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31 20:09:46

옹진-은파산 전투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6.25 전쟁 초반에 벌인 전투에 대한 내용은 옹진반도 전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대내외 전쟁·분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 전쟁·전투 교전국
<colbgcolor=#405486,#000031> 서부전선 교전
194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개성 인근 교전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개성 송악산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포천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옹진-은파산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양양 돌입 사건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춘천 682고지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지리산 공비 토벌전
1951 ~ 195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남로당 깃발.png 조선인민유격대
일본 해상보안청의 평화선 침범 사건
1952 ~ 1965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일본 해상보안청의 독도 무단침범 및 점령시도 사건
1953 ~ 1956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독도 대첩
1954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진주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6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한반도 비무장지대 분쟁
1966 ~ 196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1967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1.21 사태
196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베트남 전쟁
1965 ~ 1973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파일: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기.svg 베트콩
3.7 완전작전
197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대한민국 해경 경비정 제863호 침몰 사건
197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3.23 완전작전
198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판문점 총격사건
198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걸프 전쟁
1990 ~ 1991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파일:헤자즈 왕국 국기.svg 이라크
5.22 완전작전
1992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부여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5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6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여수 반잠수정 격침사건
199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제1연평해전
199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07
파일:탈레반 기(1996~2021).svg 탈레반 정권
제2연평해전
2002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이라크 전쟁
2003 ~ 2011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파일:바트당 당기.svg 이라크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 카에다 및 저항 세력
항구적 자유 작전
2009 ~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대청해전
200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천안함 피격 사건
201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연평도 포격전
201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아덴만 여명 작전
2011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연천 대북전단 발원지 격파사격
201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서부전선 포격 사건
2015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대 IS 군사 개입
2015 ~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L
2020년 5월 GP 총격 사건
202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2022년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사건
2022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


파일:북한 국장.svg 북한의 대내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ed1c27> 서부전선 교전
194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개성 인근 교전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개성 송악산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포천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옹진-은파산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양양 돌입 사건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춘천 682고지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UN기.svg 유엔군
진주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한반도 비무장지대 분쟁
1966 ~ 1969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베트남 전쟁
1967 ~ 1969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남베트남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196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1.21 사태
196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EC-121 격추 사건
1969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제4차 중동전쟁
1973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대한민국 해경 경비정 제863호 침몰 사건
197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앙골라 내전
1975 ~ 1980년대
파일: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 당기.svg 앙골라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파일:앙골라 민족해방전선 당기.svg FNLA 파일:카빈다 월경지 해방전선기.svg FLEC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3.23 완전작전
198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우간다 내전
1980 ~ 1986
파일:우간다 국기.svg 민족저항군
판문점 총격사건
198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부여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여수 반잠수정 격침사건
199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제1연평해전
199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일본 순시선 괴선박 격침 사건
2001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제2연평해전
200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대홍단호 사건
2007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Flag_of_Edward_England.svg.png 소말리아 해적
대청해전
200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연평도 포격전
201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시리아 내전
2011 ~
파일:시리아 국기.svg 자유 시리아군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 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연천 대북전단 발원지 격파사격
201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서부전선 포격 사건
201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020년 5월 GP 총격 사건
202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022년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사건
20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2024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

옹진-은파산 전투
6.25 전쟁 이전 삼팔선 분쟁의 일부
날짜
1949년 5월 21일 ~ 1949년 11월 15일
장소
대한민국 경기도 옹진반도 일대
교전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지원국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지휘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옹진사령부 김백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사단장 김석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2연대장 강영훈
파일:북한 국기.svg 38경비대
결과
대한민국의 옹진반도 사수
병력 2개 보병연대
105mm 곡사포
2개 보병 연대
122mm 곡사포
120mm 박격포
피해규모 사상자 830명 사망자 400명
1. 개요2. 배경3. 전개
3.1. 북한의 기습3.2. 대한민국의 반격3.3. 전투의 격화3.4. 은파산 전투
4. 영향5. 논란
5.1. 소련의 군사지원

[clearfix]

1. 개요

1949년 5월부터 11월까지 옹진반도 일대에서 벌어진 전투이다.

2. 배경

북위 38도선을 기준으로 남북이 분단되었지만 삼팔선 인근에서는 양측의 소규모 교전과 상대편 군경에 대한 체포, 한국군의 월북 혹은 북한군의 탈북 등이 빈번하게 일어났다. 이러한 군사적 충돌은 1949년 들어 더욱 심화되었는데 김일성과 소련 고문단은 남측의 경비태세를 알아보기 위해서 개성 송악산, 포천 등지에서 여러차례 군사적인 도발을 감행했다. 한편 옹진반도는 원래 황해도 최남단에 위치하였으나 삼팔선 이남에 위치했기 때문에 남한 영토에 포함되었으나 남한 본토의 연백군과는 해주만을 사이에 두고 떨어져 있는 월경지였다. 게다가 옹진반도 북쪽의 고지들은 대부분 북한이 통제하고 있어서 대한민국의 방비력이 상당히 불안정한 지역이였다. 따라서 김일성은 개성 송악산 전투에서의 패배를 설욕하는 한편 남한의 군사력을 분산시키기 위해 혹은 옹진지구의 해방을 노리고 1949년 5월 21일부터 11월 15일까지 대대적인 교전을 일으킨다.

3. 전개

3.1. 북한의 기습

5월 21일 북한조선인민군 보병 대대를 투입하여 남침을 감행하였고 옹진반도 북부의 전투 발발 당일 국사봉을, 5월 26일에는 두락산을 점령했다. 이에 대한민국 국군 역시 2개 대대와 81mm 박격포를 동원하여 국사봉을 탈환하고자 하였으나 이미 고지를 점령한 북한군에게 큰 피해를 입고 뒤로 물러섰다. 북한의 이러한 도발에 당황한 국군은 상황이 심상치 않다고 판단하여 1사단장 김석원 장군을 옹진지구로 보내어 지휘케 하는 한편 고지를 탈환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포병 지원이 필요하다는 판단을 내렸다. 이에 13연대 등의 타 부대들의 증원을 받은 후에 반격을 감행하기로 결정한다.

