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축함 견제에 특화된 트리이다. 철갑탄을 이용한 대구축함 딜링이 강력하며 기동성을 제외한 모든 성능이 평균 이상이다. 소소한 장점이지만 저티어에서는 정면뇌격도 된다. 하지만 고폭탄의 성능이 낮고 타 구축함 트리에 비해 연막의 사용이 제한된다. 기동성이 굼뜨기에 항모에 대한 저항력도 떨어진다.
구축함 특유의 기동에 적응하지 못하는 유저들이 소형 순양함을 모는 느낌으로 구축함에 입문하기 좋다. 미국 구축함이 구축함 입문용으로 추천되고는 하는데 은신뇌격 불가하고 기동성도 애매한 저티어 미국 구축함은 초보자가 운용하기 곤란한 점이 있다. 완전 초보자라면 저티어에서도 은신뇌격, 포격전 둘 다 가능한 독일 구축함은 나쁘지 않은 선택이다.
원래는 6티어부터 생존성이 상당히 떨어졌으나 항공모함 뇌격기 버그가 고쳐진 이후로부터는 뇌격기 주력의 일본 항공모함이나 사이판의 입지가 약간 흔들리며 입지가 상당히 좋아졌다. 기존의 급발진하는 선회 대신 슬그머니 돌아가는 선회 덕에 피하지도 못하고 죽는 것에서 어느 정도 선회를 꺾으면 어뢰를 피할 수 있게 되어 상당히 입지가 좋아졌다. 구축함 중에서도 0티어까지는 아니지만 1.5티어 정도의 준수한 준 만능형 구축함.
단점이라면 연막 스킬이 9티어부터 존재하여 중앙 점령같은 맵에서 버티거나 항모의 공격을 회피하는 데 약간의 어려움을 보인다. 특히 이 문제가 극대화되는 것이 바로 7티어와 8티어. 다만 이전에 서술했던 뇌격기 버그가 수정된 이후로는 상대적으로 나아져서 그래도 상당히 탈만해진 구축함이다.
이 군함은 전투 함대 호위를 목적으로 제작되었으며 이 구축함의 시리즈는 독일 해군에서 가장 많이 제작한 시리즈이다. 활동 당시에는 매우 빠른 속도를 자랑하는 군함이었으며 초기에는 동급 군함에 비해 함포의 위력이 약한 편이었지만, 제1차 세계대전 중 더욱 강력한 주포로 교체했다.
선체
생존
내구도
집중 방호 구역 보호
화재 및 침수 저항
5,995
5%
10%
{{{#!wiki style="margin: -16px -11px;"
장갑 효율
어뢰 방호 장갑
3%
3%
}}}
기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최고 속력
최고속력 도달시간
35.57knot
9.24초
}}}
{{{#!wiki style="margin: -16px -11px;"
최대 선회 속도
조타 시간
9.90도/초
2.70초
}}}
주함포
명칭
탑재 수
재장전 시간
사거리
포탑 회전 속도
105 mm L/45 Tbts LC/16
3×1
5초
6.30km
12도/초
탄종
공격력
화재 유발 확률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고폭탄
251
2%
-
철갑탄
382
-
150%
어뢰
명칭
탑재 수
재장전 시간
어뢰 공격력
500 mm Einzeln 500 mm Zwilling
2×1 2×2
32초
2,507
{{{#!wiki style="margin: -16px -11px;"
사거리
속력
침수 유발 확률
어뢰 발사관 회전 속도
5.10km
59.74knot
9%
20도/초
}}}
<colbgcolor=#808080><rowcolor=#ffffff><colcolor=#ffffff> 피탐지 범위
기본 피탐지 범위
포격 이후 피탐지 범위
5.04km
7.32km
저티어치고는 상당히 특이한 구축함이다. 우선 철갑 데미지만 봐도 다른 구축함과는 격이 다르며, 어뢰 투사량도 많은 편에다 각도도 좋아 대구축에 매우 좋은 편이다. 대구축을 위주로 플레이하는 습관을 들여두자.
주력함 호위나 정찰 등 다양한 임무를 소화할 수 있도록 설계된 다목적 군함이다. 독일 해군에서는 "함대 구축함"으로 분류하였다. 강력한 어뢰로 무장했지만, 함포 화력은 비교적 떨어졌다.
