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일본프로야구 신인선수 선택회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998년 | 1999년 | 2000년 | 2001년 | 2002년 |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2023년 | 2024년 | 2025년 | 2026년 | 2027년 |
[clearfix]
1. 개요
2020년 10월 26일 시행하는 2020년 일본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1]2. 1라운드 지명
1라운드 지명은 드래프트를 신청한 전국의 모든 고교/대학/사회인야구 선수 중 1명을 지명하되, 중복 지명 시 추첨으로 결정한다.팀 | 1라운드 지명자 | 계약금 |
오릭스 버팔로즈 | 야마시타 슌페이타(후쿠오카대학 부속 오호리고교, 투수) | 8,000만 엔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 키자와 나오후미(게이오기주쿠대학, 투수) | 9,000만 엔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 이토 히로미(토마코마이 고마자와대학[2], 투수) | 1억 엔 |
히로시마 도요 카프 | 쿠리바야시 료지(토요타자동차, 투수) | 1억 엔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 하야카와 타카히사(와세다대학, 투수) | 1억 엔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 이리에 타이세이(메이지대학, 투수) | 1억 엔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 와타나베 켄토(토인요코하마대학, 내야수) | 1억 엔 |
한신 타이거스 | 사토 테루아키(킨키대학, 내야수) | 1억 엔 |
치바 롯데 마린즈 | 스즈키 쇼타(호세이대학, 투수) | 1억 엔 |
주니치 드래곤즈 | 타카하시 히로토(추쿄대학 부속 추쿄고교, 투수) | 1억 엔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이노우에 토모야(하나사키토쿠하루고교, 내야수) | 8,000만 엔 |
요미우리 자이언츠 | 헤이나이 류타(아지아대학, 투수) | 1억 엔 |
2.1. 중복 지명자 추첨
이 해의 드래프트에는 3명의 중복 지명자가 등장하여 3번의 추첨이 시행되었다.선수 이름 | 포지션 | 지명 팀 |
사토 테루아키 | 내야수 | 한신 타이거스(교섭권 획득), 오릭스 버팔로즈,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요미우리 자이언츠 |
하야카와 타카히사 | 투수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교섭권 획득),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치바 롯데 마린즈 |
스즈키 쇼타[재추첨] | 내야수 | 치바 롯데 마린즈(교섭권 획득),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
3. 2라운드 이후
3.1. 지명 방식
- 2라운드부터 모든 구단이 패스할 때까지, 혹은 모든 팀에서 지명한 선수의 총합이 120명이 될 때 까지 지명한다. 지명을 원치 않는 팀의 경우 해당 라운드에서 패스할 수 있다.
- 만약 모든 팀에서 지명한 선수가 120명이 안 될 시, 육성선수 드래프트를 시행한다. 만약 모든 팀에서 지명한 선수가 120명에 도달할 시, 아직 패스를 선언하지 않은 팀이 있다고 해도 드래프트가 강제종료된다.
- 지명방식은 짝수 라운드는 당해년도 순위의 역순, 홀수 라운드는 당해년도 순위대로 지명하는 방식.
- 양 리그가 1년마다 번갈아 가면서 지명 우선권을 얻는다. 전년도에는 센트럴 리그가 먼저 지명했기에 이번에는 퍼시픽 리그가 우선권을 얻는다.
- 시즌 도중에 진행되는 드래프트인 관계로 최종 순위가 아닌 드래프트 전날인 10월 25일 경기가 종료된 시점의 순위로 지명 순서를 결정하였다.
