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의 (2007) ぼくらの | |||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장르 | 거대로봇, SF | |
원작 | 키토 모히로 | ||
감독 | 모리타 히로유키 | ||
부감독 | 카와바타 에루킨 | ||
연출 치프 | 야기누마 카즈요시1~13화 | ||
캐릭터 디자인 | 코니시 켄이치 | ||
메카니컬 바이저 | 스즈키 츠토무(鈴木 勤) | ||
미술 감독 | 이케다 시게미(池田繁美) | ||
미술 설정 | 이케다 시게미 오오쿠보 슈이치(大久保修一) | ||
색채 설계 | 이이지마 카에(飯島孝枝) | ||
촬영 감독 | 후지타 켄지(藤田賢治) | ||
3D 감독 | 오오노 카츠히사(大野克尚) | ||
편집 | 히로세 키요시(廣瀬清志) | ||
음향 감독 | 아케타가와 진 | ||
음악 | 노미 유지 | ||
프로듀서 | 나가이 오사무(永井 理) 난바 히데유키(難波秀行) | ||
애니메이션 제작 | 곤조 | ||
제작 | 이즈미 프로젝트(イズミプロジェクト) | ||
방영 기간 | 2007. 04. 09. ~ 2007. 09. 25. | ||
방송국 | 선 텔레비전 / (월) 01:30 →도쿄 MX, tvk / (화) 23:00 | ||
편당 러닝타임 | 24분 | ||
화수 | 24화 | ||
시청 등급 | 정보 없음 | ||
관련 사이트 |
[clearfix]
1. 개요
조종하면 죽는다, 그것이 게임의 룰.
- 본작의 캐치프레이즈
- 본작의 캐치프레이즈
"그때 최고의 현실이 저편에서 만나러 온 건 우리들의 존재는 이렇게나 단순하다고 비웃으러 온 거야"
"이 별의 무수히 많은 먼지 중 하나라는 걸 지금의 나로서는 이해할 수 없어"
"두려움을 모르는 전사처럼 행동할 수밖에 없어"
- OP 테마 언인스톨(アンインストール) 중에서
"이 별의 무수히 많은 먼지 중 하나라는 걸 지금의 나로서는 이해할 수 없어"
"두려움을 모르는 전사처럼 행동할 수밖에 없어"
- OP 테마 언인스톨(アンインストール) 중에서
키토 모히로의 만화 지어스의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모리타 히로유키.
애니메이션화는 곤조에서 담당, 2007년 4월 8일에서 9월 25일까지 19세 관람가로 방영되었다. 애니메이션의 경우 총 25화 완결이며, 24화 + 1편[1]으로 구성되어 있다.
애니판 성우들이 꽤 초호화이다. 일찍 사망하는 캐릭터를 맡은 성우일수록 더 유명한 성우 같다는 의견도 있다.[2] 게다가 이 작품 이후 유명해진 성우도 주연부터 조단역까지 많이 출연하고 있는지라 지금 보면 더욱 비싸 보인다. 열거하자면 이노우에 마리나, 나카무라 유이치, 토마츠 하루카, 혼다 요코, 이구치 유카, 아사누마 신타로, 아스미 카나가 여기에 포함된다.
2. 특징
영상화 과정에서 원작의 노골적인 표현, 연출, 뭣보다도 내용[3]을 그대로 담아내기엔 다소 무리가 있었던 관계로 다소간의 수정이 가해졌다.애니메이션 감독 모리타 히로유키는 원작의 지나친 암울함을 꺼려 공식적으로 원작은 싫어한다고 발언했고 방영초기엔 "아이들을 살리는 방향으로 전개해나갈 수 있겠는가"라며 원작가에게 문의했지만 "마법만 사용하지 않으면 좋아요"라는 식으로 완곡한 부정의 대답을 받아 원작의 기본설정은 따르겠지만 스토리는 바꾸겠는 점에서 합의했다고 한다.
당 애니메이션이 고평가를 받아야 할 점은 전체적으로 영상화 과정상 나름 원작이 가지던 극단성이 적절한 어레인지가 있으면서도 그것이 단순한 수위의 조절을 넘어 적정선에서 이야기의 설득력을 강화 보완하는 일면이 있었단 것이다.[4][5] 밝아진 작품 분위기나 전개는 이 과정중 수반된 부차적 산물이다.
