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4 00:52:27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투헬호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투헬호의 2025년에 대한 내용은 투헬호/2025년 문서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투헬호/2025년#s-|]]번 문단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투헬호/2025년#|]] 부분을
#!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55555,#aaaaaa
1946년 ~ 현재
초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윈터보텀
2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램지
2대(대행)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머서
3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레비
4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그린우드
5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롭슨
6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G. 테일러
7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베너블스
8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호들
8대(대행)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윌킨슨
9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키건
9대(대행)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윌킨슨
9대(대행)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P. 테일러
10대
파일:스웨덴 국기.svg 에릭손
11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맥클라렌
12대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카펠로
12대(대행)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피어스
13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호지슨
14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알라다이스
14대(대행)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사우스게이트
15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사우스게이트
15대(대행)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카즐리
현직
16대
파일:독일 국기.svg 투헬
}}}}}}}}}}}}}}} ||


파일:Thomas Tuchel England Official.jpg
제22대 감독
토마스 투헬
<colbgcolor=#ffffff><colcolor=#000040> 감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토마스 투헬 / 제22대
코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잉글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잉글랜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앤서니 배리 (수석 코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앤티가 바부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앤티가 바부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앤티가 바부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저스틴 코크레인 (코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프랑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니콜라 마이어 (피트니스 코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포르투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포르투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엔히크 일라리우 (골키퍼 코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잉글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잉글랜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제임스 멜버른 (수석 분석관)
주장
계약 기간 2025년 1월 1일 ~ 2026년 6월 30일
계약 기간 ([dday(2025-01-01)]일)
연봉
전술 스타일 3-4-2-1 혹은 4-3-2-1
성적 2경기 2승 0무 0패 (승률 100%)

1. 개요2. 선임 과정3. 활동4. 평가

1. 개요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의 투헬 체제를 정리한 문서.

2. 선임 과정

2024년 10월 16일,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으로 부임하였으며 2025년 1월 1일부터 감독 업무를 시작했다.

계약 기간은 1년 반이며, 잉글랜드 대표팀 역사상 스벤예란 에릭손(2001~2006, 스웨덴인), 파비오 카펠로(2007~2012, 이탈리아인)에 이어 세 번째 외국인 감독(독일인)이다.

3. 활동

잉글랜드 대표팀 역사상 단 3명 밖에 없는 외국인 감독인데다, 하필이면 영국과 역사적으로 악연이 있는 독일 국적의 외국인 감독이다 보니 영국 내에서 감독에 선임된다는 소식이 들려오자마자 보수적인 영국 언론으로부터 투헬의 선임에 대한 비관적인 내용이 가득 담긴 내용들이 가득 쏟아져 나오면서 영국 언론들과는 시작부터 본의 아니게 사이가 안 좋게 됐다. 심지어 잉글랜드 자국민을 감독으로 무조건 선임해야 된다는 편향적인 기사도 여럿 보이면서 쉽지 않은 시작을 겪게 됐다.[1][2] 투헬 본인도 단기 계약을 했지만 전임자였던 가레스 사우스게이트가 어찌됐든 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 우승 이후 잉글랜드의 제2의 전성기를 성적으로 보여줬기에 사우스게이트에 못 미치는 성적이 한 번이라도 나온다면 엄청난 부담과 비판을 맞이할 것으로 예상된다.

