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5 19:33:22

우리말 겨루기/진행 방식/556회~

파일:우리말 겨루기 로고.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퍼즐 챔피언
1~33회 34~65회 66~87회 88~141회
142~263회 264~302회 303~374회 375~399회
400~491회 492~510회 511~555회 556회~
특집
우리말 달인 | 시청률
}}}}}}}}} ||

1. 개요2. 본 대결
2.1. 556~976회2.2. 977회~
3. 상품권 문제
3.1. 단체전(568회까지 신설)3.2. 개인전(573회까지 신설)
4. 달인 도전 문제
4.1. 569~599회4.2. 600~747회4.3. 748회~

1. 개요

  • 556회 왕중왕전의 과도기를 거쳐 557회부터 적용되는 규칙으로 본 대결인 십자말풀이와 상품권 문제로 구성되어 있다.
  • 이때부터 쓰이고 있는 문제 자막의 글씨체가 나눔고딕이다(562회부터 적용).[1]
  • 569회부터는 연승 제도에서 다시 우승자가 달인에 도전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2]
  • 2016년부터 유명인 특집이 잦아지기 시작했으며, 초창기 1회~65회 진행 방식처럼 2인 1조로 출연하는 방식이 늘어났다.
  • 이 진행 방식이 유연하게 문제 제작이 가능하고, 균형이 잘 맞춰져서인지 꽤 오래도록 유지되고 있다.
  • 977회부터는 8년 만에 십자말풀이가 없어지고 3단계 형식으로 개편되었다.[3]
  • 역대 최고점은 2,500점이다.

2. 본 대결

2.1. 556~976회

  • 총 25문제[4]가 출제, 한 문제당 100점이며, 문제를 맞히지 못하면 50점이 감점된다.(567회까지는 감점 없었음)
  • 1~4번에 해당하는 문제는 개인 문제로, 출연자들이 초성으로 주어지는 문제를 맞히는 첫소리 문제 형식으로 진행된다.(예: 우리말 - ㄱㄹㄱ)
  • 그 다음 16문제[5]는 단체전으로 진행되며, 첫 번째 문제를 먼저 맞힌 사람에게 우선권이 주어진다.
    • 556~660회에서는 진행자가 5번째, 26번째 문제 선택.[6]
    • 661~976회에서는 진행자가 5번째 문제 선택. 자물쇠 문제 진출자 중 우선권을 가진 도전자가 21번째 문제 선택.[7]
  • 556~567회에서는 우선권을 가진 사람이 자물쇠 문제 5문제를 제외한 문제를 계속 풀 수 있었다.
  • 누름단추를 눌러서 맞히지 못하면 모든 사람이 문제를 맞히지 못할 때까지 기회가 상실된다.
  • 십자말풀이를 하면서 단순히 하나의 어휘를 답하는 문제 뿐만 아니라 아래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공통 문제가 1~2문제씩 출제되기 때문에, 하나의 어휘를 다른 형태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8]
    • 또순이 지원이[9]의 잠깐만요[10]: 2005년에 진행한 석준이의 그림일기와 비슷한 형식의 문제로 4개의 단어 중 틀린 단어 하나를 골라 올바르게 고치는 문제.
    • 영상 쓰기 문제: 영상을 보고 단어의 뜻에 맞는 단어 쓰기로 대체로 노래 가사, 우리말 책갈피라는 도서와 관련된 문제가 나오기도 하고, 기출문제가 출제되기도 한다.
    • 공통 연상 문제: 2011년 7월에 신설된 유형을 생각하면 쉽다. 제시어에 따라 200, 150, 100점의 점수가 주어진다. 제시어의 개수에 따라서 빠르게 누름단추를 누를수록 고득점을 얻을 수 있는 문제이다.
    • 음절 조합 문제: 무작위로 배열된 5~10개의 글자를 조합해 뜻에 맞는 2~4음절의 단어를 답하는 문제.
    • 겹낱말 찾기: 2004~2005년 진행 방식에 있었던 유형을 생각하면 쉽다. 단어 앞뒤 낱말과 연결되는 공통 단어를 찾는 문제.
    • 바른 말 고르기: 해당 단어의 앞이나 뒤에 들어가서 한 단어가 되는 단어 찾기(5지선다). 처음에 맞히면 200점(오답 시 100점 감점), 그 뒤는 100점(오답 시 50점 감점)이 주어진다.
  • 20문제[11]를 모두 푼 다음 점수가 높은 2명이 남은 자물쇠 문제 5문제를 풀 수 있으며, 자물쇠 문제는 한 문제당 200점이 주어진다.(558회부터 적용, 틀려도 감점 없음)[12][13][14]
    • 661회부터 976회까지는 번호를 선택해서 푸는 방식이 아닌 유형을 선택해서 푸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선택 우선권은 661회에서는 팻말로, 662회부터 976회까지는 가위바위보로 결정했다.
  • 동점자가 나올 시에는 고유어 문제를 공통 쓰기 문제로 풀어서 우승자가 나올 때까지 대결을 펼친다.[15]
  • 여기서 달라진 점은 모든 출연자들이 답을 못 맞히면 진행자가 추가 도움말을 준다는 점이다.[16]
  • 일부 특집에서는 200점 문제(틀리면 100점 감점), 300점 문제(틀리면 150점 감점)가 출제되었다.
  • 2018년 방송의 날 특집부터 특집 방송에서는 자물쇠 문제를 풀 수 있는 2명을 제외한 중간 탈락자, 자물쇠 문제 없이 후반 5문제를 한 문제당 100점인 1~15번째 문제와는 다르게 한 문제당 200점인 본 대결 문제로 풀었다. 2018년 연말 연예인 우승자 다시 겨루기, 2019년 연말 특집 왕중왕전, 2022년 900회 특집 왕중왕전, 2022년 연말 특집 왕중왕전도 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단, 여기서는 200점 문제를 틀리면 100점이 감점된다.
    • 2018년 연말 연예인 우승자 다시 겨루기 : 1~20번째 문제 - 100점, 21~25번째 문제 - 200점
    • 2019년 연말 특집 왕중왕전, 2022년 900회 특집 왕중왕전 : 1~25번째 문제 - 100점, 26~30번째 문제 - 200점
    • 2022년 연말 특집 왕중왕전 : 1~20번째 문제 - 100점, 21~25번째 문제 - 200점