방영 당시 그림체가 단순하고 로봇 액션이 열악한 모델링의 3D라 그다지 주목을 받지 못했으나 스튜디오 지브리 출신 애니메이터와 디지털로 작화를 하는 WEB계 애니메이터가 많이 참여해서 훗날 작화로 재조명이 된 작품이다. 인간적인 움직임이나 인간 캐릭터들의 연기, 이펙트 표현이 뛰어나니 그런 것에 중점을 두고 보면 좋다. 야마시타 신고, 쿠츠나 켄이치, 료치모, 쿠리타 신이치, 나츠메 신고, 오시야마 키요타카 같은 디지털 작화 전문 애니메이터들이 모여 작업한 23화가 유명하다. 이렇게 된 데는 당시 제작진행 중 한 사람이 이제 시대는 디지털 작화라면서 인터넷을 수소문해서 디지털 작화가 가능한 애니메이터만 잔뜩 끌어왔다고 한다. 그런데 당시에는 반응이 굉장히 안 좋았다고 한다. [6] 모리타 히로유키 감독은 원래 이런 작화로 작품을 만들 생각은 없었기 때문에 이들이 그림을 그렸을 때 "좀 제대로된 선으로 그려라." 하고 작화감독인 나츠메 신고를 혼내기도 했다고 한다. 하지만 젊은 애니메이터의 폭주와 열정에 눌려 포기하고 맘대로 하라고 풀어줬다고 한다.
덕분에 만화책에 비해 그나마 암울함과 우울함이 줄었지만 여전히 충격적인 내용이라, 우울한 애니메이션 리스트에 빠짐없이 등장한다.
모리타 감독의 원작이 싫다 발언 때문에 원작 팬들은 감독을 맹비난하고 "지어스는 애니메이션이 나온 적이 없다." 라는 말을 공공연히 할 정도로 이 작품을 부정한다. 오죽하면 원작 팬들은 이 애니를 원제인 '보쿠라노'가 아니고 '모리타노'라고 한다. 상술했지만 오리지널 전개가 여러모로 원작 전개에 비하면 딸려서 이에 대한 비판도 있다.
그러나 애니메이션의 완성도는 괜찮아서 애니메이션을 좋아하는 팬층도 존재한다. 원작과 다른 내용으로 만든 애니메이션은 많기 때문에 감독이 원작이 싫다는 발언만 안 했어도 원작과는 또 다른 재미있는 애니메이션으로 받아들여질 수도 있었는데 감독의 말실수가 큰 문제였다. 모리타 히로유키는 이 발언에 대해 자신이 어리석었다며 팬 여러분에게 죄송하다고 한다. #
DVD판으로 출시되면서 작화 수정이 많이 이루어졌는데 감독 모리타 히로유키가 직접 했다고 한다. 일단 감독은 만족하는 작품이라면서 여러 사람들에게 추천하고 있다.
3. 등장인물
3.1. 주역
- 1st Pilot - 와쿠 타카시
- 2nd Pilot - 코다카 마사루
- 3rd Pilot - 카코 이사오
- 4th Pilot - 혼다 치즈루
- 5th Pilot - 야무라 다이이치
- 6th Pilot - 나카라이 마코
- 7th Pilot - 모지 쿠니히코
- 8th Pilot - 아노 마키
- 9th Pilot - 키리에 요스케
- 10th Pilot - 토코스미 아이코
- 11th Pilot - 코모다 타카미
- 12th Pilot - 요시카와 칸지
- 13th Pilot - 마치 요코
- Last Pilot - 우시로 쥰
- Extra - 우시로 카나
3.2. 조역
4. 주제가
오프닝곡 언인스톨이 상당한 명곡이고 니코니코 조곡에도 실리는등 유명하기 때문에 원작 만화 대신 애니메이션으로 우리들의를 먼저 접하는 경우도 많다. 오리콘 챠트 13위에 랭크됐던 곡으로, 덕분에 니코니코 조곡에도 13번째로 들어가게된다. 일본의 싱어 송라이터인 이시카와 치아키가 see-saw에서 솔로로 전향하며 쓴 노래로 원작자인 키토 모히로가 멜로디와 가사를 듣고 보고는 극찬을 했다고 한다. 그 정도로 가사와 멜로디가 작품과 깊은 연관이 있다. (풀 버젼 기준으로 Uninstall이라는 단어가 15번 등장하는 것도 주인공 15명의 아이들을 의미한다고 많이 알려져 있지만, 이시카와 치아키 본인의 인터뷰에 의하면 이건 우연이다)오프닝 정도는 아니지만 엔딩곡도 나름 인기가 있어서, 니코니코 동화에서는 Vermillion 관련 손그림 매드가 다수 있다. 아무래도 그림이 크게 한장만 필요하기 때문에 (마치 듀라라라 ed 관련 매드처럼) 인기가 있는듯. 1기 엔딩곡 Little Bird의 경우 역으로 원작 만화에 영향을 줘서 요시카와 칸지 전에서 세키 마사미츠 대위가 죽기 직전에 흥얼거리는 곡이 이 곡이다. 소설판에서는 세키 마사미츠 대위가 2기 엔딩곡 Vermillion을 흥얼거린다.