선체
생존
내구도
집중 방호 구역 보호
화재 및 침수 저항
12,768
5%
10%
{{{#!wiki style="margin: -16px -11px;"
장갑 효율
어뢰 방호 장갑
3%
3%
}}}
기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최고 속력
최고속력 도달시간
34.18knot
8.78초
}}}
{{{#!wiki style="margin: -16px -11px;"
최대 선회 속도
조타 시간
9.10도/초
3초
}}}
주함포
명칭
탑재 수
재장전 시간
사거리
포탑 회전 속도
105 mm L/45 MPL C/32ge
4×1
4.50초
7.63km
12도/초
탄종
공격력
화재 유발 확률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고폭탄
280
2%
-
철갑탄
392
-
150%
어뢰
명칭
탑재 수
재장전 시간
어뢰 공격력
533 mm Drilling
2×3
40초
3,024
{{{#!wiki style="margin: -16px -11px;"
사거리
속력
침수 유발 확률
어뢰 발사관 회전 속도
6.60km
62.52knot
12%
20도/초
}}}
대공포
DPS
사거리
소구경 대공포
36
1.50km
<colbgcolor=#808080><rowcolor=#ffffff><colcolor=#ffffff> 피탐지 범위
기본 피탐지 범위
포격 이후 피탐지 범위
5.82km
7.63km
진짜 독일 구축함의 시작... 은 아직 아니다.
우선 주포는 재장전 시간이 줄어들고 사거리가 늘어나기는 했지만, 정작 철갑탄 데미지가 그대로라 5티어에서 강력해진 구축함들을 상대로는 조금 버거울 수 있다. 어뢰는 그야말로 환골탈태하긴 했지만, 문제는 다른 국가의 구축함들도 환골탈태하긴 마찬가지라 뇌격으로도 특출난 부분이 별로 없다. 철저히 강약약강을 지켜서 플레이하자.
Zerstörer 1934 구축함 설계 중 하나이다. 구축함 중에서는 비교적 크게 설계되었으며 강력한 함포 무장을 갖추었다.
선체
생존
내구도
집중 방호 구역 보호
화재 및 침수 저항
15,925
5%
10%
{{{#!wiki style="margin: -16px -11px;"
장갑 효율
어뢰 방호 장갑
4.50%
3%
}}}
기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최고 속력
최고속력 도달시간
35.57knot
10.66초
}}}
{{{#!wiki style="margin: -16px -11px;"
최대 선회 속도
조타 시간
8.10도/초
3.90초
}}}
주함포
명칭
탑재 수
재장전 시간
사거리
포탑 회전 속도
128 mm L/45 LC/34
4×1
4.50초
8.39km
15도/초
탄종
공격력
화재 유발 확률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고폭탄
334
4%
-
철갑탄
518
-
150%
어뢰
명칭
탑재 수
재장전 시간
어뢰 공격력
533 mm Vierling
2×4
48초
3,105
{{{#!wiki style="margin: -16px -11px;"
사거리
속력
침수 유발 확률
어뢰 발사관 회전 속도
7.20km
62.52knot
12%
20도/초
}}}
대공포
DPS
사거리
소구경 대공포
39
1.50km
<colbgcolor=#808080><rowcolor=#ffffff><colcolor=#ffffff> 피탐지 범위
기본 피탐지 범위
포격 이후 피탐지 범위
6.24km
8.39km
진정한 독일 구축함의 시작이다.
우선 가장 눈여겨볼 부분은 주포와 소나. 이전 티어와 장전 시간은 같으면서도 사거리는 8km을 훌쩍 넘는데다 발당 500이 넘는 데미지가 들어가는 주포는 동 티어에서 만나는 거의 모든 구축함들에게 살벌한 데미지를 쏟아낼 수 있고, 설령 연막과 어뢰를 이용해 저항하는 구축함이 있어도 소나의 존재로 인해 쉽게 파훼가 가능해진다.
어뢰 또한 상당히 강력해졌다. 투발 수량도, 사거리도 늘어난 어뢰는 순양함과 전함들에게 상당한 압박감을 주며, 독일 구축함이 단순한 포격 구축함보다는 하이브리드 구축함에 가깝다는 것을 잘 알려준다. 6티어 들어서 화력이 강해지는 순양함들을 주의하면서 플레이한다면 상당히 쾌적할 것이다.
균형 잡힌 설계를 자랑하는 구축함으로(Zerstörer 1936C type) 공해에서 운용할 수 있도록 건조되었다. 이전 군함과 달리 최신 기술로 제작된 양용포를 포탑에 설치하였다.
