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color=#D10029>{{{#!wiki style="margin:-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10029><tablebgcolor=#D10029> | Crazy Raccoon 2025 시즌 로스터 |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 <colbgcolor=#D10029><colcolor=#000>감독 | Moon ]] | |
코치 | Pavane ]] | Kong ]] | ||
로스터 | |||
DAMAGE | LIP ]] | HeeSang ]] | |
TANK | Junbin ]] | MAX ]] | |
SUPPORT | shu ]] | CH0R0NG ]] | |
OWCS 참가 팀 로스터 | }}}}}}}}} |
파일:LIP 2025 POTM.png | |
<colbgcolor=#d10028><colcolor=#000> Crazy Raccoon LIP | |
이재원 (Lee Jae-won) | |
출생 | 2001년 11월 5일 ([age(2001-11-05)]세) |
울산광역시 | |
국적 |
|
신체 | 194.5cm |
ID | LIP |
포지션 | DAMAGE |
감도 | DPI 800 / SENS 5.4[1] |
주 영웅 | |
경력 상금 | $578,661 (₩830,225,097.25 KRW)[2] |
데뷔 | 2018년 11월 26일 (데뷔일로부터 [dday(2018-11-26)]일째, [age(2018-11-26)]주년) |
소속 |
(2024. 04. 07.~) |
국가대표 | |
DAMAGE 롤스타 | |
|
1. 개요
파일:LIP Crazy Raccoon 2025 OWCS 코리아 스테이지 1.jpg |
Lee "LIP" Jae-won |
2. 플레이 스타일
2025년 현시점 독보적인 에임과 뇌지컬을 가진 세계 최고의 선수 중 한명이다.히트스캔 기반의 넓은 영웅 폭과 뛰어난 뇌지컬을 가진 다재다능한 선수이자 완성형 메인 딜러이다. 캐서디, 한조, 애쉬, 위도우메이커, 소전과 같은 중 원거리 딜러들도 압도적인 에임[3]과 예리한 킬각을 바탕으로 발군의 실력을 가지고 있고, 솜브라, 리퍼, 심지어는 투사체 영웅인 둠피스트를 비롯한 근접 딜러도 뛰어난 기량을 가지고 있다. 에임이 상당히 뛰어난데, 에임 핵 아니냐는 팬들의 농담을 들을 정도로 연발 공격과 단발 공격을 가리지 않고 타깃에게 거의 고정되다시피 에임이 굉장히 빠릿하게[4] 따라간다. ESM 때는 리퍼로 상대편 리퍼가 숨어있을 만한 장소를 먼저 예측하고 선제공격을 가 한다든지, 적진에 진입해 망령화로 빠져나오면서 기습 당할 수 있는 위치를 모두 훑고 나와서 팀이 안정적으로 공격을 가할 수 있게 하는 등, 영리한 플레이도 자주 보여주는 편.
리그가 진행되면서 립이 가장 많이 플레이하고 가장 좋은 평가를 받는 픽은 바로 솜브라. 뛰어난 에임이 받혀주고 쉴 새 없는 궁극기 게이지 파밍을 통한 빠른 궁 사이클을 베이스로 깔고 있으며, 우클릭 단일 해킹으로도 결정적인 상대 픽을 해킹해 한타를 뒤집는 모습도 자주 보여준다. 특히 립의 EMP 사이클은 타 선수들과 다른 차원일 정도로 빨라서 상하이가 솜브라 조합을 쓸 때 상대팀과 차이를 만들어낼 수 있는 가장 강력하고 확실한 무기이다.[5] 또, EMP 사이클이 빠르다는 뜻은 그만큼 딜로스가 적다는 뜻이기도 해서 솜브라의 딜량만 놓고 봐도 한타 기여도가 매우 높다. 가끔 그 힘들다는 0인 EMP(...)를 보여줄 때도 있었지만 현재는 많이 개선된 상태. 립의 솜브라의 또 다른 특징이 바로 다른 선수들과는 차별화되는 EMP 활용 방식이다. 대다수의 선수들이 그렇듯 최대한 많은 적군들이 걸리도록 EMP를 쓰는 방식에 일관하기보다는, 비록 소수더라도 확실히 잡을 수 있는 적군한테 걸고 포커싱으로 잡는 전략을 사용하거나 본인의 임기응변으로 예상하지 못한 타이밍에 궁극기를 써서 상대의 템포가 끊기게 하는 플레이를 자유자재로 섞어서 쓴다. 이런 스타일로 립의 솜브라를 주축으로 삼은 조합을 통해 팀이 많은 이득과 승리를 챙겨가고 있다.[6] 다만, 본인의 컨디션과 팀의 연계력에 따라 EMP의 적중률 및 효율성이 오락가락하는 경향은 있다.[7][8] 맞솜브라 상황에서는 상대팀 솜브라 견제를 노련하게 한다. 적군 솜브라의 위치 변환기를 찾아내서 팀으로부터 적 솜브라가 은신을 풀었다는 콜을 들으면 위치 변환기를 파괴하여 아군이 솜브라를 잡을 수 있도록 하는 플레이에 능하다.