4.1. OP
OP Uninstall | |||
TV ver. | |||
MV ver.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이시카와 치아키 | ||
작사 | |||
작곡 | |||
편곡 | 니시다 마사라(西田マサラ)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 모리타 히로유키 | |
연출 | |||
작화감독 | 사카자키 타다시(坂﨑 忠) | ||
원화 | 마츠모토 노리오, 사이 후미히데, 야기누마 카즈요시, 나츠메 신고, 아사노 나오유키, 스기에 토시하루 등 |
4.2. ED1
ED1 (1~12화) Little Bird | |||
TV ver.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이시카와 치아키 | ||
작사 | |||
작곡 | |||
편곡 | 니시다 마사라(西田マサラ)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 모리타 히로유키 | |
연출 | |||
작화감독 | 権園小夏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4.3. ED2
ED2 (13~24화) Vermillion | |||
TV ver.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이시카와 치아키 | ||
작사 | |||
작곡 | |||
편곡 | 니시다 마사라(西田マサラ)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엔딩 애니메이션 | 権園小夏, 스즈키 츠토무(鈴木 勤)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5. 회차 목록
<rowcolor=#373a3c,#dddddd> 회차 | 제목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제1화 | ゲーム 게임 | 카와사키 히로유키 | 모리타 히로유키 | 権園小夏 아사키 아키코 (朝来昭子) | 2007.04.09. | |
제2화 | ジアース 지어스 | 요구치 나츠에 (与口奈津江) | 사노 타카시 | 하야시 나오타카 (林 直孝) | 코지마 아키라 (小島 彰) | 2007.04.16. |
제3화 | 秘密 비밀 | 니시다 다이스케 (西田大輔) | 후지모리 카즈마 (藤森カズマ) | 키쿠치 카츠야 | 코바야시 토시미츠 | 2007.04.23. |
제4화 | 強さ 강함 | 야마나카 에이지 (山中英司) | 하시모토 나오토 (はしもとなおと) | 나가사카 칸지 (長坂寛治) | 2007.04.30. | |
제5화 | 弱さ 약함 | 요구치 나츠에 | 코바야시 타카시 (小林孝志) | 이이지마 히로야 (飯島弘也) 사카자키 타다시 (坂崎 忠) | 2007.05.07. | |
제6화 | 情欲 정욕 | 나무라 히데토시 (名村英敏) | 노부타 유우 | 야마나카 마사히로 (山中正博) | 2007.05.14. | |
제7화 | 傷 상처 | 카와바타 에루킨 | 나츠메 신고 | 2007.05.21. | ||
제8화 | 復讐 보복 | 코바야시 테츠야 (小林哲也) | 하타케야마 시게키 (畠山茂樹) | 츠즈쿠 류지 (都竹隆治) 와타나베 토시노리 (渡部穏寛) | 2007.05.28. | |
제9화 | 家族 가족 | 니시다 다이스케 | 세키노 마사히로 (関野昌弘) | 사사키 미와 (佐々木美和) 세키노 마사히로 | 2007.06.04. | |
제10화 | 仲間 동료 | 후지모리 카즈마 | 오카무라 마사히로 (岡村正弘) | 코지마 아키라 (小島あきら) | 2007.06.11. | |
제11화 | 命 생명 | 미하라 타케노리 | 아오키 마리코 (青木真理子) | 2007.06.18. | ||
제12화 | 血のつながり 혈연관계 | 요구치 나츠에 | 나무라 히데토시 | 키쿠치 카츠야 | 사카자키 타다시 | 2007.06.25. |