2.2. 977회~

  • 1단계: 첫소리 문제 (개인별 5문제 - 30초) / 한 문제당 50점 (통과 가능[17]) 대체로 현 시국에 맞는 단어가 항상 한두 개 정도는 주어지는 편이다.[18] 문제 개수가 많아 출연자 간 점수 차이를 두기 위해서인지 2024년 들어서 조금 어려워졌다.[19]
  • 2단계: 주제어 문제 (4인 대결) / 맞히면 100점 획득, 틀리면 50점 감점. 단, 행운권 문제는 맞힐 경우 해당 배점에 100점이 추가된다. 이 방식에서는 쓰기 문제를 틀려도 50점이 감점된다. 2단계 종료 후 점수가 높은 2명이 3단계 진출. 동점자 있을 경우 동점자 문제 출제.
    • 977회~989회 : 10문제
    • 990회~ : 12문제
    • 쓰기, 동사, 부사, 겹낱말, 속담 및 관용구, 명사와 영상 활용, 순화어가 개편 이후 한 번씩은 출제되는데, 2024년 들어 순화어는 없어지고, 명사의 비중이 줄어들었으며, 쓰기는 띄어쓰기 유형 추가, 2005~2013년에 나왔던 우리말 뜻 맞히기를 초성 없이 혹은 초성 일부를 보고 뜻풀이의 빈칸을 채우는 문제와 2005~2006년에 나왔던 단계별(200점~50점)로 도움말이 주어지는 공통 서술어 문제를 출제하고 있다. 그래서 변형 유형이 생겨나 문제 하나하나의 난이도가 확실하게 올라갔으며, 감점이 자주 발생하기도 한다.
  • 3단계: 2인 대결 - 5회전으로 진행되며 100, 200점 중 하나를 양자택일해서 풀기. 첫 문제 선택권은 가위바위보를 이긴 사람에게 주어지며, 다음 문제 선택권은 첫 문제를 맞힌 도전자에게 주어진다. 이전의 자물쇠 문제와 비슷하다. 동점자 있을 경우 동점자 문제 출제.
    • 977회 : 그림 선택. 그림 선택 후 점수 공개. / 978회~ : 점수 양자택일.
    • 977회~985회 : 맞히면 해당 점수 획득, 틀리면 50점 감점.
    • 986회~ : 맞히면 해당 점수 획득, 틀려도 감점 없음.
    • 2인 대결 시에 도전권은 한 사람당 한 문제에 쓸 수 있으며 두 사람이 같은 문제에 동시 사용하는 건 불가능하다. 도전권을 가진 사람에게 우선권이 주어지며 10초 안에 답을 맞히면 50점이 추가 부여된다. 도전권 사용을 성공한 경우 해당 문제에 250점(200점 문제일 경우), 150점(100점 문제일 경우)을 얻을 수 있다.
  • 촬영장과 문제 유형은 2023년 한글날에 방영한 '안녕 우리말'이라는 특집 방송에서 차용했다.
  • 일부 특집에서는 중도 탈락 없이 진행되며 문제 개수, 진행 방식이 달라지기도 한다. 우승자가 달인 문제에 도전하는 것은 동일하다.