맥크리, 애쉬, 한조, 소전 등의 중장거리 딜러 실력도 리그 최상위 수준이다. 뛰어난 에임과 정확한 상황 판단이 뒷받침되기 때문에 끊임없이 딜을 퍼부우면서 킬을 낸다. 위에 적혀있는 것처럼 립의 솜브라는 다른 선수들과 차원이 다를 정도로 EMP 사이클 속도가 빠른데, 사실 비단 솜브라뿐만 아니라 립은 어느 캐릭터를 플레이하든 궁극기를 빨리 채워내는 특징이 있다. 그만큼 에임이 뛰어나고 그 뛰어난 에임을 제대로 발휘한다는 뜻. 유일하게 위도우메이커가 경험 부족 때문인지 실력이 상대적으로 평범하다는 평가가 있었으나[9] 2020시즌 카운트다운 컵에서 위도우메이커로도 무서운 경기력을 선보이면서 위도우메이커 또한 상당한 실력자임을 증명했다. 2021시즌에는 대회에서 위도우메이커 플레이 타임이 늘어났고 활약상과 승률 또한 아주 좋다.
2022시즌에서도 솔저, 애쉬, 소전 등 하는 영웅마다 압도적인 실력을 자랑하며 자신이 리그의 최고 메인 딜러임을 증명했다.
상하이 드래곤즈 시절 파트너 딜러인 플레타와의 궁합도 환상적이었다. 립-플레타[10] 두 딜러진 만으로도 대회에서 메타마다 필요로 하는 거의 모든 딜조합이 가능했다. 딜러 조합은 보통 히트스캔의 메인딜, 투사체의 서브딜러로 나누어지며, 기본적인 운영은 상하이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투 섭딜 체제, 투 메인딜 체제도 가능한 리그 유일한 딜러진이었다. 리그에서 순수하게 두 선수만으로 이 정도의 수많은 딜러 조합을 완성도 높게 가져올 수 있는 딜러 듀오는 모든 팀을 뒤져봐도 찾기가 어렵다.[11] 2020시즌부터 현재까지 리그의 최정상 딜러진[12]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때문에 20시즌부터 지금까지의 활약을 바탕으로 한 화려한 커리어와 귀신같은 에임, 그리고 압도적인 퍼포먼스 덕분에 현 오버워치씬 최고의 메인 딜러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심지어 시간이 지나도 기량이 떨어지기는커녕 고점은 그대로에 오히려 기복이 줄어드는 모습을 보이며 이전까지 최고의 메인 딜러로 꼽히던 카르페를 제치고 오버워치 역사상 최고의 메인 딜러로 평가받고 있다. 그의 위상이 어느 정도냐면 오버워치 GOAT는 립이라는 여론이 매우 많을 정도이다.
그리고 2024년, 대망의 정규시즌 MVP를 수상하였다.
