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02 02:35:54

울산경비사령부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울산경비사령부 후신(後身)에 대한 내용은 제127보병여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제1군관구사령부.png 파일:제2군관구사령부.png 파일:제3군관구사령부.png 파일:제5군관구사령부.png 파일:6관구사령부_부대마크.png
제1군관구사령부 제2군관구사령부 제3군관구사령부 제5군관구사령부 제6군관구사령부
파일:육군교육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육군군수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울산경비사령부.jpg 파일:동해경비사.jpg 파일:수도군단 부대마크.svg
육군전투사령부 군수기지사령부 울산경비사령부 동해안경비사령부 경인지역방어사령부
파일:서울올림픽지원사령부 마크.jpg 파일:유도탄사.jpg 파일:육군미사일전략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제2군수지원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제3군수지원사령부 부대마크.svg
서울올림픽지원사령부 방공포병사령부 육군유도탄사령부 제2군수지원사령부 제3군수지원사령부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파일:십자성부대.jpg
시흥지구전투사령부 김포지구전투사령부 백야전사령부 옹진지구전투사령부 제100군수사령부
※ 둘러보기: 해체·해편된 각급 육군 부대
작전사령부 · 기능사령부 | 해체된 야전군 · 해체된 기능사령부
}}}}}}}}} ||
울산경비사령부
파일:울산경비사령부.jpg
창설일 1968년(울산경비사령부)
해체일 1982년
소속 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 제2야전군
종류 기능사령부
규모 사단
역할 경상남도 울산시·울주군 경계 및 방어
초대 사령관 준장 박정인(조선경비사관학교 6기)
해체 전 사령관 준장 이덕만(육군종합학교 5기)
위치 경상남도 울산시

1. 개요2. 소개3. 사령관4. 여담

[clearfix]

1. 개요

경상남도 울산시·울주군(現 울산광역시)을 근거지로 했던 대한민국 육군 제2야전군 소속 사령부.

2. 소개

1968년 당시 경상남도 울산시·울주군[1]과 '대한민국 1호 국가산업단지'인 울산공업지구의 경비 및 1.21 사태 이후 북한군 특작부대 또는 간첩이 동해안을 이용하여 침투[2]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7월 9일에 대통령령에 의해 울산특정지역경비사령부(이하 울경사)가 창설되었으며, 초대 사령관에는 훗날 1973년 3.7 완전 작전으로 유명하게 되는 박정인 장군(당시 준장)이 임명되었다.

사령부는 경상남도 울산시 옥동(現 울산광역시 남구 옥동)에 있었으며[3], 박정인 사령관 때 지어진 '부전장'이라는 관사가 선암저수지(現 선암호수공원) 부근에 있는데 박정희 대통령이 울산에 행차했을 때 종종 들러가기도 했다고 한다.#

울경사는 울산 지역의 해안선(정자, 주전, 방어진, 온산 등), 항만(울산, 방어진, 장생포, 온산 등) 및 공업지구(울산미포, 온산) 경비[4]·경계임무 및 공단 예비군 관리 등을 맡았다. 특이하게도 예하에 선박소대가 편제되어 육군 소속 경비정이 지역 해상 경계 및 의아 선박 검문·검색을 맡기도 했던 모양이다.

울경사가 창설되기 직전에는 해병대 제1사단 예하 5연대가 울산 지역 해안선 등을 일시적(1년~1년 6개월 가량)으로 방어하고 있다가 울경사에 임무를 넘겨주었다.[5]

1982년에는 울산 지역 책임부대가 경상남도를 방어하는 39사단으로 넘어가면서 사령부는 해체되었고 예하 울산연대로 격하되었다.

1984년 1월 1일부로 연대 본부가 부산 동래에서 울산 옥동으로 이동하였으며, 동년 53사단 제127보병연대(現 제127보병여단)으로 개편되었다.

3. 사령관

역대 울산경비사령관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박정인 예) 준장 조선경비사관학교 6기 제3사단68.07.26.~71.06.10.
2대 정형택 준장[6] 사령관 71.06.10.~73.04.05.
3대 이종숙 준장[7] 사령관 73.04.05.~75.03.31.
4대 이필조 예) 소장 육군종합학교 12기 제2훈련소75.03.31.~76.06.14.
5대 박찬수 예) 준장 육군사관학교 10기 前 국방부 군사연구위원 76.06.14.~79.02.07.
6대 강호원 예) 준장 사령관 79.02.07.~80.08.21.
7대 이덕만 예) 준장 육군종합학교 5기 사령관 80.08.21.~82.04.15.

4. 여담

  • 1972년 10월 유신 선포 직후, 그동안 박정희 정권을 비난했던 지역구 국회의원 최형우의 울산 지구당 인사들과 울산 지역 야당 인사들이 계엄군에 체포되어 울산경비사령부에서 한 달 동안이나 모진 고문을 받은 적이 있다.

[1] 신명, 정자 및 온산 등 당시 울주군 지역 해안선[2] 60년대에 울산 전하리와 일산진 마을 등 해안가로 간첩들이 침투한 적이 있다.[3] 현재 53사단 127여단 주둔지와는 위치가 달랐다는 말이 있다.[4] 울산-언양간 고속도로 진입로와 공단 진입로 등에 검문소와 경비초소를 설치·운용하기도 했다.[5] 같은해 포항에서는 이 해병1사단을 주축으로 한 포항특정지역경비사령부(포특사)가 창설되었고, 현재까지 존재한다.[6] 당시 계급[7] 당시 계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