △15.05 66.46%
이서면 65.69% 29.25% △36.45 63.18%
소양면 51.37% 44.19% △7.18 65.97%
구이면[6] 43.66% 53.96% ▼10.31 70.11%
고산면 50.47% 46.12% △4.35 72.03%
비봉면 47.35% 49.53% ▼2.18 72.65%
운주면 46.23% 46.15% △0.08 72.16%
화산면 45.52% 50.47% ▼4.95 70.40%
동상면 39.29% 57.54% ▼18.25 70.70%
경천면 45.65% 49.93% ▼4.28 79.93%
후보 안호영 임정엽 격차
거소·선상투표 65.00% 25.41% △39.58
관외사전투표 65.16% 29.62% △35.53
재외투표 75.00% 6.25% △56.25[7]

3.3.5. 완주군·진안군·무주군

3.3.6. 비례대표

3.3.6.1.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선거
정당

[[미래한국당|
파일:미래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격차 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2,890
(5.66%)
27,723
(54.33%)
6,989
(13.69%)
2,028
(3.97%)
4,449
(8.71%)
+ 20,734
(△40.64)
54,022
(69.14%)
삼례읍 5.34% 57.14% 12.85% 3.78% 8.26% △44.28 62.39%
봉동면 5.04% 53.78% 15.28% 4.31% 8.93% △38.49 65.09%
용진읍 5.11% 56.06% 12.30% 2.95% 8.41% △43.77 67.41%
상관면 5.93% 58.08% 11.13% 4.25% 8.46% △46.94 66.46%
이서면 5.86% 54.05% 14.89% 4.53% 9.31% △39.16 63.20%
소양면 6.04% 57.96% 10.27% 3.58% 8.24% △47.69 65.97%
구이면 5.07% 52.01% 13.57% 4.12% 7.84% △38.44 70.11%
고산면 4.77% 55.47% 13.68% 2.94% 8.22% △41.80 72.03%
비봉면 4.68% 51.30% 16.02% 2.88% 6.39% △35.28 72.65%
운주면 11.76% 52.65% 9.64% 3.53% 4.77% △40.89 72.21%
화산면 5.88% 52.26% 12.70% 2.01% 7.53% △39.55 70.45%
동상면 8.35% 52.81% 14.19% 2.29% 6.26% △38.62 70.70%
경천면 7.63% 53.30% 12.62% 1.76% 7.34% △40.68 79.82%
정당

[[미래한국당|
파일:미래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격차
거소·선상투표 9.95% 49.35% 7.79% 6.49% 5.62% △39.39
관외사전투표 6.03% 50.89% 14.94% 5.03% 11.15% △35.95
재외투표 20.00% 51.42% 0% 2.85% 11.42% △31.43
3.3.6.2.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선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연합 흰색 로고 여백.svg
격차 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20,165
(36.32%)
4,649
(8.37%)
989
(1.78%)
26,069
(46.96%)
-5,904
(▼10.64)
57,863
(67.82%)
삼례읍 38.38% 7.95% 1.79% 45.36% ▼6.98 61.48%
봉동읍 37.64% 8.03% 1.67% 46.62% ▼8.98 62.20%
용진읍 35.82% 7.66% 1.67% 48.86% ▼13.04 63.09%
상관면 37.27% 9.14% 1.60% 45.63% ▼8.36 65.21%
이서면 33.59% 8.30% 2.04% 49.14% ▼15.55 62.22%
소양면 36.22% 8.85% 1.37% 46.44% ▼10.22 66.71%
구이면 32.38% 9.44% 1.60% 49.12% ▼16.74 68.04%
고산면 36.08% 7.16% 0.97% 48.26% ▼12.18 73.09%
비봉면 35.04% 7.63% 1.20% 48.59% ▼13.55 71.27%
운주면 38.71% 17.01% 1.29% 36.82% △1.89 67.41%
화산면 41.13% 8.56% 1.49% 42.94% ▼1.81 67.86%
동상면 38.50% 8.69% 0.23% 45.31% ▼6.81 63.75%
경천면 42.70% 10.32% 1.11% 38.57% △4.13 74.80%
정당
파일:더불어민주연합 흰색 로고 여백.svg
격차
거소·선상투표 51.96% 8.94% 2.23% 24.02% △27.94
관외사전투표 34.09% 8.23% 2.59% 48.73% ▼14.64
재외투표 35.79% 13.68% 2.11% 43.16% ▼7.37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1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1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완주] [완주] [3] 완주군 일원, 진안군 일원, 무주군 일원, 장수군 일원.[A] 관외투표 제외.[5] 지역구 국회의원 : 안호영 (더불어민주당, 재선).[6] 임정엽 후보의 고향.[7] 재외투표 2위는 미래통합당 김창도 후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