3.2. 지명 결과
※표시는 지명 거부나 대학 진학, 사회인야구 진출 등으로 지명팀에 입단하지 않은 선수.라운드 | 오릭스 | 야쿠르트 | 닛폰햄 | 히로시마 | 라쿠텐 | DeNA | 세이부 | 한신 | 롯데 | 주니치 | 소프트뱅크 | 요미우리 |
2 → | 겐 켄다이(외) | 야마노 타이치(투) | 이소바타 료타(외) | 모리우라 다이스케(투) | 타카다 코이치(투) | 마키 슈고(내) | 사사키 타케루(투) | 이토 마사시(투) | 나카모리 슌스케(투) | 모리 히로토(투) | 사사가와 요시야스(외) | 야마사키 이오리(투) |
3 ← | 키타 료토(외) | 우치야마 소마(포) | 후루카와 유다이(포) | 오오미치 하루키(투) | 후지이 마사루(투) | 마츠모토 류노스케(투) | 야마무라 타카요시(내) | 사토 렌(투) | 오가와 류세이(내) | 츠치다 류쿠(내) | 마키하라 코타(포) | 나카야마 라이토(내) |
4 → | 나카가와 하야테(투) | 모토야마 히유(내) | 호소카와 료헤이(내) | 코바야시 타츠토(투) | 우치마 타쿠마(투) | 코부카타 다이치(내) | 와카바야시 가쿠토(외) | 사카에다 유키(포) | 카와무라 토키토(투) | 후쿠시마 쇼타(투) | 카와라다 준페이(내) | 이토 유스케(투) |
5 ← | 나카가와 타쿠마(포) | 나미키 히데타카(외) | 네모토 하루카(투) | 나미키 슌(투) | 이리에 다이키(내) | 이케야 소타(투) | 오마가리 렌(투) | 무라카미 쇼키(투) | 니시카와 료스케(외) | 카토 츠바사(투) | 타노우에 소타(투) | 아키히로 유토(내) |
6 → | 아베 쇼타(투) | 카테카루 코타(투) | 이마가와 유마(외) | 야노 마사야(내) | 우치 세이류(투) | 타카다 타쿠토(투) | 타이신가 브랜던 타이가(내) | 나카노 타쿠무(내) | - | 미요시 히로노리(외) | - | 야마모토 이츠키(투) |
7 ← | - | - | - | - | - | - | 나카미가와 유타(외) | 타카데라 노조무(내) | - | - | - | 하기와라 테츠(투) |
8 → | - | - | - | - | - | - | - | 이시이 다이치(투) | - | - | - | - |
4. 육성선수 드래프트
4.1. 지명 방식
- 지명 선수가 120명 미만인 경우에 드래프트 종료 후에 이루어진다.
- 지명방식은 홀수 라운드는 전년도 순위의 역순, 짝수 라운드는 전년도 순위대로 지명하는 방식이다. 이 해에는 드래프트 지명 선수가 74명이었기 때문에 육성선수 드래프트를 진행한다.
4.2. 지명 결과
※표시는 지명 거부나 대학 진학, 사회인야구 진출 등으로 지명팀에 입단하지 않은 선수.라운드 | 오릭스 | 야쿠르트 | 닛폰햄 | 히로시마 | 라쿠텐 | DeNA | 세이부 | 한신 | 롯데 | 주니치 | 소프트뱅크 | 요미우리 |
1 → | 카와세 켄토(투) | 시모 신노스케(투) | 마츠모토 료다이(투) | 후타마타 쇼이치(포) | 이시다 슌(투) | 이시카와 타츠야(투) | 아카가미 유토(투) | 이와타 마사키(투) | 타니가와 유이토(포) | 콘도 렌(투) | 사토 히로키(투) | 오카모토 히로토(내) |
2 ← | 츠지가키 타카라(투) | 아카바네 요시히로(내) | 사이토 신지(투) | - | - | 카토 다이(투) | 하세가와 신야(외) | - | 오누마 켄타(투) | 우에다 코타로(투) | 나카미치 유야(투) | 키타 류스케(포) |
3 → | 우다가와 유키(투) | 마츠이 쇼(포) | - | - | - | - | 미야모토 조셉 켄(외) | - | 야마모토 다이토(외) | 마츠키히라 유타(투) | 쿠와하라 슈지(투) | 카사시마 나오키(투) |
4 ← | 츠리 주이(포) | 마루야마 쇼타(투) | - | - | - | - | 마메다 타이시(투) | - | 사토 쇼마(투) | - | 하야 신노스케(외) | 키노시타 모토야(투) |
5 → | 사노 유키카즈(외) | - | - | - | - | - | 미즈카미 요시노부(투) | - | - | - | 오가타 리쿠(내) | 마에다 켄키(포) |
6 ← | 코쵸 타쿠(내) | - | - | - | - | - | - | - | - | - | 이타니 쇼마(포) | 사카모토 하야토(포)[4] |
7 → | - | - | - | - | - | - | - | - | - | - | 오시로 신노(투) | 토다 나츠키(투) |
8 ← | - | - | - | - | - | - | - | - | - | - | 나카무라 료타(투) | 아베 켄유(투) |
9 → | - | - | - | - | - | - | - | - | - | - | - | 나라키 리쿠(투) |
10 ← | - | - | - | - | - | - | - | - | - | - | - | 야마사키 유스케(투) |
11 → | - | - | - | - | - | - | - | - | - | - | - | 호시나 코이치(외) |
12 ← | - | - | - | - | - | - | - | - | - | - | - | 가토 렌(내) |
5. 드래프트 이후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 1순위 키자와가 투수진에서 나름 희망을 보였다. 육성군에서 뽑은 우다가와 유키는 지명 후 구속이 오르며 팀의 투수진에 힘을 보태는 중이다.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 1순위 이토 히로미가 투수진의 중심이 되었다.