제13화 | 地球 지구 | 야기누마 카즈요시 | 하야시 나오타카 | Shuzilow.HA[7] | 2007.07.02. | |
제14화 | 迷い 망설임 | 니시다 다이스케 | 사사키 신사쿠 | 노부타 유우 | 야마나카 마사히로 무로이 야스오 (室井康雄) | 2007.07.09. |
제15화 | 自滅 자멸 | 요구치 나츠에 | 코바야시 타카시 | 나츠메 신고 | 2007.07.16. | |
제15.5화 | 追想 추억 | 총집편 | 2007.07.23. | |||
제16화 | 正体 정체 | 니시다 다이스케 | 히라오 타카유키 | 하타케야마 시게키 | 타니가와 료스케 (谷川亮介) 와타나베 토시노리 | 2007.07.31. |
제17화 | 情愛 사랑 | 요구치 나츠에 | 야마시타 유우 (山下 祐) | 게시 타카히로 (下司康弘) | 코지마 아키라 사사키 미와 | 2007.08.07. |
제18화 | 現実 현실 | 후지모리 카즈마 | 아와이 시게노리 (粟井重紀) | 하타노 요시츠구 (秦野好紹) | 2007.08.14. | |
제19화 | 母 어머니 | 니시다 다이스케 | 카와바타 에루킨 | 코바야시 타카시 | Shuzilow.HA | 2007.08.21. |
제20화 | 宿命 숙명 | 오오치 케이이치로 (大知慶一郎) | 세키노 마사히로 | 미쿠리야 쿄스케 | 사토 미치오 (佐藤道雄) 아메미야 히데오 (雨宮英雄) | 2007.08.28. |
제21화 | 真相 진상 | 요구치 나츠에 | 사사키 신사쿠 | 노부타 유우 | 코바야시 토시미츠 | 2007.09.04. |
제22화 | 道程 거리 | 니시다 다이스케 | 후지모리 카즈마 | 하타케야마 시게키 | 와타나베 토시노리 타니가와 료스케 | 2007.09.11. |
제23화 | 雪景色 설경 | 오오치 케이이치로 | 오오하시 요시미츠 | 하야시 나오타카 | 나츠메 신고 무로이 야스오 | 2007.09.18. |
제24화 | 物語 이야기 | 요구치 나츠에 | 모리타 히로유키 카와바타 에루킨 | 아사키 아키코 와타나베 준코 (渡辺純子) | 2007.09.25. |
- 에피소드별 파일럿
참고로 아이캐치를 할때마다 15명의 주역들이 이 애니메이션의 제목을 읆조리는데 에피소드가 갈 수록 점점 제목을 말하는 인원이 줄어든다.[8]
6. 원작과의 차이점
영상화와 상업성을 위해 순화되었지만 주된 내용은 변하지 않았다. 메카의 디자인도 몇개의 경우 바뀌었는데, 주로 3D 작업을 통해 구현하기 힘든 디자인들이 강판당했다. 개중엔 만화책보다 개성있는 디자인이 있는가 하면 떨어지는 디자인들도 존재한다. 초반 중반에 파일럿의 순서가 바뀌는 등[9]의 변화를 빼고는 만화책의 내용을 따라가다가 중반 키리에 요스케 전戰을 분기점 삼아 이후에 들어서는 완전한 독자 노선을 탄다.- 강하게 연상하면 탑승자는 지어스 내부로 이동, 평상시에도 코에무시와 개인적인 대화가 가능하다는 설정이 추가되었다.
- 차기 순번 탑승자의 몸에 표식이 생겨 원작의 "그냥 저절로 알게 되었다"는 설정을 대신한다.[10]
- 원작에서 그 발광이 유별날 정도로 심한 카코의 탑승 순번을 5번에서 3번으로 이동시켜 그 공포반응이 납득이 가도록 합리성을 부여했다.[11]
- 사망한 와쿠의 폐에서 포말이 발견되지 않아 아이들을 수상히 여긴 정부가 그들을 조사/납치했다. 는 설정을 대신해 조사/관련자 탐문중 자백을 얻는다. 는 변형이 가해진다.
- 차기 순번 탑승자의 몸에 표식이 생겨 원작의 "그냥 저절로 알게 되었다"는 설정을 대신한다.[10]
- 원작에서 그 발광이 유별날 정도로 심한 카코의 탑승 순번을 5번에서 3번으로 이동시켜 그 공포반응이 납득이 가도록 합리성을 부여했다.[11]
- 사망한 와쿠의 폐에서 포말이 발견되지 않아 아이들을 수상히 여긴 정부가 그들을 조사/납치했다. 는 설정을 대신해 조사/관련자 탐문중 자백을 얻는다. 는 변형이 가해진다.
또한 위와 같은 의외로 설정 혹은 내용상 소소한 부분에서 세심한 수정이 이뤄진 부분들이 더러 눈에 띄는데, 이는 원작에서 다소 미흡했던 점에 대한 보완에 가깝다.