선체
생존
내구도
집중 방호 구역 보호
화재 및 침수 저항
20,414
5%
10%
{{{#!wiki style="margin: -16px -11px;"
장갑 효율
어뢰 방호 장갑
6%
4.50%
}}}
기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최고 속력
최고속력 도달시간
37.09knot
9.47초
}}}
{{{#!wiki style="margin: -16px -11px;"
최대 선회 속도
조타 시간
8.90도/초
4.20초
}}}
주함포
명칭
탑재 수
재장전 시간
사거리
포탑 회전 속도
128 mm L/45 Drh LC/41
3×2
4초
8.83km
22.50도/초
탄종
공격력
화재 유발 확률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고폭탄
354
4%
-
철갑탄
531
-
150%
어뢰
명칭
탑재 수
재장전 시간
어뢰 공격력
533 mm Vierling
2×4
48초
3,894
{{{#!wiki style="margin: -16px -11px;"
사거리
속력
침수 유발 확률
어뢰 발사관 회전 속도
8.10km
65.30knot
14%
20도/초
}}}
대공포
DPS
사거리
대구경 대공포
149
3.60km
소구경 대공포
74
1.80km
<colbgcolor=#808080><rowcolor=#ffffff><colcolor=#ffffff> 피탐지 범위
기본 피탐지 범위
포격 이후 피탐지 범위
6.48km
8.88km
드디어 구축함의 꽃인 연막 스킬이 추가되었다! 다른 군함들은 적어도 6티어 내지에서 연막 스킬이 추가되지만 독일 구축함은 고티어인 9티어에서 추가되어 저~중티어 구간에서 연막이 없음으로 인해 고통받던 설움을 떨쳐낼 수 있는 구축함.
그러나 연막 스킬이 단 하나밖에 주어지지 않아서 신중하게 사용해야 하는 게 단점이다. 연료 연막처럼 단순히 회피용으로 1회 사용하고 버리는 게 아닌 연막 속에서 버티고 블라인드샷을 회피하기 위해 전후진까지 섞어가면서 지속적으로 함포 사격을 통해 적 군함을 괴롭혀주어야 하며, 연막이 사라지면 적 순양함들의 포탄을 피하며 적들을 교란하기 시작해야 한다.
또한 함포도 128mm 2연장 포탑이 3문으로 바뀌어 총 6문의 128mm 함포를 가지고 있다. 독일 군함들의 특징인 우수한 철갑탄으로 적 구축함들을 견제하여 아군이 어뢰에 맞지 않도록 도와주도록 하자.
우선 연막이 1개에서 2개로 늘어난데다, 미묘했던 어뢰 역시 전설 장비를 받은 덕에 상당히 강력해져서 매칭과 상황에 따라서는 뇌격 구축함으로 운용하는것도 가능해진다. 구축함을 다 격침시킨 이후에도 할 일이 생긴다는 이야기.
반면 대구축에서는 좀 미묘해졌다. 여전히 강력하기는 하지만, 그단스크, Z-42와 같은 신흥 강자들이 늘어난데다 레골로 기반에 3점사라는 무식한 깡딜을 자랑하는 알바로 데 바잔의 등장으로 오히려 상황에 따라서는 상대 구축에게 밀려서 꽁무니를 뺄 상황이 늘어났다. 순양함 강세 메타 역시 치명적.
여전히 대다수의 구축을 상대로 1대1 매치업에서 우세를 점하는 구축함임에는 분명하지만, 메타의 변화와 신규 함선의 출시로 인해 기존의 플레이 스타일만을 고집할 순 없게 되었다. 포격에만 집착하지 말고 어뢰도 틈틈이 써주는 하이브리드 구축함이 자.
주포 * 높은 철갑탄 피해량 * 높은 철갑탄 효율 * 긴 사거리 * 낮은 고폭탄 피해량 * 느린 연사력
어뢰 * 긴 어뢰 사거리 * 어뢰 피탐지율 낮음
피탐지 * 연막 생성기 스킬 사용 가능
내구력 * 내구도 높음
기동력 * 속도 낮음 * 기동력 낮음
전반적으로 1차 트리보다 포격이 훨씬 강화된 대신 오히려 최고수준이던 대구축 능력이 상당히 저하된 편으로, 철갑의 관통력이 지나치게 강해져서 구축함 상대로 과관통이 자주 나는데다가 소나도 없어졌고, 어뢰는 데미지가 약간 올라간 대신 재장전 시간이 매우 길어지고 항주속도도 매우 느려졌다.
