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 | |
제1군관구사령부 | 제2군관구사령부 | 제3군관구사령부 | 제5군관구사령부 | 제6군관구사령부 | |
| | | | | |
육군전투사령부 | 군수기지사령부 | 울산특정경비지역사령부 | 동해안경비사령부 | 경인지역방어사령부 | |
| | | | | |
서울올림픽지원사령부 | 방공포병사령부 | 육군유도탄사령부 | 제2군수지원사령부 | 제3군수지원사령부 | |
| | | | | |
시흥지구전투사령부 | 김포지구전투사령부 | 백야전사령부 | 옹진지구전투사령부 | 제100군수사령부 | |
※ 둘러보기: 해체·해편된 각급 육군 부대 | |||||
작전사령부 · 기능사령부 | 해체된 야전군 · 해체된 기능사령부 |
울산특정경비지역사령부 | ||||||
| ||||||
창설일 | 1968년(울산특정경비지역사령부) | |||||
해체일 | 1982년 | |||||
소속 | 대한민국 육군 | |||||
상급부대 | 제2야전군 | |||||
종류 | 기능사령부 | |||||
규모 | 사단 | |||||
역할 | 경상남도 울산시·울주군 경계 및 방어 | |||||
초대 사령관 | 준장 박정인(조선경비사관학교 6기) | |||||
해체 전 사령관 | 준장 이덕만(육군종합학교 5기) | |||||
위치 | 경상남도 울산시 | |||||
[clearfix]
1. 개요
경상남도 울산시·울주군(現 울산광역시)을 근거지로 했던 대한민국 육군 제2야전군 소속 사령부.2. 소개
| |
사령부 창설 2주년 기념식 당시 박정인 사령관 | 울산특정경비지역사령부 창설 3주년 기념 아치[1] |
1968년 당시 경상남도 울산시·울주군[2]과 '대한민국 1호 국가산업단지'인 울산공업지구의 경비 및 1.21 사태 이후 북한군 특작부대 또는 간첩이 동해안을 이용하여 침투[3]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7월 9일에 대통령령에 의해 울산특정경비지역사령부(이하 울경사)가 창설되었으며, 초대 사령관에는 훗날 1973년 3.7 완전 작전으로 유명하게 되는 박정인 장군(당시 준장)이 임명되었다.
사령부는 경상남도 울산시 옥동(現 울산광역시 남구 옥동)에 있었으며[4], 박정인 사령관 때 지어진 '부전장'이라는 관사가 선암저수지(現 선암호수공원) 부근에 있는데 박정희 대통령이 울산에 행차했을 때 종종 들러가기도 했다고 한다.#
울경사는 울산 지역의 해안선(정자, 주전, 방어진, 온산 등), 항만(울산, 방어진, 장생포, 온산 등) 및 공업지구(울산미포, 온산) 경비[5]·경계임무 및 공단 예비군 관리 등을 맡았다. 특이하게도 예하에 선박소대가 편제되어 육군 소속 경비정이 지역 해상 경계 및 의아 선박 검문·검색을 맡기도 했던 모양이다.
울경사가 창설되기 직전에는 해병대 제1사단 예하 5연대가 울산 지역 해안선 등을 일시적(1년~1년 6개월 가량)으로 방어하고 있다가 울경사에 임무를 넘겨주었다.[6]
1982년에는 울산 지역 책임부대가 경상남도를 방어하는 39사단으로 넘어가면서 사령부는 해체되었고 예하 울산연대로 격하되었다.
1984년 1월 1일부로 연대 본부가 부산 동래에서 울산 옥동으로 이동하였으며, 동년 53사단 제127보병연대(現 제127보병여단)으로 개편되었다.
3. 사령관
역대 울산특정경비지역사령관 | |||||
역대 | 이름 | 계급 | 임관 | 비고 | 기타 |
초대 | 박정인 | 예) 준장 | 조선경비사관학교 6기 | 前 제3사단장 | 68.07.26.~71.06.10. |
2대 | 정형택 | 준장[비고] | 前 사령관 | 71.06.10.~73.04.05. | |
3대 | 이종숙 | 준장[비고] | 前 사령관 | 73.04.05.~75.03.31. | |
4대 | 이필조 | 예) 소장 | 육군종합학교 12기 | 前 제2훈련소장 | 75.03.31.~76.06.14. |
5대 | 박찬수 | 예) 준장 | 육군사관학교 10기 | 前 국방부 군사연구위원 | 76.06.14.~79.02.07. |
6대 | 강호원 | 예) 준장 | 前 사령관 | 79.02.07.~80.08.21. | |
7대 | 이덕만 | 예) 준장 | 육군종합학교 5기 | 前 사령관 | 80.08.21.~82.04.15. |
4. 사건·사고
- 1969년 1월 23일 오후 7시 30분경 울주군 온산면 방도리 우체국 앞에서 사령부 예하 모 연대 소속 상병이 지나가던 버스를 세우려다 버스가 서지 않자 버스에 뛰어올라 버스기사에게 소지한 카빈총을 쏜다고 위협하다가 버스 내 승객들이 말리자 총을 난사해 버스기사와 승객이 각각 중상을 입는 사건이 발생했다.
- 1969년 7월 24일 오후 12시경 울주군 강동면 당사리에서 야간통행금지를 위반한 여성을 경계 근무 중이던 사령부 소속 모 대대 병사들이 초소로 끌고가 성폭행했고 이 소식을 들은 마을 청년들이 나중에 항의하러 찾아오자 군인들이 한 청년을 붙잡고 허벅지에 총을 쏴 중상을 입힌 사건이 발생했다.
- 1971년 1월 4일 밤과 5일 새벽 사이에 울산항 앞 30마일 해상에서 해상 경계 작전을 하던 사령부 소속 5t 경비정 '파도호'가 파도에 밀려 침몰해 경비정에 타고 있던 3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 1971년 6월 5일, 울주군 온산면 원산리에서 사령부 소속 모 중대장의 집에 수류탄이 날아들어 자고있던 중대장이 사망하고 아내가 중상을 입는 사건이 발생했다. 사건 직후 사건 발생 장소 1km 인근 보리밭에서 한 청년이 수류탄으로 자살하는 사건이 발생했는데, 그 사람은 1년 전 큰 사고를 쳐 해당 중대장에게 심한 기합을 받고 다른곳으로 전출된 병사로 사건 발생 며칠 전에 중대장 집으로 찾아와 중대장이 아직도 살고 있느냐며 묻고 갔다고 한다.
5. 여담
- 1972년 10월 유신 선포 직후, 그동안 박정희 정권을 비난했던 지역구 국회의원 최형우의 울산 지구당 인사들과 울산 지역 야당 인사들이 계엄군에 체포되어 울산특정경비지역사령부에서 한 달 동안이나 모진 고문을 받은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