3. 상품권 문제[20]

  • 단체전과 개인전으로 나뉘어 진행하며, 모든 참가자에게는 50만 원 상당의 상품권이 기본으로 주어진다.
  • 574회부터는 일부 공통 쓰기 문제를 맞히는 사람에게 상품권 10만 원을 주는 형식으로 바뀌었다.[21]
  • 909회부터는 복주머니 문제가 있으며, 문제를 선택한 사람에게 우선권이 주어진다.(제한 시간 10초) 성공 시 20만 원 상품권을 획득하며, 해당 도전자가 정답을 맞히지 못할 경우 다른 도전자에게 기회가 주어진다. 마지막 문제가 복주머니 문제인 경우, 우선권 없이 모든 도전자에게 기회가 주어진다.

3.1. 단체전(568회까지 신설)[22]

  • 10문제를 풀고 나서 진행되는 형식으로, 출연자들이 도움말을 보고 네 글자의 낱말을 네 명이 각각 한 음절씩 쓰는 형식이다.
  • 한 문제를 맞힐 때마다 10만 원 상품권이 모두에게 지급된다.(3문제 출제)

3.2. 개인전(573회까지 신설)

  • 20문제를 풀고 나서 진행되는 형식으로, 개인별로 60초 동안 초성 끝말잇기로 10개의 단어를 맞히는 형식이다.
  • 뒷말이 이미 정해져 있기 때문에 가능한 단어라도 제작진이 의도한 답을 대야 인정된다.
  • 예시: 곡식 - ㄱ(겨) - 겨ㄹㄱ(겨루기) - 기ㅊ(기차)...
문제 성공 수 상금
4~6개 10만 원
7~9개 20만 원
10개 30만 원

4. 달인 도전 문제

  • 공통 사항
    • 우승자는 (우승 점수×1,000)원의 우승 상금을 확보하고 달인 도전 문제를 푼다.
    • 달인 도전 문제 성공 시 우리말 달인에 등극하며, 달인 상금 3,000만 원을 획득한다. 우리말 명예 달인, 왕중왕 추가 상금 문제에 성공하는 경우 달인 상금의 3분의 1인 1,000만 원을 획득한다.

4.1. 569~599회

  • 569~586회
    • 2~4개의 단어 가운데 맞춤법에 맞는 단어를 선택하며, 선택하면 수정이 불가능하다.
    • 577회부터는 띄어쓰기를 하기 전에 맞춤법 선택을 바꿀 수 있는 기회를 준다.
    • 그다음 제한 시간 60초 안에 띄어쓰기를 하며, 여기서 문제의 빈칸은 원고지가 아니라 단순한 빈칸이다.
  • 587~599회
  • 이 방식으로 진행된 달인 문제를 맞혀서 우리말 달인에 등극한 사례는 3회[23](42~44대)다.