전체적으로 보면 구축함이라고 부르기도 뭐한, 차라리 시타델이 터지지 않는 초소형 경순양함에 더 가까운 편이다. 대구축 능력과 기동성을 잃은 대신 웬만한 순양함과 극소수 전함의 장갑을 관통하고 시타델을 낼 수 있는 극강의 철갑탄과 순양함에 비비는 수준의 주포 사거리, 그리고 1차 트리와는 다르게 7티어부터 2개, 8티어부터 3개가 주어지는 많은 개수의 연막을 얻은 셈.
제2차 세계대전 발발 후 건조된 Type 1936A급의 하위 함급인 Type 1936A(Mob)급 구축함 중 1번함으로 150mm 주함포를 장착하였다.
선체
생존
내구도
집중 방호 구역 보호
화재 및 침수 저항
18,400
5%
10%
{{{#!wiki style="margin: -16px -11px;"
장갑 효율
어뢰 방호 장갑
4.50%
3%
}}}
기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최고 속력
최고속력 도달시간
35.57knot
10.66초
}}}
{{{#!wiki style="margin: -16px -11px;"
최대 선회 속도
조타 시간
7.90도/초
4.20초
}}}
주함포
명칭
탑재 수
재장전 시간
사거리
포탑 회전 속도
150 mm L/55 Tbts KC/36T 150 mm L/55 Tbts KC/36
1×2 2×1
6.20초
9.03km
12도/초
탄종
공격력
화재 유발 확률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고폭탄
403
4%
-
철갑탄
656
-
150%
어뢰
명칭
탑재 수
재장전 시간
어뢰 공격력
533 mm Vierling
2×4
72초
3,335
{{{#!wiki style="margin: -16px -11px;"
사거리
속력
침수 유발 확률
어뢰 발사관 회전 속도
7.80km
50.02knot
12%
20도/초
}}}
대공포
DPS
사거리
소구경 대공포
74
1.50km
<colbgcolor=#808080><rowcolor=#ffffff><colcolor=#ffffff> 피탐지 범위
기본 피탐지 범위
포격 이후 피탐지 범위
6.30km
9.03km
2차 트리의 시작.
우선 주포의 경우 장전 시간이 확 늘어나고 과관통이 늘어난 대신, 관통력이 웬만한 순양함의 측면장갑도 뚫어버리는 수준으로 올라왔다. 8티 순양함들은 잘 안뚫리지만, 종이장갑이 대다수인 7티어 순양함정도는 충분히 뚫을만 하다. 과관통 문제도 거리를 벌리면 어느정도는 해결되니 어차피 DPM도 낮겠다 모든 함종을 상대로 거리를 벌리는 연습을 하도록 하자. 집탄과 탄속이 워낙 우월한지라 장거리에서 싸우는게 유리하다.
어뢰는 사거리를 제외하고는 모든 측면에서 열화되었다. 그럼에도 투발량 자체가 적은건 아니지만, 순양함의 어뢰처럼 보너스라고 생각하고 어뢰 자체에 너무 집착하진 말자. 연막은 다른 구축함이나 순양함처럼 어그로가 끌릴 때 써주면 된다.
대서양 지역에서 운용할 목적으로 설계된 구축함을 개량한 군함으로 선체 크기는 순양함만큼 거대하였다. 모든 주함포가 2연장 포탑에 탑재된 것이 특징이다.
선체
생존
내구도
집중 방호 구역 보호
화재 및 침수 저항
22,420
5%
10%
{{{#!wiki style="margin: -16px -11px;"
장갑 효율
어뢰 방호 장갑
4.50%
4.50%
}}}
기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최고 속력
최고속력 도달시간
36.12knot
10.98초
}}}
{{{#!wiki style="margin: -16px -11px;"
최대 선회 속도
조타 시간
7.60도/초
5.10초
}}}
주함포
명칭
탑재 수
재장전 시간
사거리
포탑 회전 속도
150 mm L/60 SK C/25
3×2
6.20초
10.27km
15도/초
탄종
공격력
화재 유발 확률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고폭탄
413
4%
-
철갑탄
673
-
150%
어뢰
명칭
탑재 수
재장전 시간
어뢰 공격력
533 mm Vierling
2×4
57초
4,130
{{{#!wiki style="margin: -16px -11px;"
사거리
속력
침수 유발 확률
어뢰 발사관 회전 속도
9.60km
50.02knot
15%
20도/초
}}}
대공포
DPS
사거리
소구경 대공포
71
3.90km
소구경 대공포
80
2.40km
<colbgcolor=#808080><rowcolor=#ffffff><colcolor=#ffffff> 피탐지 범위
기본 피탐지 범위
포격 이후 피탐지 범위
6.72km
10.27km
8티어에서 생겼던 암이 9티어에서 해소된다.