애니의 오리지널 설정으로 등장하는 흑막은 일종의 절대적[12] 존재로 막대한 에너지를 얻기 위해 싸움을 시킨다고 후반부에 언급된다 그 이상의 상세한 정보는 나오지 않는다.
만화의 경우 의지가 개입된게 아닌 일종의 자연현상이라고 설명된다(코에무시의 의견).[13]
결말부에서 일말의 희망 등을 남기는 전개로 끝을 맺었다. 이는 애니메이션 제작 감독이 공식적으로 이 작품의 안티를 자처하고 원작가를 대놓고 까면서 차별화 하겠다고 선언하여 결말을 이런식으로 낸것이다. 결말 때문에 애니메이션판을 선호하는 일도 있다.
허나 이렇게 선언했음에도 원작 팬들이 등을 돌려 판매량은 초동 1000장도 못 채우는 대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게다가 원작의 노선을 완전히 거스르는 결말 때문에 애니판 감독은 원작 팬들에게 공공의 적 취급을 받는다.
제일 크게 비판받는 부분은 코에무시 관련 전개. 원작 코에무시는 상당히 입체적인 캐릭터인데, 평면적이고 찌질한 악당으로 해석해버려 캐릭터를 잘 살린 이시다 아키라 목소리 말고는 건질 게 없다는 평이 많다. 코에무시를 큐베나 기타 사악한 마스코트랑 억지로 엮이게 된 계기를 제공한 해석이라, 원작 팬들은 상당히 싫어한다. [14] 이외 뜬금없고 재미없는 야쿠자 미화 서브플롯도 주 비판 대상으로 꼽힌다. 애니판에서는 타나카 미스미 전 남편이 야쿠자 향쟁을 무혈로 무마시킨 걸로 유명했지만 아끼던 동생의 복수를 위해 죽은 야쿠자인데 그런 주제에 28세에 미성년자인 타나카랑 결혼했다는 설정이다. 원작에서도 타나카 미스미가 옛날에 불량했다는 설정이긴 했지만 지나치게 과한데다 미화 냄새를 풀풀 풍기는 설정이었고 [15] 설상가상으로 이들이 나오는 화는 본편과 관계없는 재미없는 개그 에피소드라 방영 당시에도 뭐하는 오리지널 전개냐고 까였다.
또한 원작의 주제 의식은 '신은 풀리지 않은 수식이다'로 정리 가능한 이신론 내지는 무신론적인 관점이 강한데, 감독이 멋대로 흑막을 암시해 주제 의식이 흐려졌다는 게 중론. 이러다 보니 모리타 히로유키가 DJ 소다 성추행 사건에 대한 2차 가해 발언을 했을때나 섹시 다나카 씨로 원작 파괴 논란이 되었을 때 원작 팬덤 사이에서 '원작 파괴작'으로 다시 소환되어 까이기도 했다.
결국 곤조가 말아먹은 수많은 작품 중 하나로 남게 되었다. 그나마 이 애니판 때문에 원작과 키토 모히로의 인지도가 올라갔다는게 유일한 성과일듯.
7. 기타
- 감독이 원작의 안티를 자처하며 오리지널리티를 강조하였다 하더라도 전체적 프레임은 원작에 많이 기반한다. 설정뿐만 아니라 플롯도 그러한데, 원작가가 개입은 하지 않되 지원에 공을 들인 부분이 여럿 있어 그 사례를 들면 이렇다.
- 원작에 예비된 플롯이되 밝혀지지 않은 내용이 미리 공개[16]
- 원작에서 탈락된 기체디자인이 애니메이션에서 사용
이처럼 중요도가 몹시 높은 플롯이 원작에서 다뤄지기 이전에 애니메이션에 투입돼 소진되었고 원작은 이후 그 추진력을 많이 상실하고 만다.[17] 짐작컨대 앞으로 원작 전개상에 구현될 각종 구상이 미리 애니메이션 상에서 사용되어 버렸거나 그것을 내용전개상에서 노출할 기점을 아니메와 차이를 두기 위해 역으로 원작의 플롯을 대대적으로 개편한 흔적으로 짐작만 될 뿐이다.
때문에 만화영화가 아니었더라면 원작에서 등장인물들의 행보는 이렇게 흘러갔을 것이다-,고 생각해보면서 원작과 애니메이션판의 차이점을 대조해 들여다보면 묘한 감이나 재미를 느낄 수 있다.