4.2. 600~747회

  • 제한 시간 90초 안에 보기를 보고 올바른 맞춤법과 띄어쓰기, 문맥에 맞는 단어를 선택해서 문장의 빈칸을 표준어 규정에 맞게 완성한다.
  • 제한 시간이 끝난 후에는 보기 한 개를 바꿀 수 있는 기회를 주며, 이때 달인 상금은 절반으로 줄어든다.
  • 613회부터는 실패할 경우 20초(613~615회에서는 10초) 동안 다시 문장을 고칠 기회를 줘서 성공하면 우승 상금의 2배를 부여하며, 678회부터는 오답 개수를 알려준다. 2018년 방송의 날 특집부터 연예인 특집에서는 문장을 고칠 기회를 주지 않고 바로 정답을 확인했다.
  • 이 방식으로 진행된 달인 문제를 맞혀서 우리말 달인에 등극한 사례는 10회[24](45~54대)다.
  • 극악의 난도를 자랑하는 띄어쓰기가 있긴 하지만, 2010년처럼 선택형 문제라서 난도는 그렇게 어렵지 않은 편이다.
  • 600회 특집에선 달인 문제 시작 전, 2006년부터 2011년까지 쓰인 달인 문제 bgm이 잠깐 쓰인 적이 있다.

4.3. 748회~

  • 1단계: 양자택일 맞춤법 3문제(제한 시간 각 문제당 10초)[25]
  • 2단계: 60초 간 문장 띄어쓰기 하기(성공 시 우승 상금 2배)[26]
  • 3단계: 단어의 사전적 정의에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는 단어 찾기(5지선다)[27]
    • 761~908회에서는 1단계 문제에서 세 문제 풀이 후 5초 안에 고칠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
    • 909회부터는 1, 2단계에서 달인 지원권을 한 번 쓸 수 있으며, 헷갈리는 한 부분(단어 또는 구)의 정답 여부를 물어볼 수 있다.[28] 또한 달인 지원권을 사용할 때만 수정 시간 5초가 주어진다.
  • 이 방식으로 진행된 달인 문제를 맞혀서 우리말 달인에 등극한 사례는 10회[29](55~64대)다.
  • 이번 형식의 경우 초창기 2005년 난도와 비슷하며, 2019년과 2024년에는 1단계조차 통과 못하는 경우가 부지기수일 정도로 난도가 높은 편에 속한다. 2020년 이후에는 2단계 통과자도 늘긴 했지만, 이 역시도 손에 꼽을 정도로 적다. 그 때문에 이 방식 체제에선 달인 공백기가 길어지고 있으며 한해 공식 달인 3명 이상 나오지 않고 있다. 그래도 어려운 띄어쓰기를 통과하면 3단계 어휘력은 1단계처럼 객관식이 출제되기 때문에 그나마 나은 편.[30]