3. 선수 경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재원(2001)/선수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재원(2001)/선수 경력#|]][[이재원(2001)/선수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1. 주요 경력
4. 장비 및 감도
<rowcolor=#000> 마우스 설정 (Mouse Settings) | |||||
<rowcolor=#fff> 마우스 | eDPI | DPI | 감도 | 조준감도 | 그립법 |
Logitech G PRO X SUPERLIGHT 2 [A] | 4320[14] | 800 | 5.4 | 33[15] | Finger grip[16] |
<rowcolor=#000> 최종 업데이트 2024년 11월 27일 [수정일] |
<rowcolor=#000> 장비 (Hardware) | ||
<rowcolor=#fff> 마우스 | 마우스패드 | |
Logitech G PRO X SUPERLIGHT 2[A] | SteelSeries QcK Pro[19] | |
<rowcolor=#fff> 모니터 | 주사율 | 본체 사양 |
ASUS ROG SWIFT PG258Q[20] | 240hz | i9 11900K , RTX 3080Ti |
<rowcolor=#fff> 키보드 | 헤드셋 | |
Filco Majestouch Convertible 3[21] | Astro A50 X[22][23] | |
<rowcolor=#000> 최종 업데이트 2024년 11월 27일 [수정일] |
<rowcolor=#000> 인게임 설정 (Ingame Settings) | ||
<rowcolor=#fff> 그래픽 | 그래픽 품질 | |
해상도 1920 * 1080[25], 렌더링 스케일 100%, 최대 프레임률 300[26] | 낮음[27] | |
<rowcolor=#fff> Nvidia Reflex | 초정밀 마우스 | 조준선 |
비활성화 | 비활성화 | 초록색 십자선 1 11 5 100 0 |
<rowcolor=#000> 최종 업데이트 2024년 11월 27일 [수정일] |
5. 여담
- 손 크기는 키보드 F열 기준 F10 정도로 장신인데 반해 손 크기는 평범하다.
- 마우스 그립법은 핑거 그립이다. 본인은 손바닥이 마우스에 안 닿는 게 당연한 건 줄 알았다고.
- 발 사이즈는 275라고 한다.
- 시력이 좋지 않은 편이지만[31] 안경은 불편해 착용하지 않는다고 한다. 이로 인해 모니터를 많이 당겨 쓴다.
- 공황장애가 있다고 한다. 2019년 말에 처음 공황장애를 겪기 시작했고 공황장애 약을 먹은 채로 경기를 하다 보니 항상 피곤하고 무기력하고 멍한 상태로 경기를 했다고 한다.[32] 23년 현재는 평상시에는 괜찮지만 공포영화같이 공포감을 느끼게 하는 거나 혐오스러운 것을 보면 호흡이 턱 막힌다고.[33]
- 방송 분위기는 LIP 본인이 말 수가 적어 시청자 수 대비 채팅창이 조용한 편이다.
- 아무도 모르는 완전 비밀 부계가 있었다. 한국시간 기준 2023년 9월 15일, 계정을 공개하였다. 닉네임은 토스페이.[34] 참고로 이 계정으로 겐지를 하던 도중 칼리오스 선수에게 욕을 먹었다고 한다. 또한 오버워치 2 2시즌 즈음에 영구 정지를 받았었다고 한다. 현재는 이의 제기를 하여 푼 듯.
- 목소리가 상당히 좋다.
- MBTI는 INTP이다.
- 젠지 GEEA 출신의 oPal(최미현)과 2020년부터 연애 중이다.
- 2023 시즌 시작 후 애틀랜타 레인으로 이적, 등번호 70번을 그대로 고수하는 듯 보였으나 보스턴 전에서부터 2번으로 바뀌었다. 오버워치 리그 공홈에서도 2번으로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2번으로 결정한 듯.
- 대부분의 메인 딜러 포지션 선수들은 타 포지션 선수들에 비해 영웅 폭이 좁은 경우가 많지만 립은 영웅 폭이 괴랄한 수준으로 넓다. 최상위권 서브딜러 선수들을 맞 상대 해도 전혀 밀리지 않고 힐러와 탱커 또한 경쟁전 1페이지를 찍을 정도로 매우 잘한다.[35] 기본적으로 뇌지컬이 매우 뛰어나 딜을 넣을 타이밍과 힐을 넣을 타이밍의 구분을 매우 잘하고 포지션 또한 잘 잡아서 무슨 영웅을 하던 스탯이 엄청나게 높은 모습을 보인다.