- 히로시마 도요 카프 - 1순위 쿠리바야시 료지가 2021년 신인왕, 도쿄 올림픽 금메달을 따며 성공했다. 2022년에도 마무리로서 잘 활약했으나, 2023년엔 부상으로 허덕이고 있다.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 1순위 이리에 타이세이는 불펜에 정착했고, 2순위 마키 슈고는 데뷔 첫 시즌부터 3할을 치더니 순식간에 팀의 프랜차이즈 스타가 되었다.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 아이러니하게도 이쪽은 지배하지명보다 육성지명에서 성공했다. 2순위 하세가와 신야는 아직 레귤러는 아니지만 준레귤러로 성장했고 4순위 마메다 타이시는 차기 마무리 투수로 지목됐고 5순위 미즈카미 요시노부는 22시즌 퍼시픽리그 최우수 중계투수상&퍼시픽리그 신인왕까지 달성했다.
- 한신 타이거스 -지명한 8명 중 3명이 바로 다음 시즌에 1군의 주축이 된데다 다른 선수들 중에서도 주전급 선수들이 쏟아져나온, 그동안의 암흑기를 한순간에 청산해버린 역대급 드래프트. 2021년의 경우 1순위 사토 테루아키는 중심타자로 성장했고, 2순위 이토 마사시는 데뷔 첫 시즌부터 선발 로테에 들었으며, 6순위 나카노 타쿠무는 유격수와 2루수를 오가고 공격에서는 2021년 도루왕을 차지하고 2023년엔 최다안타 경쟁에 뛰어들며 팀의 A클래스에 기여했다. 또한 2023년엔 5순위 무라카미 쇼키가 포텐을 제대로 터뜨려 팀의 1선발까지 차지했고, 8순위 이시이 다이치도 불펜에서 활약하기 시작했다. 이 드래프트의 대성공으로 인해 커널 샌더스의 저주를 깨부수고 2023년 일본시리즈를 우승하였다.
- 주니치 드래곤즈 - 1순위 타카하시 히로토가 선발 로테이션에 안착했으나 호투에 비해 저조한 득점지원으로 고통받는 중이다. 3순위 츠치다 류쿠는 2022년 시즌부터 타츠나미 카즈요시 감독에게 찍힌 교다 요타를 대신해 유격수 주전이 되었다.
6. 여담
-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인해 드래프트 회장이 리뉴얼 되었는데 본래는 12구단이 한데 모여서 회의를 진행했으나 감염 방지 차원에서 팀당 1개의 방을 배정받아 격리된 상태로 회의를 진행했다. 1라운드 추첨은 대표자 1명이 나와 별도의 장소에서 추첨을 하는 형태로 실시했으며, 팬들의 참관 또한 실시되지 않았다.
- 드래프트 회의는 보통 클라이맥스 시리즈 진행 기간에[5] 실시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코로나의 영향으로 6월 중순에 시즌이 시작된 탓에 정규시즌이 끝나지 않은 상황에서 실시된 드래프트이기도 하다.
[1] NPB는 KBO와 다르게 드래프트가 열린 해를 이름에 붙인다.[2] 현재의 호쿠요대학.[재추첨] [4] 팀 내 유격수 사카모토 하야토와 한자까지 똑같은 동명이인이다.[5] 대개 퍼스트 스테이지가 종료된 이후 파이널 스테이지 개막 전에 실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