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현대 한국어의 음운 변동이다. 자음 뒤에 놓이는 이중모음의 반모음이 약화되어 단모음으로 변하는 현상이다.[1] 가장 대표적인 예는 '하셔요(하- + -(으)시- + -어- + -요)'가 '하세요'가 된 것이 있다.2000년대가 지난 지금도 아직 현재진행중인 현상이다. 이로 인해 맞춤법에 익숙하지 않는 어린 아이나 노년층에서는 표기가 일관적이지 못하다.
2. 상세
한국어의 음절 구조는 반모음을 고려하면 CG[2]VC로, 음절 첫머리에 자음이 놓일 수 있고, 그 뒤에 이중모음이 와서 단모음과 변별을 낼 수 있다. '과'는 '가'와 다르고, '녀'는 '너'와 분명히 다르다.그러나 현대 한국어에서는 이런 일부 이중모음 앞에 자음이 놓일 경우, 해당 이중모음의 반모음이 약화하거나 탈락해 단모음처럼 발음하는 현상이 있다.
대표적으로 [j] 계열 이중모음 중에서도 [j]와 비슷한 성질의 전설모음에 해당하는 'ㅖ'를 중심으로 자음 뒤의 ㅖ가 ㅔ로 바뀌는 것이 있다. 또한 [w] 계열인 'ㅘ, ㅞ, ㅝ, ㅟ' 등에서도 나타난다.
이미 중세 한국어 이후로 'ㅈ, ㅉ, ㅊ' 뒤에서 이중모음과 단모음의 구별이 사라졌기 때문에, 오늘날에 벌어지고 있는 이 현상 역시 이 같은 음운 변천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 1. 자음 + ㅖ[je]의 반모음 [j] 탈락(단모음 ㅔ로 발음됨)
이 현상은 이미 국어학계에 익히 알려져 있는 현상일 정도로 비교적 오래되었으며, 표준 발음법에서도 ㄹ과 ㄹ의 자음동화 시 변이음을 제외한 자음 뒤 ㅖ를 ㅔ로 발음하도록 허용하고 있다. 물론 대부분 례도 [레]라고 한다. 이에 대한 예시로 폐, 혜성, '게시'과 '계시'의 구별 등 이 대표적이다. 이미 일부러 과장해서 발음을 살리지 않는 이상, 처음 듣는 단어에서 '게/계'가 나오면 그게 정확히 '게'인지 '계'인지 알기 어려워졌다. 작품 이름 등 고유명사를 받아 적을 때 특히 이 문제가 두드러진다. 더군다나 이미 'ㅐ'와 'ㅔ'의 구별마저 사라졌기 때문에 사실상 '게 vs. 계 vs. 개 vs. 걔'의 사파전인 상황이다. 그나마 '걔'는 '그 아이가 줄어든 말'이라는 점에서 용도가 제한되니 일반적으로는 헷갈릴 일이 없지만, 나머지는 꽤나 문제가 된다.
- 2. 특정 위치에서 일부 자음 + 반모음 [w]에서 [w] 탈락
현대 한국어에서 보편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이다. ㄷ, ㅈ, ㅊ 뒤의 원순 이중모음의 변형은 '-되다'와 '-대다'의 구별 문서에 여러 사례들이 제시되어 있다. '-대다'와 '-되다'뿐 아니라 '~대로'까지 혼란이 생겨서 '~되로'가 나타나는 등, 2010년대 후반~2020년대 초반 기준으로는 'ㄷ' 뒤의 원순 이중모음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인다.
하지만 표기상으로 전형적인 혼동이 일어나지 않았을 뿐이지, 비공식적으로나마 일부 언중에서는 '과(학과)'가 발음상 [까]가 되는 등, 다른 자음 뒤에서도 어느 정도 나타나고 있다. '오회말 카드'나 '공항장애'와 같은 유형의 혼동 사례가 알음알음 나타나는 점 역시 이를 뒷받침한다.
입술소리(ㅂ, ㅍ, ㅁ)도 뒤에 w가 잘 오지 않는다는 특성이 있어서, 입술소리 뒤에서 오는 ㅙ, ㅞ,가 단모음 ㅚ로, 이중모음 ㅟ가 단모음 ㅟ로 변형되기도 하며, ㅘ, ㅝ가 오는 경우에는 빠르게 발음하려고 ㅏ와 ㅓ로 단순하게 바뀌는 경우도 보인다.
참고로 일본어에도 비슷한 현상이 있었다. くわ(kwa), ぐわ(gwa)가 20세기 초까지 남아 있었다가 각각 か(ka), が(ga)로 변했다.
3. 원인
언어 변화라는 것이 언중 사이에서 자동적으로 일어나는 때가 많기 때문에 명확하게 원인을 짚는 것은 어렵다. 하지만 한 가지 가능성으로 한국어의 음절 조음 방식 때문일 수 있다.'kwa'라는, 반모음을 포함한 음절을 발음한다고 할 때, 많은 언어에서 [kwa]로 발음하는 때가 많다. 영어의 경우, ㅋ 뒤에 무성음이 된 [w]를 확실히 발음하고, 표준 중국어에서는 [w]가 충분한 길이로 나타나 [kua]와 비슷하게 된다. 하지만 한국어에서 "과(kwa)"는 [kʷa]로, 초성 [k]를 발음함과 동시에 이미 입술은 원순화된 양순 접근음인 [ʷ]의 형태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즉, 정확히 말하면 [k]가 원순음화해 버리는 것이다. 이처럼 두 가지 자음적 특성이 동시에 조음되려다 보니 변별성이 큰 초성 자음만 남고 힘이 약한 반모음은 약해지거나 탈락하는 것이다. 역사적으로도 한국어에서는 아래아 소실이나 옛 이중모음들(ㅚ, ㅟ, ㅔ, ㅐ)의 변화로 단모음의 증가, ㅔ와 ㅐ의 구별 소실 등으로 꾸준히 변별되는 모음의 수가 오르내렸다.
2000년대 이후 이러한 음운 변동이 지속된다면, ‘자음 + w’ 형태의 음절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다.[3] 그렇다면 표기와 발음은 달라지게 된다. 외국인 입장에선 프랑스어나 영어의 혼란스러운 표기를 보는 듯한 기분일 것이다. 그러나 언어가 바뀌는 것은 아무도 예측할 수 없으므로 ‘자음 + w’가 계속 변별력을 유지할수도 있다.
다른 사례로 이미 ㅢ의 발음이 단순화되어 첫 음절에서만 제 음가를 유지한 것이 있다.
4. 같이 보기
[1] 정확히는 다른 자음이 선행할 때 접근음이 탈락하는 것이다.[2] glide: 반모음(활음)[3] '자음+w' 형태의 음절구조가 단순화되면 w는 초성 자음 음소가 될 것이다.