우선 선체 크기는 더 커졌지만 내구도, 기동력 등의 생존성 관련 스펙들이 전부 상향되었고, 대공 수치 자체는 낮지만 사거리가 긴데다 대공 경보도 있어서 연막 속에서 무빙을 잘 쳐준다면 2~3기 정도는 떨굴 수 있다.
화력은 드디어 정상화되었다. 주포는 깔끔하게 2연장 포탑 3기로 정리되었고, 비록 중앙 포탑이 있긴 하지만 포각 자체는 상당히 좋아 전방을 바라본 상태로 무빙을 치면서 주포 사격이 가능하기에 불편함을 거의 느끼지 못한다. 철갑탄의 경우 아직 과관통 빈도가 엘빙보다는 낮기에 약간만 거리를 벌려도 대구축이 가능하다. 어뢰는 아예 환골탈태했는데, 원래대로 돌아온 어뢰 배치에 더해 1분을 넘어갔던 장전시간도 무려 16초나 줄어들면서 대전함, 대순양 옵션이 하나 더 생겨났다. 속력은 여전히 느리지만, 사거리가 매우 길기에 견제용으로 상당히 좋다. 늘어난 데미지와 침수율은 덤.
"정찰 순양함" 기획으로 탄생한 군함으로 공해에서 운용 가능한 구축함 제작에 필요한 모든 노력이 집대성된 결과물이다. 해당 대형 구축함은 150mm 주함포를 2연장 포탑에 장착하였으며 강력한 어뢰 무장을 탑재하였다.
전설 장비
함포 통제실: 주포 재장전 시간: -15%, 주포 사거리: -10%
선체
생존
내구도
집중 방호 구역 보호
화재 및 침수 저항
27,346
5%
10%
{{{#!wiki style="margin: -16px -11px;"
장갑 효율
어뢰 방호 장갑
4.50%
4.50%
}}}
기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최고 속력
최고속력 도달시간
35.57knot
11.22초
}}}
{{{#!wiki style="margin: -16px -11px;"
최대 선회 속도
조타 시간
7.10도/초
5.70초
}}}
주함포
명칭
탑재 수
재장전 시간
사거리
포탑 회전 속도
150 mm L/60 SK C/25
3×2
6초
11.27km
15도/초
탄종
공격력
화재 유발 확률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고폭탄
424
4%
-
철갑탄
726
-
150%
어뢰
명칭
탑재 수
재장전 시간
어뢰 공격력
533 mm Fünfling
2×5
66.50초
4,235
{{{#!wiki style="margin: -16px -11px;"
사거리
속력
침수 유발 확률
어뢰 발사관 회전 속도
10.50km
50.02knot
15%
20도/초
}}}
대공포
DPS
사거리
소구경 대공포
73
3.90km
소구경 대공포
145
2.40km
<colbgcolor=#808080><rowcolor=#ffffff><colcolor=#ffffff> 피탐지 범위
기본 피탐지 범위
포격 이후 피탐지 범위
7.02km
11.27km
이젠 진짜로 구축함이라고 부르기 뭐해졌다.
실제로 운용법은 그냥 연막 있는 순양함들과 똑같아진다. 대신 차이점이라 한다면, 대다수 경순양함과는 달리 이쪽은 고폭탄의 DPM 대신 초월적인 관통력을 가진 철갑이 주무기라는 것 정도. 주포의 철갑탄은 사거리를 제외한 탄속, 관통력, 데미지 모두가 웬만한 10티어 정규 중순양함들과 어깨를 나란히하는 수준이며, 이전 티어 슐츠까지는 가능했던 철갑 대구축은 엘빙에 와서 사실상 불가능해진다. 대구축을 하자면 고폭탄을 끼워야 할 정도.
그리고 나머지 스펙은 거의 9티어 슐츠에서 약간씩 강화시킨 수준이다. 특이점으로 주포탑 2개가 후방에 몰려있는데, 이러한 특징을 활용하여 함미만 빼꼼 내놓고 적 전함이나 순양함의 선수, 선미를 갉아먹는 플레이도 가능하다. 시타델이 없는데다 연막까지 3개나 있으니 가능한 플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