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 동 | 중 | 서 | 유성 | 대덕 |
박희조 | 김제선 | 서철모 | 정용래 | 최충규 | |
* 중구청장 김광신 당선무효 (2023.11.30.) | |||||
민선 1기 / 민선 2기 / 민선 3기 / 민선 4기 / 민선 5기 / 민선 6기 / 민선 7기 | }}}}}}}}}}}}}}} |
대전광역시 유성구청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초대 변기수 | 제2대 남상우 | 제3대 김용관 | 제4대 이세호 | 제5·6대 송석찬 |
제7·8대 이병령 | 제9·10대 진동규 | 제11·12대 허태정 | 제13·14대 정용래 | ||
}}}}}}}}} |
<colcolor=#ffffff> '''대전광역시 유성구청장 儒城區廳長 Mayor of Yuseong-gu ''' | |
현직 | <colbgcolor=#ffffff,#1f2023>정용래 / 제13·14대 (민선 7·8기) |
취임일 | 2018년 7월 1일 |
정당 | |
링크 |
[clearfix]
1. 개요
대전광역시 유성구청장은 대전광역시 유성구를 대표하고, 그 사무를 총괄하는 기초자치단체장이다. 근무지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학로 211 (어은동 109)에 있는 유성구청이다. 1급 공무원 상당의 대우를 받고, 4년에 1회마다 치러지는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주민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3회까지 연임할 수 있다.2. 역대 유성구청장
<rowcolor=#fff> 대수 | 이름 | 재임 기간 | 정부 및 당적[1] | 전직 | 비고 |
관선(임명직) 대전직할시 유성구청장[2] | |||||
초대 | 변기수 | 1989년 1월 1일 ~ 1991년 5월 24일 | 노태우 정부 | ||
2대 | 남상우 | 1989년 5월 25일 ~ 1992년 6월 2일 | |||
3대 | 김용관 | 1992년 6월 3일 ~ 1994년 1월 2일 | |||
4대 | 이세호 | 1994년 1월 3일 ~ 1995년 6월 30일 | 김영삼 정부 | [3] | |
민선(선출직) 대전광역시 유성구청장[4] | |||||
5대 | 송석찬 |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 | 대전광역시의회 의원 | |
6대 | 1998년 7월 1일 ~ 2000년 2월 11일 | [[새정치국민회의|]] | [5] | ||
7대 | 이병령 | 2000년 6월 12일 ~ 2002년 6월 30일 | [[자유민주연합|]] |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전사업본부 본부장 | |
8대 | 2002년 7월 1일 ~ 2003년 12월 17일 | [6] | |||
9대 | 진동규 | 2004년 6월 7일 ~ 2006년 6월 30일 | | 대전광역시의회 의원 | |
10대 |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
11대 | 허태정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민주당(2008년)|]] | 과학기술부총리 정책보좌관 | |
12대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새정치민주연합|]] | [7] | ||
13대 | 정용래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 | 조승래 국회의원 보좌관 | |
14대 | 2022년 7월 1일 ~ 현재 |
[1] 선거 당시 당적[2] 3급(지방부이사관) 상당[3] 대전광역시 유성구청장[4] 1급(지방관리관) 상당[5]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출마를 위해 구청장직 사퇴.[6]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출마를 위해 구청장직 사퇴.[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전광역시장 선거 출마를 위해 구청장직 사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