- 애니메이션 방영 당시 공식 홈페이지에서 ORERA라는 이름으로 작중 세계의 잡지인척 하며 전개를 반영한 뉴스나 실제 제작진/성우 인터뷰가 올라오는 참신한 홍보를 하기도 했다. 압권은 작중 세계에서 활동 중인 그라비아 아이돌 인터뷰로 본편과 전혀 상관없는 내용의 인터뷰에다 미소녀 그림을 그려서 올렸다. 심지어 세상이 멸망 직전까지 가던 후반부 전개에도 ORERA 걸즈 총집편 같은 약을 빤 뉴스를 올리기도 했다. (...) http://www.gonzo.co.jp/archives/orera/back.html
[1] 15.5화 - 코에무시가 내레이션을 맡아 1쿨의 내용을 요약하여 설명하는 줄거리의 총집편.[2] 몸값 비싼 성우가 맡은 캐릭터가 오래 살면 그만큼 돈이 더 많이 나가니까(...)[3] 매춘, 교사의 학생 강간, 성폭행을 통한 임신, 미성년의 의도적 살인, 근친상간 및 폭행에 대한 망상, 리스트 컷 자살미수 후 폐인 생활을 하는 인물 등[4] 다만 칸지의 에피소드에 진입하여 과학자인 칸지의 어머니, 지어스의 창조자, 지어스 프로그램 등 원작에 그 기반이 전무한 떡밥을 무절제하게 배치하고선 이 과가 공을 덮어 그 빛을 완전히 상실했다.[5] 원작가의 참여가 엿보이는 부분, 아니메가 원작 전개를 따라잡아 오리지널 전개로 접어든 이후 순식간에 개연성과 추진력을 상실한 점에서 미루어 이 성과는 순수하게 각본가와 감독 자신의 기량은 아니다.[6] 나중에야 다들 그림 실력이 늘어서 잘 그리지만 당시의 WEB계 애니메이터들은 움직임 연구에만 열성적이라서 얼굴을 예쁘게 그리는 사람이 흔치 않았다. 즉 못생겼다는 항의를 받은 것이다.[7] 하마카와 슈지로(濱川修二郎)의 필명.[8] 이는 지어스에 타고 난 후 사망한 아이들을 반영한 것.[9] 만화는 다이치→마코→카코→치즈 순인데 애니는 치즈→다이치→마코. 카코는 전투시작 직전에 사망함으로서 참전하지 못한다, 어째서냐면 원작에선 치츠루가 칼로 찔러 죽이기 때문에. 애니메이션에선 치츠루의 자기방어행동에 의해 과실치사당하는 전개로 수정되었다. 또한 앙코와 코모의 순번이 서로 바뀌었고, 카나 대신 마치가 14번째 파일럿으로 계약한다.[10] 이는 전작 나루타루의 오토히메의 설정을 일부 차용해온 듯 하다.[11] 조종 후 사망한다는 사실을 안 바로 다음 순서다.[12] 잠깐 등장한 이미지로는 말레이계 의상을 입은 갈색 피부의 인간인데, 실상 정체는 별 설명은 없었으되 평행세계중 가장 발전이 고도화되어 신적인 능력을 갖춘 인류가 그들일 것이다. 지어스를 만든.[13] 원작에서도 애니에서도 언급된다. 세계의 파편화가 지나쳐 우주 자체에 부담이 되므로 평행세계중 가장 문화적으로 유사한 것들 중 대표성(최종승자) 있는 하나만 잔류시키는 가지치기에 들어갔다고.[14] 작가도 이에 불만이 있었는지, 원작 결말에서 코에무시가 되면 실제 몸은 지어스 내부에 소립자 셀 형태로 보관되며 공격해도 아무런 해를 미치지 못하는 불사신 상태가 된다고 언급했다. 애니판 코에무시가 총 맞고 죽은 걸 생각하면 상당히 의도적인 설정.[15] 심지어 작가의 전작 나루타루에서 야쿠자는 사소한 이유로 원한을 가진 채 쳐들어와 관련 없는 무고한 민간인을 강간하고 산 채로 회쳐 죽이는 극악무도한 악당들이었고 최후도 외우주 밖으로 던져저 산채로 불태워지는 등 대우가 상당히 가차없었다. 그런데 후속작 애니메이션에서 감독이 야쿠자 미화를 하고 있으니 팬들은 화가 날 수 밖에 없었다.[16] 확실한 것 : 요코의 정체, 미계약자, 우시로 카나의 참전, 우시로의 친어머니, 코에무시의 죽음 등.[17] 키리에 전 이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