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3 13:10:23

윌리엄 뷰익

파일:wbuick.jpg
<colbgcolor=#ba0c2f><colcolor=#fff> 이름 윌리엄 뷰익
Willam Buick
출생 1988년 7월 22일 ([age(1988-07-22)]세)
노르웨이 오슬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노르웨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노르웨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54kg
직업 경마 기수
데뷔 2006년
성적 통산 -승 이상
G1 77승[1]

1. 개요2. 커리어3. 주요 기승마
3.1. 영국3.2. 아일랜드3.3. 독일3.4. 호주3.5. 홍콩3.6. 일본
4. 기록

1. 개요

영국을 거점으로 유럽에서 활동하는 노르웨이인 기수.

2. 커리어

3. 주요 기승마

G1 경기만 기재, 국적은 조교국 기준.

3.1. 영국

  • Lahaleeb - 파일:캐나다 국기.svg E. P. 테일러 스테이크스(2009)
  • Dream Ahead - 파일:프랑스 국기.svg 모르니상(2010), 미들 파크 스테이크스(2010), 스프린트 컵(2011), 파일:프랑스 국기.svg 포레상(2011)
  • Debussy - 파일:미국 국기.svg 알링턴 밀리언(2010)
  • Elusive Kate - 파일:프랑스 국기.svg 마르셀 부사크상(2011), 파일:프랑스 국기.svg 로칠드상(2012, 2013), 팰머스 스테이크스(2013)
  • Masked Marvel -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2011)
  • Izzi Top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프리티 폴리 스테이크스(2012),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 로마네상(2012)
  • Great Heavens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이리시 오크스(2012)
  • Sajjhaa - 제벨 하타(2013)
  • Winsili - 나소 스테이크스(2013)
  • Sultanina - 나소 스테이크스(2014)
  • Charming Thought - 미들 파크 스테이크스(2014)
  • Lumiere - 치블리 파크 스테이크스(2015)
  • Tryster - 제발 하타(2016)
  • Hawkbill - 이클립스 스테이크스(2016), 두바이 시마 클래식(2018)
  • Wuhedia - 파일:프랑스 국기.svg 마르셀 부사크상(2016),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더스컵 필리&메어 터프(2017)
  • Sobetsu - 파일:프랑스 국기.svg 생탈라리상(2017)
  • Wild Illusion - 나소 스테이크스(2018), 파일:프랑스 국기.svg 오페라상(2018)
  • Quorto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빈센트 오브라이언 내셔널 스테이크스(2018)
  • Line of Duty -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더스컵 주버나일 터프(2018)
  • Old Percian - 두바이 시마 클래식(2019)
  • Pinatubo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빈센트 오브라이언 내셔널 스테이크스(2019), 듀허스트 스테이크스(2019),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 프라상(2020)
  • Barney Roy - 제발 하타(2020), 파일:독일 국기.svg 달마이어 대상(2020)
  • Space Blues - 파일:프랑스 국기.svg 모리스 드 게스트상(2020), 파일:프랑스 국기.svg 포레상(2021),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더스컵 마일(2021)
  • Hurricane Lane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이리시 더비(2021),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리 대상(2021),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2021)
  • Adayar -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2021)
  • Native Trail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빈센트 오브라이언 내셔널 스테이크스(2021), 듀허스트 스테이크스(2021),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이리시 2,000 기니(2022)
  • Saffron Beach - 선 채리엇 스테이크스(2021), 파일:프랑스 국기.svg 로칠드상(2022)
  • Modern Games -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더스컵 주버나일 터프(2021), 파일:프랑스 국기.svg 풀 데세 드 풀랭(2022), 파일:캐나다 국기.svg 우드바인 마일(2022),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더스컵 마일(2022), 로킨지 스테이크스(2023)
  • Yibir -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더스컵 터프(2021)
  • Mystrious Night - 파일:캐나다 국기.svg 서머 스테이크스(2022)
  • Nation's Pride - 파일:미국 국기.svg 새러토가 더비(2022), 파일:독일 국기.svg 달마이어 대상(2023),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인터내셔널 스테이크스(2023)
  • Lezoo - 치블리 파크 스테이크스(2022)
  • Rebel's Romance - 파일:독일 국기.svg 오이로파상(2022, 2024), 두바이 시마 클래식(2024), 파일:홍콩 국기.svg 챔피언스 & 차터 컵(2024),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더스컵 터프(2024)
  • Mischief Magic -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더스컵 주버나일 터프 스프린트(2022)
  • Master of the Seas - 파일:캐나다 국기.svg 우드바인 마일(2023),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더스컵 마일(2023)
  • Ancient Wisdom - 퓨처리티 트로피(2023)
  • Measured Time - 제발 하타(2024)
  • Mill Stream - 줄라이 컵(2024)
  • Shadow of Light - 미들 파크 스테이크스(2024), 듀허스트 스테이크스(2024)
  • Desert Flower - 필리즈 마일(2024)
  • Kalpana - 브리티시 챔피언스 필리스 & 메어스 스테이크스(2024)
  • Believing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알코즈 스프린트(2025)

3.2. 아일랜드

  • Gordon Lord Byron - 파일:프랑스 국기.svg 포레상(2012)

3.3. 독일

  • Earl of Tinsdal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밀라노 대상(2012)

3.4. 호주

  • Ortensia - 파일:영국 국기.svg 넌소프 스테이크스(2012)

3.5. 홍콩

  • Pakistan Star - 퀸 엘리자베스 2세 컵(2018)

3.6. 일본

4. 기록



[1] 기준[2] 데이비드 프로버트와 공동 수상[3] 2000 기니 스테이크스, 1000 기니 스테이크스, 더비 스테이크스, 오크스 스테이크스,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