물론 어디까지나 영국 언론의 반응이고, 다수의 잉글랜드 팬들은 투헬 선임이 굉장히 합리적이고 좋은 선임이라고 보고 있다. 오히려 영국 언론들의 보수적인 행태에 혀를 내두르며 그러면 영국 국적 감독 중에 현재 세계적인 현역 감독이 누가 있냐면서 기자들과 언론사들을 되려 콩가루가 될 정도로 까고 있다.[3] 우선 투헬은 첼시 FC에서 감독직을 수행하면서 영국 무대에 대한 이해도가 있는 감독이다. 또한 첼시와 파리 생제르맹 FC 시절 UEFA 챔피언스 리그 결승에 진출해 첼시로 우승을 하고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시절 DFB-포칼을 우승하는 등 토너먼트에 굉장히 강점을 보인 감독이기도 하다.[4] 즉 잉글랜드가 그토록 갈망하던 국제 대회 트로피를 들어올리는데 현재로서 이만한 적임자가 없다는 것이기도 하다. 또한 투헬의 최대 단점인 선수 영입 타율이 낮은 점도 국가대표팀에서는 아무 해당 사항이 없어져 버렸기에 단점이 상쇄된다는 점도 긍정적이다. 투헬이 보드진과 늘 겪었던 갈등도 국가대표팀 측으로 넘어오면서 상대가 보드진에서 한 나라의 축구 협회, 즉 공식 인사들로 바뀌었기에 갈등적인 부분도 어느 정도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다만 투헬이 첼시 마지막 시즌부터 FC 바이에른 뮌헨 시절까지 경기력 부분에서 하락세가 보였기에 전술은 반드시 수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투헬 선임 이후 과거 투헬이 몸담았던 첼시와 바이에른 뮌헨에 있는 잉글랜드 국가대표 출신 선수들이 중용될 것인지에 대한 주목이 쏠리고 있다. 물론 해리 케인과 같은 자원은 이견 없이 중용되겠지만 에릭 다이어, 메이슨 마운트 같이 경기력의 기복이 있거나 리스 제임스 같이 유리몸 기질이 너무 심해 실전 감각이 없는 선수도 다시 중용될 수 있을지 의문이다. 또한 전임 감독과 갈등이 있던 벤 화이트가 감독과 코치진까지[5] 바뀐 잉글랜드 국가대표팀에 다시 승선할 의사가 있는지도 주목된다.[6]

특히 뮌헨 감독 시절, 다이어를 주전 센터백으로 기용한 이력 때문에 다이어의 저열한 실력을 익히 잘 알고 있는 잉글랜드의 축구 팬들은 투헬이 감독으로 부임함으로서 다이어가 국대 주전 센터백으로 기용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사우스게이트가 EPL에서 뛰는 선수들 위주로 팀을 선발했으며 그걸로 사람들의 답답함을 유발하기도 했었던 반면 투헬은 다른 빅리그에서 뛰는 선수들도 선발할 가능성도 있기에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도 있다.[7]

3.1. 투헬호/2025년

3.1.1. 2026 FIFA 월드컵

2026 FIFA 월드컵 예선 3월 명단조던 헨더슨, 카일 워커, 마커스 래시포드, 등 배테랑을 재발탁하면서 상당한 논란을 만들었다.[8] 특히나 헨더슨의 재발탁이 가장 논란이 되었는데 헨더슨은 현재 아약스에서도 노쇠화와 좋지못한 폼으로 벤치로 나가는 횟수가 많아지고 있는데 기어코 헨더슨을 발탁한 것이다. 투헬이 베테랑 위주로 팀을 꾸린다는 것을 엿볼 수 있으며, 좋은 폼을 보여준 모건 깁스화이트[9],재러드 브랜스웨이트를 외면한 것에 말이 많다[10] 그나마 어린 나이의 마일스 루이스스켈리를 발탁했다. 그 외에는 댄 번을 발탁했는데 댄 번이 지금 폼이 좋은편이기에 나쁠건 없다는 반응이 대다수다.

다만 헨더슨을 제외하고 래쉬포드는 아스톤빌라 임대 이후 폼을 끌어올리고 있고 워커 역시 밀란 이적 후 핵심으로 자리 잡으면서 좋은 활약을 보여주고 있기에 적절한 발탁이라는 의견들이 많다. 특히 잉글랜드 국가대표팀은 지난 유로 2024에서 클럽과 국가대표에서 활약이 정반대인 경우가 너무나도 많은 바람에[11] 감독 입장에서는 구단에서의 활약이 어떻든 국가대표측에서 꾸준한 폼을 보여주며 합을 맞춘 선수들 위주로 발탁을 하는 것이 현재로서는 가장 안전하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

월드컵예선 알바니아전 2-0 승, 라트비아전을 3-0으로 가볍게 2승을 챙겼다.