3.2. 대한민국의 반격

6월 1일 충분한 지원병력이 증원되었다고 판단한 국군은 옹진지구전투사령부를 설치한 후 반격을 실시하여 북한에게 빼앗겼던 국사봉을 되찾는데 성공한다. 뒤이어 6월 12일에는 총공세를 펼쳐 북한군에게 빼앗긴 두락산을 탈환하는 한편 38선 이북의 은파산 일대까지 점령하였고 6월 27일에는 북한군의 거점이였던 까치산 일부지역까지 진격하였다.[1] 한편 북한은 5월 말에 벌인 옹진지구 침투 작전에 대한 성공을 자축하면서 해주와 평양 등지에서 축하연과 관련 대회들을 벌였다.

3.3. 전투의 격화

대한민국 국군의 반격 후에도 38선과 인근의 감제고지 부근에서는 때때로 양측 간의 중대, 대대급 부대의 소규모 교전이 벌여졌으며 북한군에 의해 38선 부근의 주민들이 납치되기도 하였다. 북한군이 소규모 병력으로 38선을 건들이면 국군이 이에 응하여 반격하는 모양새였다. 그러나 8월 4일 북한은 대대적인 재침을 해왔다. 이때 북한군은 옹진지구 해방을 목적으로 조선인민군 2개 보병연대와 이전에 없었던 122mm 곡사포, 120mm 박격포 등을 동원하여 화력을 보강한 상태였으며 이들은 옹진읍 외곽지역까지 진출하였다. 대한민국 입장에서는 옹진군의 중심지였던 옹진읍이 점령될 일촉즉발의 위기였기에 곧바로 105mm 곡사포까지 포함시킨 2개 보병연대를 증원군으로 보냈으나 하필 파도가 거세어 옹진반도에 상륙할 수 없어서 날씨가 맑아질 때까지 옹진반도의 잔존 병력만으로 북한군을 막아내야 할 위기에 처했다. 다행히 증원군이 상륙될 때까지 북한군을 옹진읍 외곽에서 더 이상 진격하지 못하도록 저지하는데 성공했으며 증원군이 도착하여 침입한 북한군을 격퇴한 8월 5일 이후부터는 전투가 소강상태로 빠져들었다.

3.4. 은파산 전투

북한은 8월에 있었던 옹진지구 해방을 위한 침입이 실패로 끝나자 10월 14일 새벽에는 또다시 은파산에 대해 공격을 감행했으나 국군에 의해 격퇴되었다. 특히 이때는 소련고문단의 개입까지 이루어졌다. 북한군을 격퇴한 이후 전선이 안정되자 11월 15일 2연대가 17연대에게 옹진지구 경비를 넘겨주면서 약 반년간 지속된 옹진지구에서의 전투가 종료되었으며 옹진반도에는 평화가 찾아들었다 단 반년 동안만.

4. 영향

당시 미국의 전투지침은 1개 사단이 10km 이하의 방어선을 맡는다는 것이였는데 문제는 막 그어버린 38선으로 인해 전선이 넓어진데다가 38선 인근의 주요 고지들은 대부분 북한에 귀속되었고 옹진반도라는 월경지까지 생겼다. 남한의 안그래도 모자란 병력으로는 이들 지역을 전부 방위한다는 것은 불가능했으며 실제로도 당시 미군 상층부의 생각도 그리하였다. 따라서 미군은 옹진반도의 실질적인 방위를 포기하고 해당 병력들을 서부전선에 배치하여 서울에 대한 보위력을 높일 것을 대한민국 정부에 요구했으나 당시 이승만 대통령뿐만 아니라 국군 장성들, 정부 고위 관리들까지 38선 이남에 있던 옹진반도를 결코 포기할 수 없다며 반발하였다. 여기에는 남한령 옹진군이 비록 월경지이기는 하나 1,000km^2가 넘는 꽤 넓은 면적에 금광과 염전과 같은 중요한 시설들까지 있었으며 인구도 약 20만명이 넘는 실제로도 꽤 중요한 지역이였기 때문이라는 이유도 있었다. 결국 해당 전투 이후 옹진반도를 사수하기 위해 서부전선의 13연대 일부 병력을 빼서 옹진반도에 배치하였는데 결과론적으로는 안그래도 부족하던 병력을 퇴로도 없는 옹진반도로 분산시켜 버려 6.25전쟁 개전 당시 악영향을 주었다.

5. 논란

5.1. 소련의 군사지원

당시 스탈린은 김일성의 차후 있을 조선반도 해방 전쟁에대한 지원 요청을 씹고 있었으며 실제로 소련 정치국은 한반도 주둔 소련고문단에게 남북 군사적 충돌에 대해 불개입할 것을 명령했다. 그러나 10월 14일 은파산 전투에서 소련고문단이 북한군의 작전수행에 도움을 주었고 이에 스탈린은 격노하여 김일성에게 다시는 38선 일대에서 국경분쟁이 재발하는 일이 없도록 하라며 경고했다. 따라서 10월 말 이후부터 6.25전쟁 전까지는 이전과 같은 군사교전은 일어나지 않으면서 불안정한 평화가 짧게나마 유지되었다.


[1] 이때쯤 6월 26일 안두희는 경교장에 머무르던 김구에게 자신이 옹진 총공세에 나가게 되었다고 거짓말을 하면서 접근했고, 얼마 안 가 김구를 저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