- 장비에 굉장히 관심이 없는듯 하다. 대표적인 예시로 자신의 마우스패드가 정사각형인 줄 알고 있는 데다가[36], 가장 기본적인 마우스 드라이버[37] 조차 깔려있지 않다. 인 게임 설정 값도 웬만해선 기본에서 잘 바꾸지 않는다. 이 외에도 장비에 대해 별 관심이 없는 모습을 자주 보였다.
- 인 게임에서 바꿔서 쓰는 조작키는 상호작용 - V / 근접 공격 - F, 마우스 4번 버튼 / 인사 - G / 핑 - 마우스 휠 클릭, CAPSLOCK[38]이다.
- FPS 게임은 초등학생 때 건즈 온라인으로 입문했다고 한다. 이후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을 2년 동안했는데, 랭킹 1등 클랜에 속해있던 적이 있으며 자신을 모르는 유저가 없을 정도로 실력이 매우 좋았다고.
- 대회가 끝나자마자 방송을 켜 오버워치를 하고, 심지어 경기를 진 날에도 방송을 키고 오버워치를 할 정도로 선수들 중에서도 손에 꼽힐 만큼 오버워치를 정말 많이 하고 좋아하는 선수이다.
- 아버지와 판박이 수준으로 닮았다고 한다. 본인이 아버지 나이대가 되면 딱 아버지처럼 생겼을 것 같다고.
- 손에 땀이 많은 편이다. 다한증이 있다
- 본명인 이재원은 개명한 것이고, 개명 전 이름은 이재민이라고 한다.
5.1. 갤러리
<nopad> | | |
오버워치 리그 2020 시즌 | 오버워치 리그 2021 시즌 | 오버워치 리그 2022 시즌 |
|
| | |
오버워치 리그 2023시즌 | OWCS 2024 | EWC OW |
| |
6. 둘러보기
이재원 관련 틀 | |||||||||||||||||||||||||||||||||||||||||||||||||||||||||||||||||||||||||||||||||||||||||||||||||||||||||||||||||||||||||||||||||||||||||||||||||||||||||||||||||||||||||||||||||||||||||||||||||||||||||||||||||||||||||||||||||||||||||||||||||||||||||||||||||||||||||||||||||||||||||||||||||||||||||||||||||||||||||||||||||||||||||||||||||||||||
|
[1] 줌감도 33, 애쉬 60, 과거 감도 6에서 5.4로 변경[2] 2025년 1월 22일 기준[3] 같은 팀의 플레타가 립의 에임이 부럽다며 트레이서, 캐서디, 위도우 모두 립이랑 1 대 1을 하면 자신 없다고 할 정도로 에임이 좋다.[4] 보통 에임이 뛰어난 선수들은 물처럼 흐르듯이 부드러운 에임을 보여주지만 립은 특이하게도 굉장히 빠릿빠릿한 독특한 에임을 보여준다.[5] 상하이를 상대로 루시우 모이라 힐러 조합이 잘 먹히지 않는 가장 큰 이유라는 얘기도 있다. 융화 카운터로 EMP를 쓰고 그다음 비트 타이밍에 또 EMP가 날아오고, 그다음 융화 때는 없겠지 하면 다시 한번 EMP를 맞아서 모조리 카운터를 당하고, 그 사이에 팀의 다른 선수들이 거의 무조건적으로 변수를 내주기 때문.[6] 이제는 상하이의 아이덴티티와도 같은 플레이 스타일이 되었는데, 기본적인 상하이의 돌진 조합에서 20시즌에는 피어리스의 윈스턴을 필두로, 21시즌에는 페이트의 레킹볼을 필두로 EMP에 적중한 소수에게 플레타 선수의 트레이서가 함께 달려들어 무조건 최소 1킬을 낸다.[7] 이것은 단지 립 개인의 문제 외에도 상하이가 신중한 EMP 사용보다 빠른 템포의 EMP 이니시에이팅을 더 장려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8] 이러한 궁극기 활용인 출범 시즌 쪼낙의 젠야타와 비슷하다. 다른 힐러들과 비견되지 않는 궁 사이클 속도를 가졌던 쪼낙은 다소 의문이 많이 가는 초월 타이밍을 가졌다. 