4. 평가



[1] 이는 잉글랜드의 역사적인 배경까지 이해해야 된다. 영국은 축구에 있어서만큼은 외국인에게 사실 굉장히 보수적인 나라 중 하나이고, 최상위 리그인 프리미어 리그조차 1990년대나 되어서야 외국인 선수들과 감독들에게 문호를 조금씩 개방했다. 영국인들은 PL이 단연 세계 최고의 축구 리그라는 자부심이 강하며 프리미어 리그에서 뛰는 외국인 선수들은 많지만, 반대로 프리미어 리그 바깥에서 뛰는 잉글랜드 선수가 벨링엄, 케인 등 빅네임을 제외하면 생각보다 아직 생소하고 그 수도 반대에 비해 많지 않다는 것도 알 수 있다. 프리미어 리그 역사상 최초의 정식 감독이였던 아르센 벵거아스날 FC도 한창 잘 나갈 때 영국 선수가 아닌 역사적으로 감정의 골이 깊은 프랑스인 감독이 프랑스 선수들을 주축으로 우승했다는 이유로 영국 언론으로부터 계속 이유 없는 비판을 들었고, 심지어 FA 측에서 아스날을 상대로 외국인 선수 비율이 높다는 이유로 판정을 불리하게 한다는 정황도 과거 보도된 바가 있다. 실제로 아스날은 프리미어 리그에서 오심으로 가장 많은 승점을 잃은 구단으로 통계가 잡히기도 했고 현재도 일부 영국 언론들이 비우호적으로 기사를 쓰는 구단이다.[2] 영국과 독일간의 관계를 생각한다면 사실 엄청난 선임이라고 할 수밖에 없기도 하다. 세계 대전 때 특히 영국이 마지막까지 독일과 싸우던 몇 안 되던 유럽 국가였던 것을 생각한다면 감정이 좋을 리가 없다. 물론 프랑스-독일간의 관계나 영국-아일랜드에 비견될 정도는 아니지만 충분히 바로 그 밑 정도 감정으로 생각하면 된다. 쉽게 말하자면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에 일본인이나 중국인 혹은 조선족 출신 감독을 앉혔거나 그 반대라고 생각하면 된다. 물론 배드민턴 등 축구 이외의 스포츠 종목들은 한국인 코치나 감독이 일본 대표팀에서 활동하는 사례가 이미 있긴 하지만.[3] 특히나 투헬 선임 며칠 전 스페인 국적의 펩 과르디올라 부임설에 대다수 영국 언론들이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았던지라 속 보이는 짓이라고 더더욱 까이고 있다.[4] 제대로 말아먹은 그 FC 바이에른 뮌헨 시절에도 챔피언스 리그 8강에서 아스날 FC를 잡았고, 4강에서도 레알 마드리드 CF를 거의 잡을 뻔 했으나, 호셀루의 극장 멀티골로 아쉽게 패하고 말았다.[5] 사우스게이트 사단의 코치였던 스티브 홀랜드와의 갈등이 국가대표팀 소집 거부에 가장 큰 영향을 끼쳤는데, 해당 코치는 투헬이 부임하면서 물러났고 이후 요코하마 F. 마리노스의 감독으로 취임했다.[6] 다만 화이트가 홀랜드가 떠난 후 리 카즐리 대행의 질문에 대해서도 국가대표 소집에 관해서는 앞으로 연락을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단호하게 말한 전적으로 인해 향후에도 대표팀 재소집 가능성은 낮다는 것이 중론이다.[7] 사우스게이트 시절에는 주로 EPL 위주로 팀을 꾸렸으며 압도적인 폼을 보여주는 주드 벨링엄(레알 마드리드), 해리 케인(바이에른 뮌헨)을 제외하면 전부 EPL 출신들이였고 제한적인 선발로 폴라린 발로건같은 자원들을 놓치기도 했기에 제발 다른 리그에서도 선발해달라는 말이 상당히 많았다. 하지만 투헬의 부임으로 피카요 토모리(AC 밀란), 제이미 기튼스(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마커스 에드워즈(스포르팅), 에인절 고메스(릴)같이 폼이 좋지만 잉글랜드 국대에 선발되지 못한 자원들이 선발될 가능성이 생겼다.[8] 전부 소속팀에 매우부진한 선수들이다. 헨더슨은 사우디이적후 논란을 일으키며 2024 유로 복귀를 위해 아약스로 이적했지만 뽑히지 못했으며 카일 워커는 전반기 맨시티 부진의 1등공신이며 래시포드 역시 맨유에서의 썩은폼과 아모림감독과의 불화로 현재는 아스톤빌라로 임대를 갔다.[9] 콜 파머의 부상으로 대체발탁되면서 막차를 탑승했다.[10] 물론 어떠한 경기도 치르지 않은 감독을 선수 발탁가지고 욕하는것은 옳지 못하다.[11] 특히 유로에서 포든의 케이스로 인해 잉글랜드가 제대로 물을 먹어 더더욱 고민거리가 많아졌다. 전시즌 프리미어리그 올해의 선수 관련한 상을 전부 휩쓴 선수가 대회 내내 부진하면서 엄청난 비판을 받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