[1] 556회부터 561회까지는 종전에 사용하고 있었던 문제 자막의 글씨체를 사용했다.[2] 연승 제도에서 우리말 달인에 등극한 사람은 3명(39~41대)이며, 35대 달인인 최희태 이후 달인이 1~2달 이래로 나오는 데다가 실력자가 마지막 도전에서 압도적으로 이기는 경우가 많아 달인 탄생에 대한 감흥이 떨어져서 규칙을 바꾼 것으로 보인다.[3] 여담으로, 십자말풀이가 꽤 오랜 기간 동안 우리말 겨루기의 상징이자 트레이드 마크로 인지되어서인지, 현재의 3단계 형식으로 개편한 것에 대해서 아쉬워하는 시청자들도 꽤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4] 557~614회, 650~908회는 30문제, 629~649회는 28문제, 유명인 특집일 때는 20문제.[5] 557~614회, 650~908회는 20문제, 629~649회는 19문제.[6] 629~649회는 24번째 문제.[7] 650~908회에서는 26번째 문제.[8] 공통 문제가 끝난 다음에는 다시 누름단추 형식으로 우선권을 결정한다.(568회부터는 진행자가 문제를 선택)[9] 여자 아나운서가 진행하면 또순이, 남자 아나운서가 진행하면 똑똑이이다. 여기서 또순이는 어감처럼 똑똑한 여자를 뜻한다.[10] 엄지인 아나운서가 진행하던 시절에는 또순이 지인이의 잠깐만요였다.[11] 557~614회, 650~908회는 25문제, 629~649회는 23문제, 유명인 특집일 때는 15문제.[12] 557회에서는 자물쇠 문제가 한 문제당 100점이었다.[13] 565회에서는 연승 도전자가 다음 단계인 자물쇠 문제에 진출하지 못한 적이 있었다.[14] 여담으로, 557회부터 704회까지는 자물쇠 문제를 풀 때 중도 탈락자 두 명은 퇴장하지 않고 점수판에 있는 점수가 사라진 채로 옆에서 자물쇠 문제를 풀고 있는 두 사람과 같이 본 대결이 끝날 때까지 남는다. 705회에서는 중도 탈락자는 무대에서 퇴장하지만, 점수판은 점수가 사라진 채로 있었다. 무대에는 자물쇠 문제 진출자만 남는다. 706회부터 976회까지는 중도 탈락자는 퇴장하고, 이들의 점수판도 같이 사라진다. 자물쇠 문제 진출자만 무대에 남는다.[15] 예: 2015년 3월 1일, 2015년 6월 1일, 2015년 8월 17일, 2015년 9월 28일.[16] 예시로, 속담 문제에서 모든 출연자들이 답을 못 맞혀 그 속담의 모든 초성을 알려준 적이 있었다.[17] 통과한 문제는 재등장하지 않는다.[18] 신문 기사를 자주 보면 그와 관련된 어휘를 접할 수 있다.[19] 2011년 이전 가로세로 낱말 잇기(십자말풀이)의 최종 낱말 수준의 단어까지 나올 수 있다.[20] 개인전 형식은 특집 한정으로 진행된다.[21] 중간에 없어졌다가 재신설되었다.[22] 요즘에는 특집 한정으로 진행하고 있다.[23] 569~586회 방식에서 2회(42, 43대), 587~599회 방식에서 1회(44대)[24] 우리말 명예 달인까지 포함되면 14회.[25] 2007년(2문제)과 2010년 달인 유형 문제(9문제 중 초반 3문제)와 유사하며, 여기서는 전자처럼 선택 후 정답을 공개하는 점이 같다. 또한 2024년 여름방학 특집 초등학생 편 2단계, 중학생 편 3단계 각자 풀기 문제, 교사 편 3단계 각자 풀기 문제에서 이 형식을 적용했다.[26] 2005년부터 이어져온 역사와 전통의 장벽. 다만 2005년에 비해서 문장의 길이와 제한 시간이 길어졌다. 대부분의 달인 도전자가 여기서 떨어지는데, 이 단계의 문제는 우리말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 중 하나인 띄어쓰기 문제이기 때문이다. 특히 2023년에는 2단계 탈락자가 전체의 2/3 이상을 차지했으며, 3단계 문제를 풀면 예고편으로 간접 스포일러를 할 정도로 적다. 그래도 2005~2010년 상반기의 어휘 문제는 찍어서 맞히는 게 힘든 반면에, 띄어쓰기는 규칙만 알면 풀 수 있기 때문에 그나마 나은 편이다.[27] 대체로 동사, 형용사가 출제된다.[28] 참고로 이 진행 형식에서 달인이 된 경우는 5회(명예 달인 1회 포함) 있었는데, 63대를 빼고 지원권을 사용한 곳에서 '아니요'라는 대답을 받았기 때문에 만약 달인 지원권이 없거나 쓰지 않았다면 905회 명예 달인이 최근 등극 사례가 되었을 것이며 2023년은 아예 달인이 한 명도 나오지 않는 해가 되었을 것이다.(공식 달인일 경우 856회)[29] 명예 달인까지 포함할 경우 13회.[30] 그 때문에 찍어서 맞힐 수 있고 1단계보다 확률이 높은 3단계가 오히려 2단계보다 쉬울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