초월로 인한 자신의 생존력 증가는 그만큼 막대한 딜링 능력으로 어졌기에 가능한 운용 방식이었다.[9] 상하이에는 2019시즌 최고의 위도우메이커였던 diem이 있기 때문에 위도우메이커를 써야 하는 맵에서는 LIP이 잘 기용되지 않았다.[10] 소위 립레타 조합이라 불린다.[11] 없는 것은 아니다. 전 플로리다 메이헴의 야키 비큐비 듀오도 상당히 강한 딜러진으로 평가받았고, 당장 라이벌팀인 서울 다이너스티의 프로핏츠도 기량이 좋을 때는 립레타와 대등한 모습을 보여주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그 이상을 보여주는 경우도 없지 않다. 그러나 유독 플레타와 립 듀오가 2021 시즌까지 타 딜러 듀오에 비해 높은 평가를 받아왔던 점은 바로 그 많은 조합을 소화하면서도 두 선수의 기복이 적다는 점이다. 플레타는 6인 전원이 캐리가 가능하다는 상하이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에이스라는 평가를 받을 정도로 기복이 없는 선수고, 립 선수도 흔들리는 모습이 아예 없진 않았지만 고점을 밥 먹듯이 뽑아내는 등 크게 흔들리는 모습은 팀의 플레이 스타일이 안정된 이후로는 크게 줄었기 때문.[12] 플레타는 2020 시즌 MVP, 립은 2021 시즌 그랜드 파이널 MVP를 받았다.[A] 폴링레이트는 1000hz를 사용한다. 추가피트 사용 x. 마우스는 문제가 생기지 않는 한 바꾸지 않는다고 한다.[14] 모든 영웅 eDPI가 같다.[15] 애쉬 줌 감도 60, 갈고리 감도 100[16]
굉장히 독특한 핑거그립을 사용한다.[수정일] [dday(2024-11-27)]일 지남.[A] [19] 패드 교체주기는 6개월 정도라고 한다.[20] 개인 모니터. 참고로 벤큐 모니터는 특유의 색감때문에 선호하지 않는다고한다.[21] 크림치즈 색, 저소음 적축.[22] 이어폰은 AZEL EDITION G GEN 2 퍼플을 사용한다.[23] 이전에는 HyperX Cloud II , Sennheiser PC 373d를 사용했다.[수정일] [dday(2024-11-27)]일 지남.[25] FHD 240hz[26] 수직동기화, 삼중 버퍼링, 버퍼링 단축 모두 off, 감마 보정, 대비, 밝기 각각 2.20, 1.00, 0.99[27] 고품질 업 샘플링 기본, 계단 현상 방지 비활성화, 세부정보 성능 수치 표시 활성화, 프레임률, 네트워크 지연시간 표시 활성화[수정일] [dday(2024-11-27)]일 지남.[29] 본인의 키는 유전이라고 한다.[30] 이마저도 거북목과 굽은 허리로 인해 줄어든 키이다. 목과 허리를 교정하면 진지하게 2미터가 넘을 것 같다고.[31] 이전에 0.7이라고 언급. 현재는 시력이 더 떨어진 것 같다는 언급을 했다.[32] 실제로 대회 때 캠을 보면 하품을 수시로 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약 때문에 피곤해서 그렇다고 한다. 약은 21년도까지 꾸준히 먹다가 22년도 들어서 약 복용을 중단했지만, 미드시즌 매드니스 토너먼트 당시에 공황장애가 재발하여 다시 약 복용을 다시 시작했다고 한다. 다행히도 현재는 증상이 나아져 약 복용을 중단했다고 한다.[33] 공황장애가 생기기 전에는 공포영화나 공포 게임을 무서워하지 않고 잘 봤지만 공황장애가 생긴 이후로는 하지 못한다고 한다.[34] 본인이 토스 페이를 많이 써서 토스 페이로 지었다고.[35] 실제로 힐러로 프로 지향을 했었다고 한다.[36] 립이 사용중인 마우스패드는 가로가 더 긴 직사각형 패드이다. 또한 마우스패드 가로세로의 감도 편차에 대해 모르는 듯 하다.[37] 개인 방송에서 G HUB를 설치하지 않았다고 언급했다.[38] 정확히는 기본 핑을 휠 클릭, 적 발견 핑을 CAPSLOCK으로 해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